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취향을 팝니다 - 콘셉트부터 디자인, 서비스, 마케팅까지 취향 저격 ‘공간’ 브랜딩의 모든 것
이경미.정은아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라인으로 대부분의 소비를 할 수 있는 요즘시대에 오프라인 매장이 꼭 필요한가?"

의문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리테일러들은 당연히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오프라인 공간은 더이상 소비의 공간이 아닌, 경험의 공간

소비자와 소통하고 교감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끌리는 공간, 사람들이 좋아하는 공간은 어떻게 만들어 졌을지,

취향이 담긴 매력적인 곳을 분석해 컨셉에 맞는

매력적인 공간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전달하고 있는 책

우리는 취향을 팝니다

이 책을 보며 내가 자주 가게 되는 곳은 어떤 이유로 자주 가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최근엔 타이거 슈가를 좋아하게 되었는데, 타이거 슈가만의 컨셉이 확실한 곳이라 성공한 가게만의 특징이 무엇일까 생각해보는 재미도 있다.

그리고 좋아하는 공간은 디즈니랜드와 같은 놀이동산이나 소품샵인데, 캐릭터에 맞게 꾸며진 모든 공간을 보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도 작고 세심한 부분에도 신경쓴 흔적이 보이기 때문이었다.

이런 작은 부분까지 누가 알아줄까 싶어도, 누군가 발견해내는 사람이 있고,

그것을 찾아낸 사람은 특별한 정을 느끼게 된다는 부분이 공감갔다.

구체적으로 나만의 가게를 만들겠다. 하는 생각은 없었지만 언젠가 나만의 공간을 꾸며보고 싶다. 하는 생각이 있었는데, 인테리어와 공간 디자인에는 전혀 무지했던 나에게 도움이 된 책이다.

지인이 인테리어 업체에서 일을 하고 있어서 인스타그램에 자주 공간 사진을 올리곤 했었는데, 이 책에도 다양한 공간 사진이 있어서 공간 디자인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이나 배우고 싶어하는 사람에게도 좋은 자료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1. 끌리는 공간은 이렇게 시작된다 : 가장 중요한 건 컨셉!

어떤 공간으로 보이고 싶은지, 어떤 이미지를 전달하고 싶은지

<이 공간에서 이런 것들을 경험했으면 좋겠다> 하는 구체적인 목표가 있어야 한다

2. 완전 내 취향인 공간은 이렇게 만들어 진다 : 보이는 것 뿐 아니라 보이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조명, 색상도 중요하지만 후각, 촉감도 중요하다

어떤 냄새가 나느냐에 따라 계속 머물고 싶은 공간이 되기도 하고, 다른 물건들도 구입하게 만들기도 한다.

동선, 선반 위치등 다양한 것들을 고려해야 한다

3. 취향 저격 공간을 만나다

다양한 컨셉을 가진 특별한 공간들을 소개하고 있다

나만의 콘셉트가 담긴 가게를 만들고자 하는 이들에게, 새로운 가게나 공간을 기획하는 이들이게 도움이 되기위해 쓰인 책으로 쉬운 용어로 설명하고자 애쓰며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매력적인 공간을 만드는데에 도움을 준다.

사진도 함께 있어서 더 좋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글 배열과 사진이 좀 안 맞는 것, 공간 디자인 하듯 책 디자인도 시선에 따라 디자인 되었으면 더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사진으로 가득한 알찬 책이었다.

 

취향 저격 공간을 만들기 위한 체크리스트!

가게를 만들거나 공간을 꾸며야 할 때, 어떤 식으로 컨셉을 잡아야 할 지 전혀 감이 잡히지 않을 때

도움이 되는 체크 리스트가 있다.

보이는 것들과 보이지 않는 것들로 나눠 세부적인 질문이 있어서 채워나가면 나만의 공간을 만드는 데에 더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책에 나온 공간들이 어디인지 자세한 주소도 적혀 있다

 

좋았던 책속 구절들

자신만의 가게를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공간에 소비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자신만의 취향을 담는 것 입니다.

공간 뿐 아니라 모든 영역에서 필요한 내용인 것 같아 더 와닿았다.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사람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먼저 자신이 좋아하는 <취향>을 담는 것이 우선이라는 것.

나의 취향은 무엇인지, 나만의 컨셉은 무엇인지 생각해보게 한다.

 

공간을 구성하는 것들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공간을 기획한다는 것은 '맞다', '틀리다'의 문제가 아닌 '좀 더 나은 것'을 찾는 문제입니다

이 부분을 읽었을 땐, 오래 전 배우 고현정이 모델이었던 광고 '조금 더'의 차이가 생각이 났다. 남들이 보기엔 똑같아 보이는 연기일지라도 고현정은 조금 더 나은 연기를 보여주기 위해 수없이 반복하고 노력한다는 내용이었는데, 그 '조금 더'를 위해 애 쓰는 것은 틀려서가 아니라 더 나아지기 위해서라고 생각하니 수정하고 반복하는 것이 의미있는 행동으로 느껴지는 구절이라 좋았다.

 

공간의 깊이를 깊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경험을 디자인 해야 합니다

너무 많은 선택지가 있으면, 소비자들은 포기하게 되고 그저 흘러가버리는 공간이 된다는 것과

상품을 배치 할 때 숨 쉴 틈이 필요하다는 것도 와 닿았다.

자신만의 취향도 있어야 하지만 상대방을 배려해야 하고 늘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러면서도 다른 누군가에게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대방의 경험을 디자인 하는 사람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하니 가게를 운영하거나 어떤 공간을 디자인 하는 사람들이 더 멋지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청소부 매뉴얼
루시아 벌린 지음, 공진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시아 벌린은 사람들이 예상치 못한

삶의 모습에 경탄하게 만든다

훌륭한 작가란 그런 것이다

_뉴욕 타임스

#책 #책스타그램 #책소개 #읽을책

@wj_booking

 

 

 

정식 출간 전 가제본으로 먼저 만나본 루시아 벌린의 단편 소설집

내가 읽은 책에는 총 43편의 단편 중

 

 

1. 에인절의 빨래방

2. H.A 모이니핸 치과

3. 별과 성인

4. 청소부 매뉴얼

5. 나의 기수

6. 엘 팀

7. 관점

8. 그녀의 첫 중독치료

9. 환상 통증

10. 호랑이에게 물어뜯기다

11. 응급실 비망록 1977

12. 잃어버린 시간

13. 카르페디엠

14. 모든 달과 모든 해

15. 선과 악

이렇게 15편의 단편 소설이 수록되어 있다

그 외 다른 소설들도 기대된다

 

단편들을 읽다 보면 땀에 찌들어 있고 생계를 위해 애써야 하는 가난한 사람의 모습이 너무 잘 그려져서 처음엔 (루시아 벌린이 어떤 사람인지 모르고- 아무 정보도 없이 읽었기에) 작가가 빈곤층에 관심이 많은 사람인 줄 알았다.

세탁 한 번, 건조 한 번 사용할 수 있는 돈밖에 없는데, 건조기에 넣어야 할 돈을 세탁기에 넣어 울먹거린 장면을 읽으며- 집 근처에 있던 코인 세탁방을 이용하다 내가 했던 실수도 생각났다. 코인 빨래방에 있는 세탁기에는 돈을 넣고 동작을 누르면 환불이 되지 않는데 빨래를 넣은 세탁기에 돈을 넣은 게 아니라 다른 세탁기에 돈을 넣고 동작 버튼을 눌러 곤란했던 기억이 있다. 이런 사소한 부분도 표현할 수 있는 있는 건 관찰을 많이 한 사람이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빨래방에서 빨래가 다 되길 기다리며 보게 되는 문구, TV 화면, 만나게 된 사람들 이야기, 소박한 일상에서 느낀 것들이 담겨 있는데 영화 <가버나움>에서 보던 가난한 사람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말투도 숨김이 없고 직설적이기도 하다.

청소부 매뉴얼을 읽으면서는 봉준호 감독의 영화 <플란다스의 개>와 <기생충> 이 생각났다. 봉준호 감독처럼 루시아 벌린도 사회의 이면을 보여주는 걸까. 아무도 가까이하고 싶어 하지 않는 가난한 삶을 가까이 보여주는 걸까 고민했었는데, 간단히 작가의 약력을 읽으며 단순한 단편 소설이 아니라 작가의 삶이 녹아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루시아 벌린(1936~2004)은 24살에 처음으로 단편소설을 발표했고, 서부의 탄광촌, 칠레에서 보낸 10대의 일부, 실패한 3번의 결혼, 알코올 중독, 싱글맘으로 네 아들을 부양하기 위해 일한 경험 등을 작품에 그려 넣었다. 루시아 벌린의 단편을 읽다 보면 그녀의 삶이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자신의 경험을 통해 느낀 것들이 담겨있어 모습들이 더욱 생생하게 그려졌던 거였다.

유명하고 화려하고, 신기하고, 대단한 것만 이야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하찮아 보이고 작아 보이는 것도 위대한 이야기가 될 수 있다.

[가난, 질병, 상처] 꺼려지고 외면하고 싶은 단어지만 우리 삶에 녹아져 있어 쉽게 외면할 수 없는 단어들. 루시아 벌린의 소설 속엔 이 단어들이 숨겨져 있다. 가난하고 아프고 상처받은 삶 속에도 다양한 모습이 있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루시아 벌린이 죽은 후 11년 만에 문학 천재로 떠오르게 된 건, 무시했기에 제대로 보지 않았던 모습에서 보석을 발견해 낸 누군가가 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별일 아니라 생각해 무심히 넘겨왔던 것들이나 무시했던 것들을 다시 들여다보며 일상에 숨겨져 있는 보석을 찾아봐야겠다.

 

 

책 속 구절

다른 사람의 심정이 어떤지 안다는 사람은 다 바보다 -9p

 

청소부들은 사실 물건을 훔친다 하지만 우리를 고용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염려할 것들은 아니다. 결국 우리를 돌게 만드는 건 과잉 반응이다. 우리는 작은 재떨이에 놓아둔 잔돈 따위는 탐내지 않는다. 나는 오히려 1센트짜리 동전 몇 개뿐 아니라 10센트짜리 동전도 하나 보탠다 -43p

 

청소부를 위한 조언 : 원칙적으로 친구들 집 일은 절대로 하지 말 것. 조만간 우리는 그들에 대해 너무 속속들이 알게 되고, 그러면 그들은 우리를 불쾌하게 생각한다. 또는 그들을 너무 속속들이 알고 나면 반대로 우리가 그들을 불쾌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46p

버스가 늦는다. 차들이 휙휙 지나간다. 차를 타고 지나가는 부자들은 거리에 있는 사람들을 절대로 보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들은 차를 타고 지나다니면서 늘 거리에 있는 사람들을 본다. 사실 그들은 그냥 차를 타고 돌아다니며 거리에 있는 사람들이나 보는 것 같다. 가난한 사람들은 많이 기다린다. 사회보장연금 수령, 실직수당 신청, 빨래방, 공중전화, 응급실, 감옥 기타 등등 - 47p

병원에서 일하면서 배운 게 하나 있다면 아픈 환자일수록 조용하다는 것이다 - 148p

나는 보통 늙어가는 것이 아무렇지 않다. 어떤 것들을 보면 아픔을 느끼는데, 스케이트 타는 사람들을 보면 그렇다. 머리를 휘날리며 긴 다리로 미끄러지듯 나아가는 그들은 얼마나 자유로워 보이는지. 또 어떤 것들은 나를 공황 상태에 빠뜨린다, 샌프란시스코 고속철도 문이 그렇다. 열차가 정지하고도 한참 기다려야 문이 열린다. 아주 오랜 시간은 아니지만 너무 길다. 시간이 없는데.

빨래방은 또 어떻고. 하지만 빨래방은 내가 젊었을 때도 문제였다. 너무 오래 걸린다. 스피드퀸 세탁기도 그렇다. 거기에 앉아 있는 동안 인생이 눈앞을 휙 지나간다. -160p

"일주일에 한 번 가서 먹을 걸 주는 걸고 뭐가 달라져요? 그들의 생활은 조금도 나아지지 않잖아요. 아니, 일주일에 한 번 빵이나 주는 걸로는 안 되잖아요."

그건 그렇지만 그녀는 혁명을 하고 모든 걸 공유할 때까지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뭐든 해야 한다고 했다.

"저 사람들은 자기들이 여기에 살고 있다는 걸 바깥세상의 누군가는 알고 있다는 걸 알 필요가 있어. 우리는 저들에게 세상이 곧 바뀔 거라고 말해주지. 희망. 그건 희망의 문제야." 도슨 선생님이 말했다. -196p

"세상엔 바꿔야 할 게 많다는 건 알겠어요. 하지만 그건 그 사람들의 싸움이지 내 싸움이 아니에요."

"너 모르겠어? 그 태도, 바로 그게 세상의 문제라는 걸?" -20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모두는 정신병자다 - 정신질환을 극복하는 칼 융의 힐링 마인드 스토리
최금락 지음, 정재훈.이시혁 그림, 유광남 기획 / 스타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심리학자 융과 같은 이름을

가진 융 박사가 등장하여

피해망상, 공황장애, 신체 변형 장애

우울증, 편집증, 트라우마 등으로

괴로움을 겪고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아픔을 공감하며

해결 방법을 함께 모색해 간다

정신 질환의 가장 큰 원인은

사랑의 결핍

사랑 받기만을 바라거나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는 경우

고통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고 한다

그래서 스스로를 가치있는 존재로 여기며

먼저 자신부터 사랑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장(대사들)이 있어서 좋았다

융의 정신 분석을 만화로 표현해

정신 질환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어떤 심리로 인해 행동하게 된건지

그림으로 보며 느낄 수 있다

이 책은 정신 질환이 심각해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데

극단적인 모습은 아니어도

조금씩 내재되어있는 마음이라

우리 모두는 정신병자라는 제목이 와 닿는다

처음엔 그림이 무섭게도 느껴졌는데

어느새 빠져들어 그림체는 신경쓰이지 않았고

오히려 표현하기에 적절하다는 생각도 든다

울컥하는 페이지, 와닿은 부분도 많았다

 

 

 

 

 

만화로 되어 있어 쉽게 읽을 수 있고

정신 질환이 심각해지면 어떤 증상을

일으키는지 좀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한

방법도 소개하고 있다

마음의 병은 눈에 보이지 않아

이겨내기 어려운 것 같지만

또 한 편으론 쉽다

별 거 아니야 괜찮아

자신을 토닥여줄 수 있다면

자기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순간부터

마음이 병들게 된다는 걸 기억해야 한다

타인을 이해하고 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

 

 

 

 

 

손글씨 책리뷰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p/By2NR_OFrfZ/?igshid=tk2y67u5ug3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브! 리커버 책 넘 예뻐요https://www.instagram.com/p/Bpq0s4ggT2f/?igshid=bjs4fzd6n6j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엄마는 행복하지 않다고 했다
김미향 지음 / 넥서스BOOKS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생각해보면 엄마(부모)는 아이를 낳은 후, 아이의 일상을, 순간을 기억하고 기록한다.

아이를 낳은 사람들의 sns가 아이 사진으로 도배되는 걸 보면서 부모가 아이를 기억하는 건 당연한 것처럼 여겨졌는데, 참 감사한 일이었다. 평범한 일상을 소중하게 기억해주는 이가 있다는 건.

부모가 아이를 기억하고 기록하듯 부모님을 기억했는가 돌아보면, 나는 내가 사느라 정신이 없어서 부모님의 모습을 제대로 본 적이 없었던 것 같다. 사실 새삼스럽게 여겨지는 사소한 질문조차도 부끄럽게 여겨져서 부모님껜 늘 무뚝뚝한 딸이었다.

그래서 부모님의 일생을 비디오로 보듯 쭉 살펴볼 수 있다면 좋을 텐데- 생각한 적도 있다. 차마 다 말하지 못했던 사소한 일상과 어린 시절도 전부 보고 나면 우리 엄마를, 부모님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책. 엄마는 행복하지 않다고 했다

63페이지 _ 스스로 목숨을 끊은 엄마, 엄마는 그 흔한 유서 한 장 조차 남기지 않았다. 엄마가 왜 스스로 죽음을 택했는지는 영원히 미지수로 남을 테다

는 글을 읽으며 마음이 아팠다. 작별 인사도 하지 못하고 마지막 마음조차 전하지 못하고 내가 혹은 소중한 이가 어느 날 갑자기 다시는 이야기를 나눌 수 없는 날이 올 수도 있다.

진짜 마지막이 오면 작별 인사 같은 건 할 수가 없다고 그래서 작별 인사는 미리 하는 거라고 했던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 (ep6) 속 대사도 생각난다.

엄마를 기억하고 싶어도 제대로 아는 게 없으면 너무 마음 아플 테니까. 조금 부끄러워도 용기 내어서 엄마는 무슨 생각을 했는지, 어떤 마음으로 살고 있는지 물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부모님과 살갑게 대화하지 않고 단답형으로 대답한지 20년이 넘었으니 쉽게 바뀌진 않겠지만 가장 소중한 대상을 소홀히 대했던 모습이 떠올라 반성하게 된 책이다.

육아 일기를 쓰듯, 엄마처럼 엄마를 기록할 수는 없지만.

언제가 기억하고 싶을 때 다시 꺼내 볼 수 있도록

내가 가장 사랑하는 엄마, 소중한 엄마에 대한 기록을 남겨야겠다.

 

나의 고통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사람들은 너무나도 쉽게 시간이 지났으니 이제 내가 고통에서 헤어났으리라 짐작하곤 한다

하지만 우리 가족은 아직도 깊은 터널 속에 있다

그 터널의 어두움은 터널에 있어 본 이들만이 알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쉽게 다른 사람의 고통을, 상실을 이해한다고 말하는 이들이 무섭다

나는 이제 다시는 누구의 고통도 섣불리 재단할 수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71p

 

 

어떤 내용인지 살짝 살펴보려다 왈칵

눈물 흘린 부분

엄마는 행복하지 않다고 했다는

제목을 처음 봤을 땐

엄마에게 잘못했던 것들이 떠올라

찔리는 마음이 있었는데

행복하지 않은 이유가

무언가 잘못했거나

속 썩이게 해서가 아니라

보고 싶어서라니

엄마에게 너무 무심했던 모습을 반성하게 한 책

김미향 작가님의 솔직한 고백을 통해

나를 돌아보게 한다.

죽어서도 자식을 걱정하는

엄마 마음은 어떤 마음일까

엄마는 어떤 마음으로 나를 키우셨을까

사랑하는 엄마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