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를 극복하려면 ‘지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입니다.

새로운 것에 도전하려 할 때 많은 사람이 "용기 내", "잘될 거야", "한번 시도해 봐"라고 말하며 등을 떠밀어 줍니다.

남들이 등을 밀어주는 만큼 앞으로 쭉쭉 나아갈 수 있다면 얼마나 편할까요?

물론 응원은 고맙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못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구나 한두 가지 이상 달고 사는 이러한 만성질환의 원인은

현대 의학에서는 스트레스성 , 신경성 , 원인불명이라고 진단하는 경우가 많다 .

병원에 가면 원인을 알 수 없다고 설명하니까 대부분은 그런 줄 알고 이전과 똑같은 생활습관을 유지한다 .

그 대신 피로회복제나 카페인 등을 과도하게 섭취해가며 하루하루 견딘다 .

병을 키우는 줄도 모르고 말이다 .

건강에 신경 쓰면서도 병을 키우고 사는 것은 건강의 원리를 제대로 알지 못해서이다 .

건강의 원리 , 그리고 질병의 근본 원인을 제대로 알아야 건강을 제대로 챙
길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고, 누구나 예고 없이 세상과 작별할 수 있으며,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최대한 후회 없이 사는 것뿐임을.

돈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행복한 것은 아니지만,

돈이 없으면 행복할 권리조차 주장하기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의외로 돈이 인생을 정의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므로 언제든 돈을 모으고 불리는 고민을 멈추어서는 안 된다.

경제적 자립은 삶의 자립이고,

네가 원하는 인생을 살기 위한 주춧돌을 세우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마흔 넘어 후회하고 싶지 않다면,

마흔 넘어 초라해지고 싶지 않다면,

지금부터라도 돈 공부를 해야 한다.

네가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얼마만큼의 돈이 필요한지,

어떻게 그 돈을 모을 수 있을지, 또 어떻게 그 돈을 현명하게 써야 할지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한다.

네가 그 과정에서 너만의 원칙을 세우고,

이를 충실하게 실천한다면 경제적 자립은 자연스레 따라올 것이다.

돈 때문에 기죽지 않고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을 거라는 말이다.

투자자인 찰리 멍거가 "나는 처음부터 부자가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그저 독립성을 갖고 싶었다"고 말한 이유도 거기에 있지 않을까.

돈을 버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돈을 벌어서 원하는 대로 살아가는 힘을 얻고자 하는 것.


사람마다 돈을 벌어야 하는 이유는 가지각색일지 모른다.

하지만 목표로 하는 돈이 얼마든, 정말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위해 노력이라는 것을 해야만 한다.

인생에서 노력 없이 주어지는 것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노동을 통해서든 투자를 통해서든 돈을 벌려고 하는 것은 어떤 형태로든 ‘투쟁’을 하고 있는 거라는 생각을 한다.

모든 사람은 나름의 의미에서 매일매일 힘든 투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의 N잡러 시작은 ‘좋아하는 일’을 꾸준하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오래된 취미가 삶이 되었고, 시간이 쌓이면서 실력이 되었습니다.

실력을 세상과 공유했더니, 어느새 하나의 직업이 되었습니다.

하나의 직업은 또 다른 직업으로 이어졌고, 그 직업이 또 다른 직업을 불러왔습니다.

저에게는 어린 시절부터 쌓아온 취미가 있었습니다. 독서입니다.

영상의 시대인 지금, 독서라는 말 자체가 고루하게 들리는 듯합니다.

그러나 삶의 유희에서 시작된 독서가 시간이 흐르면서 생활이 되었습니다.

어른이 되고 난 후에도 책 읽기를 멈추지 않았습니다.

그 분야도 다양하여 소설, 시 같은 문학에서 시작하여 에세이, 자기 계발, 육아, 경영·경제 분야까지 편식하지 않고 읽었습니다.

독서의 인풋이 쌓이자,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그 후에는 책을 쓰면서 작가의 길로 접어들었습니다.

지금도 읽고 쓰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으니, 저의 첫 번째 직업이자 삶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매일’ 연습하는 것입니다.

일주일에 한 번 서너 시간씩 몰아서 하기보다 적게라도 매일 해야 합니다.

말이란 습관이기 때문입니다.

습관을 들이려면 꾸준해야 합니다.

10분 정도의 자투리 시간으로 가볍게 연습을 시작하는 것도 좋습니다.

조바심을 내지 않고 서서히 시간을 늘리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