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노화가 인간이 스스로의 한계를 깨닫고,

진심을 다해 자신에게 주어진 한계를 수용하며

더욱 온전한 인간으로 거듭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덕분에 세월이 흘러가는 것을 기쁜 마음으로 기다리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기력은 주로 ‘학습된 무기력’이 많다고 합니다.

‘나는 할 수 없어’ 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자꾸만 반복해서 생각하면서

자기가 정말 ‘할 수 없다’고 믿게 되는 것이지요.


무기력한 감정이 반복되다 보면,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재능이나

씨앗을 포기해 버리고 말아요.

그러니까 무기력의 고리를 끊는 것은

곧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 되겠지요.

어른들의 높은 기대와 노력에 대한 주문이 아니라,

내가 원하는 행복, 내가 살아갈 삶을 위하여

우리, 자기 자신에게 멋진 주문을 걸어 보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때로는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기라도 하듯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맥락 없는 헛소리를 하고,

꼬투리를 잡았다 싶으면 상대방을 집요하게 물고 늘어질 것이다.

때로는 본질과 무관한 인신공격까지 일삼으며 기어이 이기고 싶어 할 것이다.

패색이 짙어 보이는 상황에서도 꿋꿋이 아닌 척,

담대한 척, 심지어 자신이 이긴 것처럼 정신 승리로 무장하기도 할 것이다.

토론에서 승자가 될 수 있을까?

‘내 주장이 맞다’는 것을 어떻게 상대방에게 관철할 수 있을까?

보다 효율적으로 상대방의 주장을 제압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토론 상대방이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변칙들은 무엇이 있을까?

"인간은 항상 자신의 견해가 옳다고 주장하는 속성을 천성적으로 타고났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의 속성에서 오는 결과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내가 토론술이라고 부르는 방법론에서 알려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험 과정을 기록할 때는 일단 닥치고 적어야 한다.

중요하지 않은 줄 알고 적지 않았는데

나중에 필요하면 돌이킬 수 없다.

뭐 요리할 때 이 정도까지 하지는 않는다.

논문 쓸 건 아니니까.

하지만 잘 적어두면 그만큼 다음에 편하다.

그건 뭐 당연하다

그냥 물에 삶을 때는 계란과 찬물을 함께 넣어 끓이는 것보다

물이 끓고 나서 계란을 넣으면 껍질이 더 잘 까진다.

아마 급격한 온도 변화가 계란 흰자와 내막을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

계란을 찔 때와 에어프라이어로 익힐 때도 이와 비슷한 급격한 온도 변화가 일어나는데,

역시 껍질이 잘 까지는 데 도움을 주는 것 같다.

끓는 물에 계란을 넣고 그때부터 시간을 재면 항상 일정한 상태의 삶은 계란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