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새 글을 올리지 않은 지 오래된 알라디너 몇을 알고 있다. 무슨 일이 있어서인지 아니면 단지 휴식 시간이 필요해서인지 잘 모르겠다. 확실한 건 글쓰기가 취미였던 사람은 언젠가는 다시 글을 쓰게 되리라는 것이다. 글을 쓰는 취미를 가진 사람은 글쓰기보다 더 좋은 취미를 갖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한번 맛을 보면 자꾸자꾸 마시고 싶어지는 커피처럼 글쓰기의 맛을 아는 자는 그 맛을 쉬이 잊을 수 없어서다. 현재 블로그를 폐쇄한 상태인 분들이 언젠가는 돌아오리라고 내가 믿는 이유다.
2.
어디에서 읽었을까? 어느 분야에서 일인자가 되기 위해선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한다. 스승, 라이벌, 노력.
과거엔 글쓰기의 스승이 있었고, 글쓰기의 라이벌이 있었고, 글쓰기의 노력이 있었다.
그 세 가지가 현재는 다 없다.
과거와 현재 중 어떤 삶이 행복한 삶일까?
3.
해가 바뀌면 친정어머니가 80세가 되신다. 작년까지만 해도 그렇지 않았는데 올해는 부쩍 내가 오기만을 기다리신다. 친정에 주2회를 가는데도 부족하다는 반응이시다. 같이 살자고 하면 싫다고 하시면서도 딸이 오기만을, 딸이 전화해 주기만을 기다리시니 내 맘이 편치 않다. 친정어머니에게 친구라도 많았으면, 취미라도 있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이 든다.
어느 휴일에 친정에 가겠다며 전화를 드렸더니 친구들과 점심 약속이 있으니 오지 말라고 하신다. “그럼 내가 안 가도 된단 말이죠?” 하면서 내가 얼마나 기뻐했던지. (그날 나는 컨디션이 좋지 않아 집에서 꼼짝 않고 지내고 싶었다.) 이것을 친구들과 만난 자리에서 말했더니 한 친구가 “그럴 땐 계 탔다고 하는 거야.”라고 말해서 우리 모두 웃었다.
참 다행이다. 난 훗날 직업을 갖지 않고 살게 될 노년의 시간에 친정어머니처럼 적적해 하며 자식이 오기만을 기다리며 살지 않을 자신이 있으니 말이다. 취미로 시간을 보낼 수 있는 글쓰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글쓰기는 내게 하나의 노후 대책인 셈이다.
4.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책을 좋아할 수 있을까요?” 또는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독후감을 잘 쓸 수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을 때가 있다.
‘아이들의 독서’에 대한 내 생각은 이러하다.
..........
초등학생 고학년의 학생들도 느낀 점을 못 써요. 느낀 게 없다고 말하는데 사실은 있는 건데 자기가 머릿속에서 못 끄집어내는 경우가 많아요.(느낌이 그냥 스치고 지나가는 거죠.)
다른 학생이 느낀 점을 발표하면 그제서야, 저도 그걸 느꼈어요, 라고 말하기도 하죠.
무엇을 느꼈느냐 하는 것만 중요한 게 아니라고 봐요. 문장의 구성, 이야기의 전개 방식, 각 인물들의 특성 등 알게 모르게 습득하게 되는 것들이 있어요. 인상적인 문장 하나만 머릿속에 남아도 좋은 독서라고 봅니다.(저 개인적인 생각임.)
이것저것 읽다 보면 책에 대한 안목이 생기게 되니까 그때까지 기다리며 그냥 흥미롭게 읽을 책만 찾아 주는 게 부모의 (가장 중요한) 할 일이 아닌가 생각되어요.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1) 독서할 만한 집 분위기를 만들어 주는 것.
2) 지루한 책 말고 재밌는 책을 선정해서 책이 얼마나 재밌는 건지 알게 해 주는 것.(물론 유익한 책이어야 하겠죠.)
- 이것이 부모로서 할 수 있는 최선이 아닌가 생각되어요.
읽은 것에 대해 함께 얘기한다면 그건 더 좋겠지만요. - 이건 모든 부모가 할 수 있는 일은 아닌 듯.
저의 경우, 큰애가 초등학교 고학년 때인 것 같은데, 해리포터 시리즈에 빠져 10권이 넘는 그걸 반복해서 읽더라고요.
저는 그걸로 됐다고 느꼈죠. 독서의 즐거움을 안 것이니까요. 그럼 다른 책도 저절로 읽게 될 터이니.
지금도 20권쯤 되는 그 시리즈를 버리지 않아요.(직장인이 되었는데도 말이죠.) 자기의 어린 시절의 추억이 담긴 소중한 책이라는 거죠. 해리포터 세대라고 하면서요.
만약 제가 그 책을 사 주지 않았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모르죠. 그 책 덕분인지 큰애는 독서광으로 자랐어요.
..........(지난 11월 5일에 어느 서재에서 내가 썼던 댓글을 그대로 옮겼다.)
책을 좋아하는 아이가 그렇지 않은 아이보다 독후감도 잘 쓰므로 무조건 아이가 책을 좋아하게 만드는 게 관건이라고 본다.
5.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공통점이 무엇인지 아십니까?
내가 알기로는 이러하다.
1) 돈을 아끼지 않고 책을 자주 산다.
2) 한 권을 집중해서 읽기보다 서너 권을 돌려 가며 읽는 걸 좋아한다.
3) 누군가가 책을 빌려 달라고 하면 싫어한다. 차라리 책을 새로 사서 선물로 주는 게 낫다고 여긴다.
4) 책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관심이 간다.
5) 책을 좋아하는 사람과의 대화는 흥미로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6) 글쓰기가 취미이다.
7) 심심할 때가 없다.
8) 시간이 아까워서 쓸데없는 일에 집적대지 않는다.
6.
서재에 글만 올릴 게 아니라 사진도 함께 올리면 방문자가 지금보다 더 많을 것 같아서 ‘사진을 올리면 어떨까?’ 하고 고민한 적이 있다. 고민 끝에 그만두기로 했던 건 글로만 승부 내겠다고 생각을 정리했기 때문이다. 사실 이건 핑계에 불과하다는 걸 안다. 사진 올리는 일에 시간을 빼앗기고 싶지 않다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사진을 올리기로 생각이 바뀌었다. 글을 자주 올리지 못할 바엔 사진이라도 올리면 좋을 것 같았고, 사진이 있다면 글이 좀 시시해도 사진을 보는 재미라도 있을 것 같아서였다. 그리하여 2016년 4월 21일부터 사진을 올리기 시작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잘한 것 같다.
그래서 또 단풍 사진을 올린다.

7.
나는 토요일이 좋다.
늘 눈 뜨면 이불 속에서 나오기 싫은 토요일 아침.
어느 순간,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 하나로 이불 속에서 빠져나올 것이다.
커피를 마시기 위해 아침을 먹을 것이고
커피 한 잔 들고서 나보다 글 잘 쓰는 이들의 글을 읽자고 신문을 펼쳐 여러 칼럼을 읽을 것이다.
비교는 자신의 위치를 알게 하고 겸손을 가르친다는 것을 나는 또 한 번 느낄 것이다.
8.
일주일 동안 해야 할 일이 정해져 있다. 발 빠르게 움직이지 않으면 한두 가지를 놓치고 말기 때문에 시간 관리를 잘해야 해서 마음이 한가롭지 못하다. 지난주에는 주2회로 가는 무용 수업을 하루 빠지고 말았다. 딱 한 번 결석했다. 앞으로 그런 일이 없도록 해야겠다고 다짐한다.
9.
알랭 드 보통의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을 읽고 9월에 리뷰를 쓰려고 했다. 9월이 가 버렸다. 10월에 리뷰를 쓰려고 했다. 10월이 가 버렸다. 11월에는 무슨 일이 있어도 리뷰를 쓰려고 했다. 11월이 가 버렸다. 이젠 12월이란다. 12월 7일이란다. 기막혀.
내 허락을 받지도 않고 시간은 제 멋대로 흐르는구나, 하고 느낀다.
벌써 12월이라니...
벌써 12월이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