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는 도로써 나라를 전했는데, 지금은 보물로써 나라를 전한다. 태위 주발은 옥새를 손에 넣자, 제 것인 양 하면서 군주를 횡재한 물건처럼 여겼다. 대장군 곽광藿光도 옥새를 손에 넣자, 제 것인 양하면서 몸소 군주에게 채워 주기도 하고, 몸소 군주에게서 끌러 내기도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옥새는 천하를 좌우하는 것이 되어서, 옥새가있는 것을 보면 사방에서 일어나 엇보고 노리게 되었다. 더구나 군주가죽은 비상시국에는 내시나 후궁들이 이것을 손에 넣었다가 제가 좋아하는 자에게 주어 환심을 사기도 했는데, 그래도 대신들은 그저 ‘예, 예‘ 복종하고 세상 사람들도 감히 이의를 달지 못하였다. 아아! 천하를 전하는 것은 막중한 대사이다. 그런데 어찌하여 한낱 옥새로써 천하를 전해 받은 증거물로 삼기를, 마치 현승이나 현위가 인끈을 품고 다니듯이 하는가? - P414
"천하의 물건치고 하나의 그릇 아닌 것이 어디 있겠는가. 다만 꼭 맞는 곳에 사용할 따름일세, 붓이 먹을 머금은 채 딴딴히 굳어지면 모지라지기 쉬운 법이기에, 항상 그 먹을 씻어서 붓을 부드럽게 해 두지. 그러므로 이 그릇이 필세가 된 것일세." - P424
작고하신 형님을 그리며 燕岩憶先兄
우리 형님 얼굴 수염 누구를 닮았던고 돌아가신 아버님 생각나면 우리 형님 쳐다봤지 이제 형님 그리우면 어드메서 본단 말고 두건 쓰고 옷 입고 가 냇물에 비친 나를 봐야겠네
我兄顏髮會誰似 每憶先君看我兄 今日思兄何處見 自將中铁映溪行 - P436
한때는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고문古文(고전적 산문)의 대가‘로 연암을꼽기도 했고, 또 한때는 양반 사회의 모순을 통렬하게 풍자한 ‘소설가‘로서 그를 높이 평가하기도 했다. 최근에 들어 연암은 소설뿐 아니라『열하일기』와 산문, 한시 등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리얼리즘과 민족문학적 개성을 추구한 ‘우리 근대문학의 선구자‘ 라는 정평을 얻는가 싶더니, 평범한 일상사를 가볍고 참신하게 표현한 ‘소품문小品文의 작가‘로 새삼스레 주목을 받기도 한다. - P469
‘옛것을 본받되 새롭게 창조하자‘는 법고창신론은, 연암이 명나라 말 청나라 초 중국 문학계의 변화와 그에 영향 받은 당시 조선의 창작 경향을 비판하고 그 대안으로 제시한 문학론이다. 「초정집서」楚亭集序에서 연암은 명나라의 작가들이 ‘법고파‘와 ‘창신파‘로 분열·대립하다가, 둘다 바른길을 얻지 못하고 말세의 하찮은 문학으로 타락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여기서 말한 법고파란 오로지 고대의 문학만을 모범으로 삼아 창작할 것을 주장한 일파로서, 이반룡과 왕세정 등이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창신파란 그러한 고전의 구속에서 벗어나 참신한 개성적 표현을 추구한 일파로서, 원굉도袁宏道 형제 등이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그 중 법고파의 문학이 선조 때 국내에 소개된 이래 지속적으로 큰영향을 끼치고 있었으나, 한편으로 창신파의 문학도 뒤이어 국내에 점차 소개되면서 변화를 갈망하던 일부 문인들을 사로잡기 시작했다. 그 결과 당시 조선 문단에는 중국의 고전에 대한 피상적인 모방을 일삼는 폐단이 심했을 뿐 아니라, 그에 대한 반동으로 새로운 유행을 무분별하게 좇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었다. 연암은 이러한 두 가지 극단적인 경향을 모두 경계했다. 고전의 겉모습만 시대착오적으로 모방할 것이 아니라 당대 중국의 현실을 참되게 그리고자 한 그 내면의 정신을 본받아야 하며, 이와 같은 고전의 정신을 되살려 오늘의 우리 현실을 참되게 그린 문학을 창조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 P479
1874년 양력 2월(고종 10년 12월) 박규수가 우의정으로 임명되자, 그의 조부인 연암에게도 좌찬성左贊成의 관직이 추증追贈되었다. 그리고 1910년 8월 조선왕조가 망하기 직전에 연암에게 문도 文度라는 시호證號가 내려졌다. - P502
우리는 지금 전지구적 차원에서 자본주의 체제가 완성되면서 세계가 급속히 하나로 통합되어 가는 새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하여 국가·민족·문명·계층·지역·성별 등 기존의 모든 경계가 허물어지는 가운데 심각한 정체성의 혼란과인간다운 삶의 위기를 겪고 있다. 이른바 세계화의 도도한 물결에 직면하여 어떻게 주체적으로 인간답게 살아갈 것인가? 이것이 우리 시대의 화두 話頭라고 한다면, 시대착오적인 고루한 사고방식을 버리고 발상을전환하여 사물을 새롭게 인식할 것을 가르친 연암의 작품들은 그에 응답하는 살아 있는 고전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만약 연암이 살아 있다면 현대의 당면 과제에 대해 과연 어떤 대안을제시했을까 하는 관점에서, 그의 문학과 사상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하는 일은 온전히 우리의 몫으로 남아 있다. - P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