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베, 그는 왜 한국을 무너뜨리려 하는가
호사카 유지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작년 9월에 출간되었고 나는 2019년
10월에 이 책을 읽었다
#경제보복
#이시국 이라는 단어가 한창일
때 출간된 책
한일 감정에 대한
입장이 객관적이지 않고 감정적인 것 같았고
한 쪽으로 치우친 것
같아서 처음엔 거부감이 들었다
제목만 해도 그렇다
아베가 진짜로 한국을 무너뜨리고 싶어 할까? '한국'을 생각하긴
할까.
악의적인/ 적대감을
가지고 있는가? 그래서 굳이 안 해도 되는 행동을 하고 있나?
사실 어떤 나라든
상관없었을 것 같고 자신의 이득을 위해 행동을 취한 것뿐일 텐데
한. 일 갈등을
조장하는 것 같은 제목이라 신경이 쓰였다
책을 읽고 나니 갈등을 야기한다기 보다
일본에선 이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이 있다고
알려주고
이런 일들이 있어서
이렇게 되었다 이야기하는 내용이었다
안 읽힐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금방 읽히고
아는 내용들도 나오니 어렵지 않은
책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좋았던
건
01.
한국사, 세계사 공부가 하고
싶어진다
남의 생각에 동조하는 거 말고, 스스로 판단하고,
생각해서 내 의견을 분명히 하고 싶다
학창시절에 배운 건 왜 하나도 생각이 안 나는지
지식을 배우기만 할
뿐(흘려보낼 뿐) 정작 깊이 생각해 본 적은 없었다.
사색이 없으니 나만의
생각도 철학도 없었던 것. 왜 그때는 좀 더 생각해보지 못했을까
나라와 나라 간의 갈등은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국민은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식민지, 지배를
경험했던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해결했고
지배했던 나라는 어떻게 사과했는지 궁금해졌다
학교 다닐 땐 왜 역사 속에서
현재를 보지 못했는지 / 관계를 보지
못했는지
그냥 단순히 글자로만 읽어와서 아쉽다
그래서 나이 들어서 다시 하는 역사 공부 책이
많았구나
02.
현재 삶에 (나라에) 관심이
생긴다
나라와 상관없이 내 삶만 생각하며
살았는데
나라 없이는 내 삶이 있을 수 없다
정치. 경제에 좀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치 이야기는 잘못하면 싸움이 되기 쉬워서
아예 말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그냥 모르고 넘어갈 때가 많고 차라리 모르는 게 나은
것 같아
눈 가리고 있기도 했는데 조금
껄끄럽고 갈등이 싫어도 제대로 볼 수 있는 눈이 필요하다

배상금 vs
보상금
배상금 : 남에게 입힌 손해에 대해 물어주는 돈
보상금 : 합법적 과정에서 일어난 손해를 보상해 주는 돈
자신이 한 행동이 잘못인 것을 알고 있는가
<'불법'을 '인정'하는가>
인간관계로 예를 들면
힘이 센 A는 당시 약하던 B를 심하게 괴롭혔다
괴롭힘에 고생하던 B는 여러 노력 끝에 A의 괴롭힘에서
벗어난다
B는 그동안 자신을 괴롭힌 것에 대해 사과와 함께 배상을
요구하고
A는 약한 사람을 이끌어 준 거니 잘못한 게 없다고
한다
서로 조율이 되지 않아
시간이 흐르게 되고
여러 가지 상황이 있던 B는 적당한 금액을
제시한다
A는 그 돈을 준다
그리고 또 시간이 흐른 후 B는 그때 준
돈은
합당한 금액이 아니었고 잘못도 인정하지
않았으니
더 배상해야 한다고 한다
A는 이미 돈을 줬고 합의를 했기
때문에
잘못한 것도 없도 더 줄 것도 없다고
한다
---
이렇게 생각하면
이미 받았는데 계속 요구하는 사람이 되어버린다
먼저 돈을 받아서
안타깝다



만약 누군가 200만 원짜리 물건을 강제로 빼앗아 간 후 다시 쓸 수 없게
망가뜨렸다면?
원래 쓸 수 없던 거였다고, 오히려 내가 써준 걸 감사하라고 뻔뻔하게 나온다면?
200만 원짜리를 훔쳐 가서 겨우 다시 찾아왔는데 물건은 망가져있고
(훔친 거면서 빌려 간 척) 대여비라는
명목으로 준 금액이 5만 원이라면?
5만 원 줬는데 왜 계속 돈 달라 하냐고
따질 수 있을까
5만 원 받았으니 괜찮다고
말할 수 있을까
---
이렇게 생각해보면
돈을 받았어도 받은 게 아닌 거나 마찬가지
피해를 입은 것에
비하면 터무니없는 돈

누군가 물건을 강제로
빼앗아 간 후 다시 쓸 수 없게 만든다면 그에 합당한 보상을 요구할 거다
근데 세상에는 억울한
일을 당해도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너무 많다
사기꾼에게 당해 피해를
입으면
사기당한 사람이 멍청한 거라고
오히려 피해자가 욕을
먹기도 한다
힘이 있거나, 돈이
있거나, 똑똑하거나
무시당하지 않는/
함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는 것 밖에는 방법이
없는 걸까
가해자가 제대로 대가를
치르고
피해자가 온전히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다른 방법도
있을까
힘이 없고
약하면,
아는 것이
없으면,
억울한 일을
당해도
마냥 억울할 수밖에
없다는 걸
(해결할 수 없을 수도
있다는걸)
학창시절에 깊이
공감했으면
그냥 시험을 잘 보기
위해 공부한 게 아니라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공부했을 것 같다
이래서 역사를
알아야
발전이 있을 수
있구나
하는 걸 다시
깨닫는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
우리나라의 역사를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과거를 진정으로 반성한 적이 없는 사람들은 똑같은 범죄를 저지르기 일쑤다 - P20
한일 갈등은 양국 국민을 불행하게 만든다 - P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