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물은 두 산 사이에서 쏟아져 나와, 바윗돌과 부딪치며 거세게 다툰다. 그 화들짝 놀란 듯한 파도, 분노를 일으킨 듯한 물결, 슬피 원망하는 듯한 여울물은 내달아 부딪치고 휘말려 곤두박질치며 울부짖고 고함치는듯하여, 항상 만리장성을 쳐부술 듯한 기세를 지니고 있다. 전거戰(전투용 수레) 만 채, 전기 (기마병) 만 대隊(대열隊列), 전포戰砲 만 문, 전고戰鼓 만개로도, 무너져 내려앉고 터져 나오며 짓누르는 저 강물의 소리를 비유하기에 부족하다. 백사장에는 거대한 바윗돌이 우뚝하게 늘어서 있고, 강둑에는 버드나무들이 어두컴컴하여 형체를 분간하기 힘들다. 흡사 물귀신들이 다투어나와 잘난 체 뽐내는 듯하고, 좌우에서 이무기들이 사람을 낚아채려고 애쓰는 듯하다. - P282
강물을 건널 적에 사람들이 모두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보길래, 나는 그 사람들이 고개를 쳐들고 하늘을 향해 속으로 기도를 드리나 보다 하였다. 그런데 한참 있다가 안 사실이지만, 강을 건너는 사람이 물을 살펴보면 물이 소용돌이치고 용솟음치니, 몸은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듯하고 눈길은 물살을 따라 흘러가는 듯하여, 곧 어지럼증이 나서 물에빠지게 된다. 그러니 저 사람들이 고개를 쳐든 것은 하늘에 기도를 드리는 것이 아니요, 물을 외면하고 보지 않으려는 짓일 뿐이었다. 또한 잠깐 재에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 판인데 어느 겨를에 속으로 목숨을 빌었겠는가. 이와 같이 위태로운데도, 강물 소리를 듣지 못하였다. "요동 벌판이 평평하고 드넓기 때문에 강물이 거세게 소리를 내지 않는 것이다" 라고 모두들 말하였다. 그러나 이는 강에 대해 잘 모르고 한 말이다. 요하가 소리를 내지 않은 적이 없건만, 단지 밤중에 건너지 않아서 그랬을 뿐이다. 낮에는 물을 살펴볼 수 있는 까닭에 눈이 오로지 위태로운 데로 쏠리어, 한창 벌벌 떨면서 두 눈이 있음을 도리어 우환으로 여기는 터에, 또 어디서 소리가 들렸겠는가? 그런데 지금 나는 밤중에 강을 건너기에눈으로 위태로움을 살펴보지 못하니, 위태로움이 오로지 듣는 데로 쏠리어 귀로 인해 한창 벌벌 떨면서 걱정을 금할 수 없었다. 나는 마침내 이제 도道를 깨달았도다! 마음을 차분히 다스린 사람에게는 귀와 눈이 누를 끼치지 못하지만, 제 귀와 눈만 믿는 사람에게는 보고 듣는 것이 자세하면 할수록 병폐가 되는 법이다. - P284
소리와 빛깔은 나의 외부에 있는 사물이다. 이러한 외부의 사물이 항상 귀와 눈에 누를 끼쳐서, 사람이 올바르게 보고 듣는 것을 이와 같이 그르치게 하는 것이다. 그런데 하물며 사람이 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강을 건너는 것보다 훨씬 더 위험할 뿐 아니라, 보고 듣는 것이 수시로 병폐가 됨에랴! 나는 장차 나의 산중으로 돌아가 대문 앞 계곡의 물소리를 다시 들으며 이와 같은 깨달음을 검증하고, 아울러 처신에 능란하여 제 귀와 눈의 총명함만 믿는 사람들에게도 경고하련다. - P286
문득 보니 발(廉) 곁에서 제비가 지저귀는데, 이른바 ‘회여지지 지지위지지‘ 회汝知之 知之爲知之라 하기에, 나도 모르게 웃음을 터뜨리며, •••••• 회여지지 지지위지지 회汝知之 知之爲知之 : 『논어』에 나오는 말이다. 공자가 자로子路에게 말하기를 "너에게 아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아는 것이니라"(회汝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知 是知也)라고 하였는데, 원문의 음이 제비의 지저귀는 소리와 비슷하다 하여 제비의 울음소리를 묘사할 때 흔히 쓰인다. *가르칠 회 - P330
하지만 지기를 잃은 쓰라림으로 말하자면 그렇지가 않네. 내가 다행히 눈을 지녔지만 누구와 더불어 나의 보는 것을 같이하겠는가? 내가 다행히 귀를 지녔지만 누구와 더불어 나의 듣는 것을 같이하겠는가? 내가 다행히 입을 지녔지만 누구와 더불어 나의 맛을 함께하겠는가? 내가 다행히 코를 지녔지만 누구와 더불어 나의 향내 맡음을 같이하겠는가? 내가 다행히 마음을 지녔지만 장차 누구와 더불어 나의 지혜와 깨달음을같이 하겠는가? - P3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