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HAVE A DREAM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조지아 주의 붉은 언덕에서 노예의 후손들과 노예 주인의 후손들이 형제처럼 손을 맞잡고 나란히 앉게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이글거리는 불의와 억압이 존재하는 미시시피 주가 자유와 정의의 오아시스가 되는 꿈입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내 아이들이 피부색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지 않고 인격을 기준으로, 사람을 평가하는 나라에서 살게 되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지금은 지독한 인종차별주의자들과 주지사가 간섭이니 무효니 하는 말을 떠벌리고 있는 앨라배마 주에서, 흑인어린이들이 백인어린이들과 형제자매처럼 손을 마주잡을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는 꿈입니다. 지금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골짜기마다 돋우어지고 산마다, 작은 산마다 낮아지며 고르지 않은 곳이 평탄게 되며 험한 곳이 평지가 될 것이요, 주님의 영광이 나타나고모든 육체가 그것을 함께 보게 될 날이 있을 것이라는 꿈입니다. - P5
미국에 사는 흑인들은 누구나 ‘아이들에게 인종차별과 흑백분리제도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는가‘의 문제에 직면하게 마련이다. 어머니는 우리들에게 "자신이 ‘당당한 인간‘임을 잠시라도 잊지 말아라. 사회에 나가서 ‘열등하다‘거나 ‘못났다‘는 말을 듣는 일이 생기더라도 언제나 당당한 태도로 맞서야 한다"고 일깨워주셨다. 노예제도와 남북전쟁, 그리고 노예제도의 종말에 대한 이야기를 처음 들은 것도 어머니를 통해서였다. 어머니는 남부의 일부 지역에선 아직도 학교와 식당, 극장, 주택, 술집, 대합실, 화장실 등에 흑백분리제도가 잔존해 있지만 그것은 자연적인 질서가 아니라 사회적인 상황일 뿐이니 이런 제도에 순응해서도 안 되고열등감을 느꺼서도 안 된다고 말씀하셨다. 어머니는 내게 "너는 누구못지않게 뛰어난 아이"라고 말씀하셨다. 이 말은 대부분의 흑인아이들이 ‘불평등‘이 무엇인지, 왜 이런 말을 들어야 하는지 이해할 수 없는 시절부터 늘 듣는 말이다. - P13
나는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안락한 가정에서 자랐다. 하지만 친구들을비롯한 주위 사람들이 경제적 궁핍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면서 인종차별뒤에는 경제적인 차별이 쌍둥이처럼 따라다닌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10대 후반에 나는 두 해에 걸쳐서 여름방학을 이용해 돈벌이를 했다. 아버지는 근로조건이 열악하였기에 우리 형제가 백인 밑에서 일하는 것을 원치 않으셨다. 우리가 일했던 농장은 흑인과 백인을 함께 고용하고있었다. 그곳에서 나는 가난한 백인들도 흑인들과 마찬가지로 경제적인차별을 당하면서 착취당하고 있음을 깨달았다. 이런 경험들은 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불평등에 대해 더 깊이 인식하게 했다. - P21
나는 간디에 관한 책을 읽기 전까지는 예수의 가르침이 개인적인 관계에서만 유용하다고 판단했다. 즉 "오른뺨을 때리면 왼뺨을 내밀어라" "네 원수를 사랑하라"는 사상은 개인간의 갈등에만 적용되는 것이며, 인종간 갈등이나 국가간 갈등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간디의 사상을 읽고 나서 이제까지의 생각이 그릇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었다. 간디는 사랑에 관한 예수의 가르침을 개인들간의 단순한 상호관계를넘어 강력하고 효과적인 대규모의 사회적 역량으로 승화시킨 최초의 인물이었다. 간디에게 사회와 집단을 변모시킬 수 있는 강력한 도구는 바로 사랑이었다. 간디의 사랑과 비폭력에 대한 설득력 있는 이론 속에서 나는 지금껏 찾아 헤맸던 사회개혁 방법론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나는 간디의 비폭력저항운동에서 지적인 만족과 도덕적 만족을 얻을 수 있었다. - P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