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단에 영양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다이어트의 정석인 ‘ 적 게 먹 고 많 이 움 직 인 다 .’

를 적 용 해 다 이 어 트 에성공했고 비키니도 입을 수 있었어요.

친구들은 회춘했다고 말해줬어요.

이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등 영양성분을 고려한 식단을 구성할 줄도 몰랐고,

근력 양을 늘려야 되는지도 몰랐고 몸무게만 빠지면 되는 줄알았어요.

① 야채류: 오이, 방울토마토

② 과일류: 냉동 아보카도, 냉동 블루베리

③ 그릭 요구르트

④ 냉동 닭가슴살

⑤ 소고기, 두부, 계란

⑥ 고구마, 오트밀, 냉동 단호박

⑦ 0 kcal : 머스터드소스, 스리라차 소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에서 회복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의심하는 사람은 없겠지만

, 만일을 위해 수치로 증명된 데이터도 확인해보자. ‘

오랫동안 번창하는 기업은 무엇이 다른가’라는 문제에 대해 생각해보았는가?

이는 사회연구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논의되어온 주제다.

일본 경제산업성 산하 중소기업청에서 해마다 국회에 제출하는 중소기업백서에 따르면,

일본 제조업에서는 기업 중 20%가 1년 만에 문을 닫고 5년 후에는 50%가 폐업에 내몰리며

10년 후까지 살아남는 기업은 36%에 지나지 않는다.

1) 벤처기업으로만 한정하면 5년 후에는 15%, 10년 후에는 6.3%까지 떨어진다.

대부분 기업이 어쩌면 십수 년 만에 사라지는 게 일반적인 모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쾌적 영역에서의 삶에 안주했다면 이런 결과에 도달하지 못했을 것이다.

언제까지고 공포와 불안으로 얽매인 생활에 갇혀서 일이나 사생활에서 얻을 기회를 계속 놓쳤을 것이다.

쾌적 영역에서의 삶은 일시적인 안정감을 주지만, 한편으로는 인생의 가능성을 빼앗는 저주가 되기도 한다.

자신의 미래를 자기 손으로 옭아매고 싶지 않다면 의식적으로 인생의 영역을 넓힐 필요가 있는 것이다.

자신을 타인보다 뛰어난 인간이라고 믿을 때,

또는 타인보다 열등한 존재라는 인식을 갖지 않으려고 할 때 발휘되는 동기다.

친구보다 높은 성적을 받고 싶어서 공부한다,

똑똑하다는 인식을 주기 위해 일한다,

바보 취급받기 싫어서 노력한다는 식의 동기가 전형적인 예다.

동기 발생원이 외부에 있다는 점은 외발적 동기와 마찬가지이나, 단순히 보수나 처벌에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평가를 유지하기 위해 ‘내가 노력해야 한다’, ‘알아서 해야 한다’ 등의 의무감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새로운 친구와의 만남은 삐걱거릴 위험이 있고, 새로운 학습은 작심삼일로 끝날지도 모르며, 창업 후 경영 수익이 만족스럽지 못할 수도 있다.

새로운 도전을 늘리면 동시에 실패의 위험성도 높아지는 건 당연하다.

좋은 우연을 기다리는 과정은 동시에 예기치 못한 불운을 끌어들이는 마중물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행운과 불운은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다니지만, 그렇다고 파티원이 전멸할 때마다 상심한다면 절대로 미션 성공을 맛보지 못한다.

더욱 많은 행운을 붙잡고 싶다면 보다 많은 불운을 사전에 쟁여놓을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간이 새로운 것을 싫어하는 이유는, 새로운 발명이나 행동에는 불확실성이 수반되고 인간이 그 불확실성을 회피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또 대다수는 새로운 발상이나 행동이 사회적으로 거절당할 가능성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새로운 것을 싫어하는 이유는,

인생이라는 이름의 행운 게임
 

운이 중요하다니,

헛된 생각이라고 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원래 운이란 의지나 노력으로 어찌할 수 없는 우연의 산물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인생에 운이 중요하다고 해도 제어할 수 없는 것을 고민해보았자 무슨 의미가 있을까, 라고 보통은 생각한다.

하지만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은 그 ‘도저히 어찌할 수 없는 운’으로 넘쳐난다. 대표적인 예를 보자.


"행운은 시행 횟수로 결정된다"는 말을 들어본 사람이 많을 것이다.

좋은 운을 붙잡고자 한다면 인생에서 도전 횟수를 늘리는 수밖에 없다는 사고법인데, 이 인생 조언이 옳은 말인지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계산법이 있다.

당신이 성공률 1%밖에 안 되는 어려운 일에 도전한다고 하자. 한 번만 도전한다면 성공을 기대하기 어려운 확률이지만,

실패한다고 해도 시행 횟수를 늘릴 때마다 확률이 조금씩 변동하므로 두 번째 도전이면 성공률은 약 2%로 증가(99%×99%=98.01%)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은 이러한 트렌드 변화를 누가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서서히 주저앉을 수도 혹은 빠르게 도약할 수도 있다.

우리가 반드시 ‘지켜야’ 할 소중한 것들이 많겠지만,

불가피하게 한쪽을 선택해야 한다면,

‘바꾸다’를 선택해야 하는 시대를 우리는 살게 됐다.
 

더 나은 내일을 꿈꾸지 못하는 시대의 소비트렌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