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뜻 나이지리아의 유언비어와 닮은 것처럼 보였지만, 안타깝게도 이 주장은 좀더 쉽게 사실로 확인되었다. 미국 중앙 정보국CIA은 오사마 빈 라덴을 추적하던 중 그의 소재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될 DNA 증거를 모으기 위해서 실제로 가짜 백신 접종캠페인을 벌였다. 진짜 B형 간염 백신을 제공하되 면역 형성에 필요한 3회 용량을 다 놓진 않는 식이었다. 여느 전쟁행위가 그렇듯이, 이 기만은 결국 여자들과 아이들의 목숨을 대가로 치를 것이었다. 파키스탄 여성 보건 인력은 방문 의료를 제공하도록 훈련받은 여성 11만 명 남짓으로 구성된 단체로, 그러잖아도 탈리반으로부터 잔인한 위협을받으며 버텨 온 터라 심지어 CIA와 연루되는 건 절대 사양할 일일 것이었다. 탈리반이 접종을 금한 지 오래지 않아, 소아마비 백신 접종원 9명이 조직적으로 계획된 일련의 공격에 살해되었다. 그중 5명은 여성이었다. 파키스탄의 소아마비 근절 캠페인은 살인 사건 이후 일시 중단되었으나, 캠페인이 재개되자 파키스탄과 나이지리아 양쪽에서 살인도 재개되었다. 2013년 나이지리아에서 소아마비 백신 접종원 9명이 총에 맞아 죽었고, 내가 이글을 쓰는 현재까지 파키스탄에서는 보건 노동자 22명이살해되었다. - P134
철학자 마이클 메리는 아동 비만을 통제하려는 각종 노력에 대해서 논하던 중, 가부장주의를 좋은영향을 끼치거나 피해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타인의 자유에 간섭하는 일로 정의했다. 그는 이런 종류의 가부장주의가 교통 법규, 총기 통제, 환경 규제에 반영되어 있다고 말했다. 이런 규제들은 비록 선의에서 나온 것일망정 어쨌든 자유에 대한 제약이다. 메리는 비만 아동에 대한부모의 양육 방식에 타인이 개입하는 건 꼭 선의라고만은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위험 평가에는 위험이 따른다. 자칫하면 안 그래도 체형 때문에 낙인이 찍힌 아이가 더욱더 놀림감이 될 수도 있다. 비만 위험이 높다고 판단된 가족은 차별적 감독을 당할 위험이 있다. 위험 예방이 곧잘 힘의 강압적 사용을 정당화한다는 게 메리의 지적이다. - P151
나는 아들의 수술에 여전히 감사한다. 그러나 마취 의사에게는 여전히 화가 나고, 신뢰하지 않는 사람에게 아이를맡겼던 나 자신도 여전히 실망스럽다. 철학자 마크 새고프는 이렇게 말했다. 〈신뢰가 있다면, 가부장주의는 불필요하다. 신뢰가 없다면, 가부장주의는 비양심적이다.> 우리는 이중 구속에 걸려 있다. - P159
일단 수두에 걸리면, 수두 바이러스가 몸에서 영원히 떠나지 않는다. 바이러스는 신경 뿌리에 남아 있고, 면역계는 남은 평생 그것을 저지해야 한다. 그러다 스트레스가 심한 시기에, 바이러스는 신경을 감염시켜 통증을 일으키는 대상 포진으로 되살아난다. 깨어난 바이러스는 뇌졸중과 마비를 일으킬 수 있는데, 그보다 더 흔한 대상 포진 합병증은 몇 달 혹은 몇 년씩 이어지는 신경 통증이다. 수두의 경우, 실제 질병에 의해서 생성된 면역은 질병과 영원한 관계를 맺게 된다는 걸 뜻한다. - P1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