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윈은 성선택 과정에서 두 개의, 독특하면서 잠재적으로 상반되는 진화 메커니즘이 작동한다고 상정했다. 첫 번째 메커니즘은 전쟁의 법칙law of battle 으로, 하나의 성(종종 수컷)에 속하는 개체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이성 개체에 대한 성적 통제sexual control를 둘러싼 투쟁이다. 다윈은 이런 가설을 세웠다. "성적 통제를 둘러싼 전쟁은 큰몸집, 공격용 무기(예: 뾰족한 뿔horn, 가지 모양의 뿔antler, 돌출부), 물리적 통제 메커니즘의 진화로 이어진다." 두 번째 성선택 메커니즘은 미적 취향taste for the beautiful으로, 하나의 성(특히 암컷)에 속하는 개체들이 자신만의 고유한 선호에 근거하여 배우자를 선택하는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다윈의 가설에 따르면, 자연계에서 아름답고 만족스러운 형질을 보유한 개체들이 많이 진화한 것은 성선택 때문이다. 이러한 형질들을 장식용 형질ormanental trait 이라고 하며, 새의 노래, 다채로운 깃털, 각종 치장에서부터 맨드릴개코원숭이Mandrill의 빛나는 파란색 얼굴과 후구hindquarter(뒷다리와 궁둥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거미, 곤충, 새, 포유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조사를 통해, 다윈은 많은 종에 나타난 성선택의 증거를 검토했다. 그는 전쟁의 법칙과 미적 취향에 따라, 자연계에서 무기와 장식물이 진화한 과정을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 P42
다윈의 성선택 이론에는 미학적인 것 말고 독특한 점이 또 하나있는데, 그건 바로 공진화적 coevolutionary 이라는 것이다. 다윈의 가설에 따르면, 배우자선택에 사용되는 ‘특정 과시형질 specific display train‘과 ‘미의 기준 standard of beauty‘은 함께 진화하며 서로 영향을 미치고 강화하는데, 이 역시 청란의 사례에서 증명되었다.
수컷 청란의 아름다움은 ‘보다 화려하게 치장한 수컷‘을 원하는 암컷의 선호에 따라 여러 세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획득되었다. 한편, 암컷의 심미적인 능력은 실습과 습관을 통해 진보했는데, 이는 우리의 취향이 점차 개선되는 것과 같은 이치다. - P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