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람은 염증과 함께 늙는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고개를 갸웃거리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릅니다.

필자의 다른 저서를 읽었거나 방송을 본 적 있다면

"사람은 혈관과 함께 늙는다고 말하지 않았나?

이번에는 염증이라니…."라며 의아해할 수도 있습니다.


혈관은 온몸의 세포에 필요한 영양과 산소를 전달하고 불필요한 물질을 회수합니다.

유능한 매니저처럼 우리 몸의 활동을 헌신적으로 지원하는 혈관

덕분에 모든 세포가 활기차고 올바르게 활동할 수 있습니다.


이런 역할을 하는 혈관이 늙으면 당연히 온몸이 늙습니다.

이는 변하지 않는 사실입니다.

젊을 때는 유연하고 탄력 있던 혈관이 나이를 먹으면서 점차 딱딱하게 굳고

안쪽에 혹이 생겨서 통로가 좁아지거나 쉽게 손상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사에 정성을 다하라.

그리고 자신이 어디에 있든 최선을 다하라."

인간을 지배하는 것은 운명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환경이 인간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환경을 만든다.
-벤저민 디즈레일리

중요한 질문은 "당신이 얼마나 바쁜가?"가 아니다.

"당신이 무엇에 바쁜가?"가 핵심 질문이다.
-오프라 윈프리

쇳덩이는 사용하지 않으면 녹이 슬고,

물은 썩거나 추위에 얼어붙듯이,

재능도 사용하지 않으면 녹슬어버린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

"누가 네 명밖에 못 타는 값비싼 자동차를 탄단 말이야?"

그 ‘미친 생각’의 결과는 이미 모두들 알고 있을 것이다.

(영감이 있는 0.1%의 사람과 그것을 알아보는 0.9%의 사람)

즉, 1%의 사람이 세상을 바꾸고 나머지 99%의 사람들은 갈수록 세상이 좋아진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왜 지금, 성인 ADHD가 이렇게 뜨거운 주제가 되었을까?"

ADHD가 코로나19처럼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질병도 아닌데

어째서 지금 이렇게 큰 관심을 받는 것인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지요.

이 의문은 ‘내가 ADHD인가, 아닌가’에서 ‘

ADHD의 실체를 알고 싶다’는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저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선생님을 만나보기로 했습니다.

어떤 질환의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었다면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을까 싶은데요,

성인 ADHD 환자가 증가한 이유가 뭘까요?

ADHD, 그러니까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라는 질환의 명칭이 정립된 게 1987년이라는 사실 말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해보면 저는 프리랜서가 되기 이전에도

학교와 직장에서 지각쟁이로 유명했고,

어릴 때는 집 안을 너무 어지르고 다녀서

엄마는 저를 따라다니며 널브러진 물건을 치우는 게 일상이었습니다.

시험 기간엔 늘 벼락치기로 위기를 모면했고

가만히 앉아서 하는 일을 견디지 못했으며

무슨 일을 하든 늘 산만했던 것 같습니다.

자세한 정보를 접할수록 제 과거의 시간들이 모두

ADHD라는 질병과 딱딱 맞아떨어지는 느낌이었달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