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아름다움의 가치는 금본위제와 마찬가지다. 아름다움 자체에는 아무런 내재적 가치가 없으며, 다른 외재적 가치, 즉 좋은 유전자‘나 ‘직접적인 이익‘을 표상할 때만 가치가 생긴다. 그와 대조적으로, 아름다움에 관한 다윈-피셔의 견해는 현대 화폐와 마찬가지다. 아름다움이 가치가 있는 것은, 오직 동물들이 아름다움의 가치를 인정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이다. 아름다움의 가치는 내재적이며, 자신을 위해 진화할 수 있다. 아름다움은 돈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장치이며, 랜드-커크패트릭의 영가설은 그 과정을 수학적으로 기술한 것이다.
- P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