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주위를 둘러보면 다들 정신없이 바쁘게 살아간다.

우리가 독서를 하는 목적은 인생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다.

맹목적으로 남을 따라 사는 인생에는 정답이 없다.

책을 읽는 사람은 남과 다른 생각을 한다.

남과 다른 차별성을 갖게 된다.

독서를 하면 정확한 인생의 목표와 방향이 설정된다.

무질서한 카오스의 삶에서 정돈된 카이로스의 삶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책을 읽는 이유는 정답 없는 인생에서 지혜로운 답을 구하기 위함이다.

목적 없는 독서는 오래가지 못한다.

목적 없는 독서도 마찬가지다.

필사를 해서 어떤 것을 얻을지에 대해 생각하고 필사하는 것이 좋다.

마음의 양식을 쌓기 위해서도 좋고, 지금 고민하고 있는 문제의 답을 구하기 위해서도 좋다."

- 김시현, 『필사, 쓰는 대로 인생이 된다』

생각하지 않으면 남의 생각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다.

독서를 하면 생각하는 사람이 된다.

TV를 보고 인터넷을 아무리 검색해도 고차원적인 생각은 할 수 없다.

그저 주어진 대로 살아가는 사람이 될 뿐이다.

독서를 하는 사람은 사고력과 통찰력이 생긴다.

나의 정체성을 찾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닫게 된다.

"사람이 운명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은 자신의 습관을 결정하고, 그 습관이 그들의 운명이 된다."

평소에 어떤 습관을 갖느냐에 따라 당신의 삶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책 읽는 습관은 운명을 바꾸는 원동력이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인생이 완전히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전은 트럼프 카드나 마작 등 게임을 할 때 처음 나누어 받은 카드 같은 것이다.

나라는 인간을 내부에서 ‘나다운’ 독특한 형태로 만들어 내는 잠재성의 카드, 그것이 유전이다.

실제로 쌍둥이의 교우 관계를 살펴보면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비슷한 성향의 아이를 친구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 따라서 일란성 쌍둥이가 이란성 쌍둥이보다 유사성이 높은 행동에 관해서는 유전율로 산출된다. 교우 관계 또한 유전의 영향을 받는다는 말이다.

간단히 말해서, 엄청나게 뛰어난 부모에게서 태어난 아이들은 부모만큼 성과가 좋지 않을(그래도 평균보다 잘될) 가능성이 크다.

뛰어난 부모일수록 ‘왜 우리 애는 잘 못하지?’라고 고민할 확률이 높다는 말이다.

정상급 선수의 자녀가 부모만큼 성적이 좋지 않은 경우도 많은데 이 또한 평균 회귀로 설명할 수 있다.

물론 반대도 있다. 엄청나게 공부를 못하던 부모(!) 밑에서는 그보다 잘하는 아이가 태어날 확률이 높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를 좋아하는 사람은 인생이라는 경주에서 유리해진다.

우리는 작은 성공이라도 거두게 되면 즐겁다.

인생이라는 경기에서 경쟁자를 제치고 성공하는 것처럼 기쁜 일도 없다.

그러나 인생의 진정한 성공은 자신과의 경기에서 이기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