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므로 용병의 원칙은 높은 언덕에 있는 적을 향해 싸우지 말고, 언덕을 등지고 있는 적은 맞이해 싸우지 말아야 한다. 거짓으로 패한 척하는 적은 추격하지 말고, 날카로운 병사가 있는 적을 공격하지 말아야 하며, 미끼를 던지는 부대는 공격하지 말고, 고향으로 돌아가는 부대는 가로막지 말며, 적을 포위할 때는 한쪽을 터주어야하고, 궁지에 몰린 적은 추격하지 말아야 하니, 이것은 용병의 원칙이다. - P206
적이 오지 않으리라 믿지 말고 자신을 강하게 하라 이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자의 생각은 반드시 이해관계를 함께 고려해야만 한다. [해로움을 생각할 이로움을 함께 고려하면 더욱 믿을 수 있는 방향[전투 임무를 완성하는 것]으로 힘쓸 수 있으며, [이로움을 생각할 때] 해로움을 함께 고려하면 실로 근심을 풀 수 있다. 이런 까닭으로 [적국의] 제후를 굴복시킬 수 있는 것은 해로움을 보여줌으로써 그것을 알게 하기 때문이고, 적국의 군주를 부리는 것은 [그로 하여금 쓸데없는 일에] 힘을 쓰게 하기 때문이며, [적국의] 제후를 달려오게 하는 것은 이로움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용병의 원칙은 적이 공격해오지 않을 것이라고 믿지 않고 아군이 대적할 방책을 믿으며, 적이 공격하지 않으리라는 것을 믿지 않고 적이 나를 공격할 수 없게 하는 것을 믿는 것이다. - P224
그러므로 장수에게는 다섯 가지의 위험한 일이 있으니, [장수가 용맹이 지나쳐] 반드시 죽음을 각오하고 [싸우면] 죽을 수 있고, 반드시 살기를 각오하고 [싸우면] 사로잡히게 되며, 분을 이기지 못해 성급하게 행동하면 모욕을 당할 수 있고, 성품이 지나치게 깨끗하면 치욕을 당할 수 있으며, 백성들을 지나치게 사랑하면 번민을 하게 된다. 무릇 이 다섯 가지는 장수의 허물이며, 용병의 재앙이다. 군대를 파멸시키고 장수를 죽게 하는 것은 반드시 다섯 가지 위험에서 비롯되니 살피지 않을 수 없다. - P227
여기서 ‘반제 半濟‘라는 말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한다. 이 말은 먼저 건너간 병사들은 뒤의 병사들을 돌보지 않고, 뒤에서 강을 건너는 병사들 중 반쯤 건넌 병사들은 먼저 건너간 병사들을 부러워할 뿐 뒤에 처진 병사들은 돌보지 않는다. 따라서 뒤에 있는 병사들 역시 앞선 병사들을 원망하며 전쟁을 쉽게 포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한 군대가 이렇게 나뉘면 전의를 상실하게 되니 이때 공격하는 것이 이롭다는 의미이다. 손자는 어떤 경우에도 적에게 인의를 베푸는 것에 찬성하지 않았다. 적군이 전열을 가다듬지 않았을 때 가차 없이 공격해 승리를쟁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이기지 않으면자신이 죽게 되는 것이 바로 전쟁의 속성이라고 보았다. - P2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