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인간이 하는 일을 오직 네 부류로 나눈다.




A: 사람을 상대로 하는 일


B: 기록된 것을 상대로 하는 일


C: 무생물을 상대로 하는 일


D: 몸으로 하는 일


해병대 출신이지만 뉴욕에서는 소심하기만 한 그는 어느 날 권총 4개를 구입하고 칼도 준비한다.

그리고 총 쏘는 법과 칼 쓰는 법을 연습하고 혼자서 거울 앞에 서서 누군가를 상상하며 말투와 행동을 연습한다.

‘Are you talking to me?(너 지금 나한테 씨부렁거리냐?)’

그런 연습을 거쳐 그는 대통령 후보를 암살하려고 하기도 하지만(그래서 국내 상영이 금지되었다가 91년에 가서야 해제되었다) 우연히 만났던 12살짜리 창녀를 구하고자 사창가에서 피비린내 나는 총격전을 벌이면서 포주를 죽이고 영웅 대접을 받게 된다.

나는 내성적인 사람들이 성격을 외향적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하여야 하느냐고 물을 때마다 이 영화를 권유하면서 어떤 시비가 생기게 되면 욕으로 대응하는 법을 미리 연습하라고 한다.

누군가와 싸울 생각을 하게 되면 성격은 변하기 마련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성격 자체는 어떤 일 혹은 환경 속에 들어가 있느냐에 따라 문제가 되는 것이므로 자기 성격에 어울리지 않는 일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원숭이는 모두 벗겨진 엉덩이를 갖고 있지만 앉아 있는 원숭이의 엉덩이는 남에게 보이지 않는다. 서 있지 못하겠으면 앉아 있으라는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하는 걱정거리의 40%는 절대 일어나지 않을 사건들에 대한 것이고

30%는 이미 일어난 사건들,

22%는 사소한 사건들,

4%는 우리가 바꿀 수 없는 사건들에 대한 것들이다.

나머지 4%만이 우리가 대처할 수 있는 진짜 사건이다.

즉, 96%의 걱정거리가 쓸데없는 것이다."


나는 고민거리를 오직 두 가지로 나눈다.

내가 걱정해 해결할 수 있는 고민과 해결할 수 없는 고민이다.

내일 비가 오면 어떻게 하나? 우산을 준비하면 된다.

비를 멈추는 일은 당신 능력의 한계를 벗어난다. 그것은 신의 영역이다.

신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는 신에게 맡겨라.

그리고 오직 당신이 걱정해 풀 수 있는 문제들만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흔히 사람들은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고 하고 모든 것을 잃었다면 당연히 절망하여 자살할 것 같은데,.

그런 이유로 인해 자살하는 사람들보다는 건강하고 탱탱한 몸을 갖고 있음에도 살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이 대다수라는 사실 말이다.

건강하면 모든 것을 다 가지고 있는 것이나 다름없는데도 왜들 그렇게 죽으려고 하는 것일까?

몸이 건강하다고 해서 모든 것을 다 갖게 되어 고민 끝, 절망 끝, 행복 시작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 아닌가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쉬고 싶다"고 하였을 때 내가 한 말은 "엄살떨고 있네. 아직도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였다

1년 정도 지나 "피곤함에 쓰러져 며칠 동안 병원에 있었다"는 메일을 받았을 때 내가 한 말은 "당장 종합 비타민을 두 알씩 먹어라"였다.

"돈도 좋지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지 않느냐"는 그의 말에 내가 한 말은 이랬다. "그 잘난 건강을 가지고 있었을 때 너는 당장 죽고 싶은 마음뿐이었지 않은가.

자살하는 사람들 중 99%는 건강한 몸을 갖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그러니 개소리 말고 밥이나 철저하게 제때 찾아 먹어라.

차가운 샌드위치라도 제때 먹기만 하면 죽지는 않는다."

나는 하루에 열몇 시간씩 육체를 혹사시키라는 것이 아니다.

육체에는 한계가 분명 있다. 때문에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다. 우리 몸은 기계가 아니니까 말이다.

하지만 두뇌의 활동에는 그런 한계가 없다고 나는 믿는다.

내가 피 토하듯 하라는 것은 어느 한 분야에 정신을 계속 집중시키면서 두뇌를 계속 사용하라는 뜻이다.

물론 건강을 해치면서까지 그렇게 하여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그러나 엄살은 부리지 말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팅 상황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싶다면

대화의

흐름을 주도할 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흔히 사용하는 전략이 있다.


상대의 말을 뒤집는 질문을 던져

상대가 갖고 있던 확신을 의문으로 바꿔버리는 것이다.


대화 상대가 당신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너무나

강한 편견에 사로잡혀 있어서 곤란했던 적이 있는가?

새로운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흔히 이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무엇보다 상대가 ‘내가 제일 잘 알아’라는 생각에 갇혀 있을 때

단순히 말싸움에서 이기려 애쓰기보다,


상대가 기반을 둔 근거 자체에 대하여 질문을 던져야 한다.


이런 질문을 던지는 목표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스로 근거가 부족한 정보를 토대로 의견을

내세웠다는 사실을 인정하도록 상황을 전환시키는 데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