....................
1) 책읽기의 밀도가 촘촘해야만 좋은 글이 나온다.
2)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쓰는 게 바로 재능이다.
3) 실패해도 상관없다. 다시 시도하라. 더 잘 실패하라.
4) 중요한 것은 문장에 실린 생각이지 문장 자체는 아니다.
5) 나쁜 문장이란 덜 숙성된 생각의 결과물이다.
6) 좋은 글은 마음속에 흐르는 노래처럼 리듬을 타고 온다.
7) 왠지 모르게 끌리는 글의 힘은 그 진실성에 숨어 있다.
8) 소소한 일상을 꾹꾹 눌러쓰다 보면 진심이 된다.
9) 기억 속 최초의 장면 하나를 끄집어내어 글을 써보라.
- 장석주, <글쓰기는 스타일이다>에서.
....................
윗글은 뒤쪽 책날개에 실린 글을 옮긴 것으로 번호는 내가 붙였다.
아랫글은 내가 2015년에 작성한 것이다.
복습한다는 의미로 올린다.
<글쓰기는 스타일이다>의 뒤쪽 책날개에 실린 글을 다음과 같이 내 식대로 해석해 보았다.
1) 책읽기의 밀도가 촘촘해야만 좋은 글이 나온다.
→ 인풋(input)이 있어야 아웃풋(output)이 있다. 머릿속에 들어간 게 많아야 나올 게 많다는 것. 좋은 글을 빼내려면(쓰려면) 책을 많이 읽되 꼼꼼히 읽어 그 내용을 머릿속에 잘 넣어 둬야 한다.
2)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글을 쓰는 게 바로 재능이다.
→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못하니라." 하는 공자의 말을 생각하면 재능을 타고났든 타고나지 못했든 그게 뭐가 중요하랴. ‘재능을 타고난 자’라고 해도 ‘즐기는 자’만 못한 것을.
즐기는 자는 즐기면서 끝까지 노력하게 될 것이고 이 꾸준한 노력이 바로 재능인 것을.
3) 실패해도 상관없다. 다시 시도하라. 더 잘 실패하라.
→ 성공보다 실패에서 얻은 교훈이 더 많은 법. 만약 어느 신춘문예에서 한 번에 당선된 사람과 네 번 떨어지고 다섯 번째에 당선된 사람이 있다면, 누가 작가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더 많을까? 나는 전자보다 후자가 더 성공할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 왜냐하면 전자보다 후자가 노력한 시간이 더 많았을 것이고, 실패에서 얻은 교훈도 더 많았을 것이므로.
4) 중요한 것은 문장에 실린 생각이지 문장 자체는 아니다.
→ 오래전 내 문장을 본 어떤 이가 내 문장력이 형편없다고 생각했는지 내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작가 타입이 아니에요.”
그때 난 반박하지 못했다.
만약 내가 이렇게 반박했다면 어땠을까?
“중요한 건 문장력이 아니라고요. 문장에 실린 생각이 중요한 거지요.”
그런데 문장력보단 내가 더 자신 없는 게 문장에 실린 생각이 아니던가?
끼룩~~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가’를 보여 주는 것보다 더 중요한 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보여 주는 것이다. 글쓰기란 결국 생각의 깊이를 보여 주는 일이니까.
5) 나쁜 문장이란 덜 숙성된 생각의 결과물이다.
→ 나쁜 문장이란 덜 숙성된 생각의 결과물이고, 좋은 문장이란 잘 숙성된 생각의 결과물이다.
6) 좋은 글은 마음속에 흐르는 노래처럼 리듬을 타고 온다.
→ 내가 오랫동안 독서를 해 오면서 어느 날 알게 된 게 있다. 리듬감 있게 읽혀지는 글이 있다는 것. 그리고 그게 좋은 글이라는 것.
7) 왠지 모르게 끌리는 글의 힘은 그 진실성에 숨어 있다.
→ 진실성은 감동을 자아내게 하고 눈물도 나오게 한다. 진실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게 할 만큼 위대하다.
8) 소소한 일상을 꾹꾹 눌러쓰다 보면 진심이 된다.
→ 보물은 소소한 일상 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이 많으리라.
9) 기억 속 최초의 장면 하나를 끄집어내어 글을 써보라.
→ 글을 쓸 땐 우리가 경험한 많은 일들 중에서 무엇을 끄집어내느냐가 관건이다. 여럿 중에서 무엇을 끄집어낼 것인가? 끄집어내는 데에도 기술이 필요하다. 하면 할수록 그 기술은 점점 발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