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마셜은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을 반박했다. 앞서 마르크스를 이야기하며 잠깐 언급했던 이야기인데, 여기에서 이에 대해 좀 더 깊이있게 다뤄보자. 우선 그는 인간은 물질을 창조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즉, 인간은 기존에 존재하는 물질을 재배열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더 많은 만족을 줄 수 있을 뿐이다. 자본가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돈을 나눠줌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만족을 분배한다. 그들이 벌어들이는 수입은 기다림에 대한 보상이다. 즉, 그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돈을 오늘 먹고, 입고, 자고, 마시고 싶은 것에 쓰면서 쾌락을 즐길 수도 있지만 참고 또 참는 것이다. 마셜이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을 어떻게 반박하는지 직접 들어보자.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자들은 노동자가 항상 자신이 판매하는 노동력에 대한 대가인 임금과 자본의 소모비용, 즉 기계의 감가상각과 원료 구입 비용을 초과하는 ‘잉여‘를 생산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노동자가 생산한 ‘잉여‘는 노동자 자신이 갖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 즉자본을 소유한 사람들에 의해 착취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렇게 생산된 잉여의 전부가 노동의 산물이라고 가정한 것은 그들이 입증해야 할 가정을 오히려 논증의 근거로 삼는 모순을 범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물론 그들은 그것을 입증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어쨌든 이 가설은 참이 아니다. 방적공장에서 짜내는 실이, 기계류의 감가상각이 정해져 있다고 할 경우, 방적공의 노동의 산물이라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것은 방적공의 노동의 산물이면서 동시에 고용자와 관리자들,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고용된 자본의 공동 산물이다. 그리고 자본 그 자체는 노동과 기다림의 산물이다. 따라서 실을 짜내는 것은 많은 종류의 노동의 산물이자 기다림의 산물이다. 만일 그것이 노동과 기다림의 산물이 아니라 노동만의 산물이라고 한다면, 이자interest, 다시 말해 기다림에대한 보상은 정당화할 수 없는 냉혹한 논리에 빠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노동만이 잉여를 생산한다고 하는 전제 자체가 다른 가능성은 배제하기 때문이다. (…)노동자에게 추가 노동이 그렇듯이, 욕구 충족을 미루는 것이 일반적으로 희생을 의미하고 비록 초기 비용이 많이 들기는 하지만 욕구 충족을 미룸으로써 그 돈으로 노동력보다는 생산 수단을 추가로 고용할 수있으며, 노동력의 추가 고용으로 누릴 수 있는 것만큼 기쁨의 총계가증가한다면, 생산된 상품의 가치가 그것의 생산에 지출된 노동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 이런 전제 자체는 암묵적으로 자본이 수행하는 용역은 ‘무상tree‘, 즉 어떤 희생도 없이 주어지는 효용일 뿐이며, 따라서 그것이 계속해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기위한 보상으로 이자 같은 것을 필요치 않다고 가정할 수밖에 없다. - P330
예를 들어, 어떤 한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자 사람들이 그 상품에 대한 소비를 줄였다고 한다면, 그 상품에 대한 소비는 탄력적이라고 말할수 있다. 반대로 가격이 상승했는데도 소비가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었다면, 그 상품에 대한 소비는 비탄력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좀더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탄력성은 수요에 대한 변화율을 가격에 대한 변화율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상품의 가격이 10퍼센트 변하자 소비가 11퍼센트 변했다면,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탄력적인 것이다. 만일 같은 가격 조건에서 소비가 10퍼센트에도 미치지 못했다면,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비탄력적인 것이 된다. 한편, 같은 가격 조건에서 소비가 똑같이 10퍼센트 변했다면, 그 상품에 대한 수요는 ‘단위 비탄력적 unit-inelastic" 이라고 말한다. 만약 수요가 매우 탄력적이라면, 수요 곡선은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가격 변화에 따라 쉽게 소비를 조절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수요가 매우 비탄력적이라면, 수요 곡선은 거의 수직을 그릴 것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가격에 상관없이 평소 소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P333
이런 이유에서 대다수 경제학자들은 수도와 전기처럼 공익사업의 성격을 띠는 분야의 독점은 규제되어야 한다는 마셜을 충고를 받아들인다. 이런 분야의 독점은 ‘자연 독점 natural monopolies‘ 이고, 이런 경우여러 수도 공급 업체가 같은 도로에 경쟁적으로 수도관을 매설하는 것은 공익 차원에서 볼 때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마셜은 그런 자연적 독점 분야에 대해서는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이거나 적어도 적정 이윤을 보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P334
비록 마셜이 빈민 문제에 대해 깊이 관여했지만, 사회주의와는 상당한거리를 두었다. 오히려 그는 사회주의를 ‘인류가 당면한 가장 큰 위협이라고 비판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많은 철학자들과 경제학자들이그랬던 것처럼, 마셜은 공동 소유 collective ownership에 대해 두려움을 표시했다. 그는 "공동 소유 제도를 도입하기 전에 인류가 이기심을 버리고 공공선에 헌신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되어 있지 않다면, 그것은 인류의 활력을 빼앗고, 경제 발전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예견했다. 특히 마셜은 자신의 점진적이고 진화론적인 벨트안샤웅, 즉 세계관에 기초해 "인내심 강한 경제학도라면 삶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조건을 갑작스럽고 폭력적으로 재조직화하려는 계획이 이로움보다는 오히려 더 해로운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잘 알 것이다"라고 못을 박았다. 앨프리드 마셜에게 ‘조급한 것impatient‘은 ‘부정직한 것 dishonest‘ 만큼이나 엄청 모욕적인 것이었다. - P340
《유한계급론》에 앞서 쓴 한 논문에서 베블런은 신고전파 경제학의 이런 가정을 감각적이고, 매우 고차원적인 은유를 통해 이렇게 표현했다. "인간을 기본적으로 쾌락주의자라고 생각하는 것은 인간이 쾌락과 고통을 번개 같이 계산할 수 있다고 말하는것과 같다. 그리고 쾌락을 추구하는 이런 인간은 자신의 주변을 계속해서 맴돌지만, 절대 접촉하는 일이 없는 무수한 자극들에 이끌려 시도때도 없이 요동치는 둥근 구슬과 같은 존재다." 베블런의 말도 듣고보니 일리가 있다. 이런 신고전파 경제학 모델이 갖고 있는 오류는 무엇인가? 개인은 하나의 독립적인 구슬이 아니다. 각각의 구슬은 어디로 굴러갈지 결정하기 전에 다른 구슬을 이미 바라보고 있다. 일부 유행을 선도하는 사람들과 반(反) 사회적인 인물들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지지 않기 위해 허세를 부리거나 적어도 남들이 집안에서 무엇을 하며 지내는지 궁금해 한다. 어떤 한 상품이 갖는 효용에 대한 개개인의 평가는 이웃들이 그 상품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할지도 한 몫한다. 예를 들어보자. 영희는 남에게 과시하기를 좋아한다. 하루는 집에서 친구들을 불러 초호화 파티를 열고, 비싼 캐비아 요리를 내놓았다. 항상 호들갑이 심한 친구가 캐비아 요리를 보고 탄성의 자아낸다. 비록 캐비아 요리가 비싼 것은 알지만, 그날 초대된 친구들 중에 소금기 가득한 물고기 알을 아이스크림이나 초콜릿쿠키보다 좋아하는 사람이 정말로 몇이나 될까? - P35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