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자 데이비드 케네디(David M. Kennedy)도 같은 주장을 폈다.
그는 "오늘날 미군은 용병의 색채가 짙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자신이 대신 싸워주는 사회와는 사뭇 동떨어진 세계의 전문 유급군이라는 이야기다. 17 입대하는 사람들의 동기를 얕잡아보는 이야기가 아니다. 그가 우려하는 점은 같은 시민 가운데 비교적 소수를 고용해 대신 싸우게 해놓고 우리는 발을 뺀다는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 다수의 시민과 그들 이름으로 싸우는 군인 사이의 연결 고리가 끊어진다.
케네디의 연구에 따르면, "인구 비율로 볼 때, 오늘날의 현역군인수는 제2차 세계대전 때의 4퍼센트 수준이다." 그러다 보니, 정책 입안자들이 광범위하고 진지한 사회적 동의를 구하지 않고도 비교적쉽사리 국가를 전쟁으로 내몬다. "전쟁에서 땀 한 방울 흘리지 않는사회의 이름을 걸고, 역사상 가장 막강한 병력이 전투에 투입될 수있다. 이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자원군은 거의 모든 미국인에게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걸고 싸울 책임을 면제해준다. 이를 좋은 점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지만, 같이 나눠야 할 희생을 면제해주면 정치적책임 의식이 약화되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
- P124

높은 기준을 이해하는 또 하나의 시각은 재화와 사회적 행위를 올바르게 평가하려면 그것이 추구하는 바를 따져봐야 한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앤더슨이 대리 출산에 반대하면서, "임신이라는 사회적 행위가 마땅히 지향해야 하는 특정한 목적, 즉 어머니와 아이의 감정적 유대를 강조했다는 점을 생각해보자. 어머니에게 그러한 유대를 맺지 말라고 요구하는 계약은 임신의 본래 목적에서 벗어나기에 굴욕적이다. 그것은 "부모의 본분이라는 준거"를 "상업적 생산"이라는준거로 대체한다. 어떤 사회적 행위의 준거를 찾으려 할 때, 그 행위의 주요 목적부터 파악해야 한다는 생각은 정의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의 핵심이다. 
- P139

아이를 출산하는 행위와 전쟁을 수행하는 행위만큼이나 서로 이질적으로 보이는 행위도 또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인도의 대리 출산과앤드루 카네기가 남북전쟁에서 자기 대신 싸울 군인을 고용한 사례에는 공통점이 있다. 이 상황에서 무엇이 옳고 무엇이 그른가를 생각하다 보면, 정의의 개념을 서로 다르게 규정하게 하는 두 가지 질문에 직면한다. 자유시장에서 우리의 선택은 얼마나 자유로운가? 세상에는 시장이 존중하지 않는, 그리고 돈으로 살 수 없는 미덕과 고귀한 재화가 과연 존재할까??
- P143

칸트는 이성적 능력이 우리 능력의 전부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인정한다. 우리는 쾌락과 고통을 느낄 능력도 있다. 그는 우리가 이성적 동물일 뿐 아니라 지각력 있는 동물이라고 말한다. 칸트가 말하는
"지각력" 이란 감각과 느낌에 반응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벤담도 좋지만, 절반만 옳을 뿐이다. 벤담은 우리가 쾌락을 좋아하고 고통을싫어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이는 옳은 이야기다. 그러나 쾌락과 고통이 "우리의 통치권자" 라는 주장은 옳지 않다. 칸트는 이성이야말로,
적어도 때로는,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성이 우리의지를 통치할 때, 우리는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피하려는 욕망에내몰리지 않는다.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은 자유롭게 행동하는 능력과 밀접하게연관된다. 이 두 가지 능력이 합쳐져 우리는 특별한 존재,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존재가 된다. 이 능력으로 우리는 단지 식욕만을 느끼는동물에서 벗어난다.
- P153

 칸트는 기호를 충족하는 행위를 문제삼지 않는다. 다만 이때 우리는 자유롭게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이미 결정된 내용에 따라 행동할 뿐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바닐라보다 에스프레소와 과자가 들어간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다는 욕구는 내가 선택한 게 아니라 이미 갖고 있는 욕구일 뿐이다.
몇 년 전, 스프라이트 음료는 다음과 같은 광고 문구를 선보였다.
"당신의 갈증에 복종하라." 스프라이트는 광고에 (물론 우연이지만) 칸트의 통찰력을 담았다. 내가 스프라이트(또는 펩시콜라나 코카콜라) 캔하나를 집어들 때면, 자유가 아니라 복종을 실천하는 셈이다. 그것은내가 선택하지 않은 욕구에 반응하고, 내 갈증에 복종하는 행위다.
사람들은 흔히 천성과 교육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두고 논쟁을벌인다.내 행동이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것이든, 사회적으로 훈련된 것이든, 진정으로 자유로운 행동은아니다. 칸트에 따르면, 자유롭게 행동한다는 것은 자율적으로 행동한다는 뜻이다. 그리고 자율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은 천성이나 사회적 관습에 따라서가 아니라 내가 나에게 부여한 법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다. - P1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손목시계에 관한 한 나는 아무런 할 말이 없어야 마땅하다. 내 주머니에서 나온 돈으로 산 시계는 거의 없으니까. 아니, ‘제대로 된‘ 이나
‘명품‘ 이라는 단서가 필요할지도 모르겠다. 시간을 확인한다는 실용적인 목적으로 산 손목시계는 몇 개 된다. 그 시계 가운데 내 수중에있는 시계는 하나도 없다. 또 현재 내가 소유하고 있는 시계 다섯 개는모두 선물 받거나 빼앗거나 얻거나 빌린 것이다. 단서는 달 필요 없이.
- P1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세계의 왕이다!"
토드는 얼빠진 사람처럼 푸른 하늘에 그렇게 외치면서 두 손으로 총을 머리 위로 들어올렸다. 그러고 나서 총을 오른손에 들고 고속도로 위쪽의 그곳, 언덕이 아래로 뻗어 있고 나무가 쓰러져 숨을 곳을 제공해 주는 그 장소를 향해 출발했다.

다섯 시간 후 해질 무렵이 되어서야 경찰이 그를 붙잡았다.
- P49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밀은 우리가 공리를 극대화하되, 매 순간이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오랜 세월에 걸쳐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다 보면 인간의 행복이 극대화되리라고 주장한다. 다수가반대 의견을 막거나 자유사상가를 검열할 수 있다면 오늘 당장 공리가 극대화될지 몰라도 장기적으로는 사회의 불행이 늘고 행복은 줄것이다.
반대 의견을 낼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면 장기적으로 사회가 행복해진다고 믿은 이유는 무엇일까? 밀은 몇 가지 이유를 제시한다. 반대 의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사실로 판명날 수 있는데, 그렇다면 대다수 의견을 수정할 수 있다. 사실이 아니라도, 다수 의견과 소수 의견이 치열하게 경쟁하다 보면, 다수 의견이 독단이나 편견에빠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관습과 관례를 따르도록 강요하는 사회는 답답하고 순종적인 체제로 전락해, 사회 발전을 촉진하는 힘과 활기를 잃기 쉽다.
- P75

벤담의 공리주의가 호소력을 갖는 이유는 사적 판단을 배제하기때문이다. 사람들의 취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뿐, 그것의 도덕적가치를 심판하지 않는다. 모든 취향은 동등하게 계산된다. 
...
밀은 이런 반박에서 공리주의를 구하려 한다. 그는 벤담과 달리 욕구의 양이나 강도만이 아니라 질을 평가해 고급 쾌락과 저급 쾌락을구별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다른 도덕적 이상이 아니라 공리만으로 그 구별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
이처럼 어떤 행위가 특별히 가치 있다고 생각해서가 아니라 그저 즐기기 쉽시 때문에 더 좋아하는 경우도 있지 않은가?
- P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듀샌더는 생각했다. 진실에 어느 정도 가깝기도 하고, 어쨌든 신빙성이 있는 말이다. 처음이라면 그런 변명으로 빠져 나갈 수있을 것이다. 그러나 지금의 이 아이는 수척해져 있다. 수명이 다한 코트처럼 봉제선이 풀리고 너덜너덜해져 있다. 만일 어떤 어린아이가 길 건너편에서 장난감 총으로 쏜다면 이 소년은 덜컥 겁이 나서 여자 아이처럼 비명을 지를 것이다.
"네 성적표가 내 주장을 뒷받침할 거야. 과연 성적이 이렇게 형편없이 떨어진 것이 외로운 ‘로빈슨 크루소‘ 탓이라고 할 거냐? 으응?"
"시끄러워, 좀 조용히 하지 못해? 입 좀 닥치고 있어!"
"아니, 입 닥치고 있을 수만은 없지."  - P2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