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고대 그리스어로 ‘두 강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라는 의미이다.

현재의 이라크 수도 바그다드 부근을 경계로 북부의 아시리아와 남부의 바빌로니아로 나뉘며,

바빌로니아는 다시 북부의 아카드와 남부의 수메르로 나뉜다.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은 터키의 토로스산맥과 자그로스산맥에서 발원해 남동쪽으로 흘러 바스라 근처에서 만난다.

두 강 사이에 낀 메소포타미아의 하구 지역(수메르 지방)에서 청동기를 쓰는 수메르인이 메소포타미아문명을 일으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메로스의 서사시는 인간으로서 겪는 모험과

인간이라고 불리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인간적 삶의 본질을 노래했기 때문에

그리스 문화 형성의 뿌리가 되었다고 평가받았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의 대표 철학자인 플라톤과 크세노파네스 등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 등장하는 신들이

부도덕하다는 이유로 젊은이의 교육에 부적합하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

한편, 플라톤의 제자이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스승인 아리스토텔레스와 로마의 시인 호라티우스는 호메로스를 극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 사회는 성장과 실패를 기다려주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느긋하게 타인의 성장을 기다려준 적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래서 삶이 고달픕니다.

현대 인류는 과거의 어느 시대처럼 남자 14세, 여자 12세가 되면 결혼이 가능한 연령이라고 보지 않지만,

여전히 우리는 14세, 12세가 되면 자신의 삶을 선택해야 합니다.

과거의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빨리 성장하여 혼인하고 미래세대를 낳아 번성해 가기를 바랐다면,

현대인들은 이른 시기부터 자기 앞가림을 강요받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치 초화류가 몇 개월 만에 빠르게 자라서 태양에서 얻은 에너지로 꽃을 피우고 씨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말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달음은 톨스토이의 농노들이 가난하고 고된 삶을 살고 있지만, 행복해 보였다는 사실에서 출발했다.

그들은 주변에 대해서 별 관심도 없고,

저녁에 모여 감자를 먹으며 웃었다.

누군가 병으로 죽으면 하루 정도는 통곡했지만,

금세 일상을 되찾고 굴러가는 나뭇잎을 보고도 흰 이를 드러내며 웃었다.

예전이라면 저렇게 생각 없는 웃음이 무슨 가치가 있냐고 실소 했겠지만,

삶의 의욕을 잃은 상황에서는 그들의 건강한 행복을 다시 보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이 책을 쓰기 전에 『탁월함에 이르는 노트의 비밀』이라는 책을 썼다.

거기서 천재라고 불리는 데 이견이 없는 과학자들이 지닌 천재성의 이면에 숨겨진 노트를 들춰내고,

그 노트를 따라 쓴다면 누구든지 탁월해질 수 있다는 주장을 폈다.

하늘은 공평해서 누구에게나 천재성을 주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것을 꺼내지 않은 채 평범하게 사는 것을 미덕으로 여긴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탁월한 사람은 남다른 사람이다.

경쟁에 승리하여 금메달을 거머쥔 자는 탁월한 사람이 아니라,

우수한 사람일 뿐이다.

탁월한 사람은 남다른 사람, 즉 남다른 길을 가는 사람이다

"우리는 모두 탁월함으로 나아갈 문을 갖고 태어났고, 그 문을 찾고 두드리면 열린다."

우리 내면에 존재하는 탁월함으로 나가는 문을 여는 건 어렵지않다.

바로 나다워지는 것이다.

나답지 않은 허물을 모두 벗어 던지면 그 끝자락에 진정한 나 자신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