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이 사진 속 사람들을 공부하듯이 바라보기도 했다. 이름과 장소들을 기억하고 중요한 순간들을, 나에게서 빠져나가버린 그 순간들을 기억하려고 사진을 보았다. 내가 너무나 간편히 삭제해버린그 기억들을 다시 그러모으려고 해보았다. 이 완벽한 사진 속 완벽하게 사랑받는 아이에서 어떻게 지금의 내가 되었는지를 헤아리려고도 해보았다. 나는 안다. 아주 정확히. 하지만 잘 모른다. 아니, 안다. 하지만 내가 정말 원하는 것은 그때와 지금 사이의 거리가 왜 그렇게 벌어졌는지 이해하는 것이다. 그 ‘왜‘는 복잡하고 까다롭다. 그 ‘왜‘를 내 손에 넣어 낱낱이 해부하거나 아니면 찢어발기거나 아니면 태운 다음에 남은 재를 뒤적거리면서라도 해답을 얻고 싶다. 그 안에서 내가 보게 될 것들이 두렵다 해도, 그런 식의 이해가 가능한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혼자 있을 때 나는 이 앨범을 꺼내서 이 안에 뭐가 있는지, 뭐가 빠졌는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고 싶어 천천히 넘겨본다. 아무리 그런다 해도 그 ‘왜‘는 나를 비껴간다. - P51
어떻게 된 일인지 그 모든 구박과 놀림에도 불구하고 막내는 형과 누나를 무조건적으로 따랐고 조엘과 나는 막내가 보내는 열렬한 애정으로 따뜻하게 데워졌다. 어린 시절 앨범 속의 사진들은 내가 행복하고 온전했을 때의 유물과도 같다. 이것은 한때 내가 예뻤고 가끔은 귀엽고 상냥했었다는 사실의증거물이다. 지금 당신이 보는 내 모습 밑에는 예쁘고 여성스러운 물건을 사랑하는 예쁜 소녀가 아직 살아 있다. 그 사진들에서 나는 자랄수록 덜 웃게 된다. 여전히 예쁘다. 열두 살이 되었을 때부터 치마를 안 입기 시작했고 장신구를 전혀 하지 않았고 새로운 머리 스타일을 시도하지 않았다. 항상 머리를 위로 바짝 올리거나 하나로 묶었다. 아직 예쁘긴 하다. 그로부터 몇 년 후 사진 속의 나는 머리를 커트로 짧게 잘랐고 빅 사이즈의 남자 어른 옷을 입기 시작한다. 나는 덜 예쁘다. 사진의 나는 카메라를 공허하게 응시한다. 텅 비어 보인다. 실제로 텅 비어 있다. - P55
내게 일어난 일을 돌려서 썼던 이유는 우리 가족의 머릿속에 끔찍한이미지가 남길 바라지 않아서이기도 했다. 가족에게 내가 무엇을 견뎌왔는지, 지난 25년 넘게 어떻게 그것을 비밀로 해왔는지도 알리고 싶지않다. 내 연인이 나를 볼 때 내가 폭행당한 순간만을 떠올리길 바라지 않는다. 또한 그들이 나를 원래의 나보다 더 연약한 인간으로 생각하길 바라지 않는다. 나는 무너졌으나 그래도 강하다. 내 연인들이, 아니 어떤사람이라도 나를 고작 나에게 일어났던 그 최악의 일의 결과물일 뿐이라고 생각하게 되는 건 싫다. 나는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호하고 싶다. 나자신을 보호하고 싶다. 내 과거는 내 소유이고, 대부분의 시간 동안 그 과거를 깊은 곳에 묻어두고 그 과거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살기를 소망한다. 하지만 30년이나 흘렀는데도, 설명할 수 없는 일이지만 나는 아직도 그 과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 P58
‘그가 말했다/그녀가 말했다‘ 때문에 이 세상의 너무나 많은 피해자(혹은 생존자, 당신이 이 용어를 선호한다면)가 앞으로 나서지 못한다. 왜냐하면 너무나 자주 ‘그가 말했다‘가 더 중요하게 취급되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가 아는 진실을 삼켜버리는 것이다. 우리는 삼키고, 그렇게 하면서 진실은 변질된다. 변질된 진실은 감염처럼 몸에 퍼져나간다. 우울증이 되고 중독이 되고 집착이 되며, 그 밖에도 그녀가 말할 수도 있었고말해야만 했으나 하지 못했던 그 말은 침묵이라는 독이 되어 다양한 육체적인 증상으로 확대된다. 하루하루 지날수록 나는 나 자신을 점점 더 싫어하게 되었다. 내가 역겨웠다. 그를 피해 다닐 수도 없었다. 그 소년들이 한 짓에서 벗어날수 없었다. 그들의 냄새를 맡을 수 있었고 그들의 입을 느끼고 그들의 혀와 손과 거친 몸과 따가운 피부를 느낄 수가 있었다. 그들이 나에게 말한 그 더러운 말들이 귀에서 한순간도 떠나지 않았다. 그들의 목소리는 늘내 곁에 바짝 붙어 있었다. 이제 나 자신을 싫어하는 것은 숨쉬기만큼 자연스러운 것이 되었다. 그 소년들은 나를 아무것도 아니게 대했고 나는 정말 아무것도 아닌 존재가 되었다. - P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