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홀 상태에서 힐데가르트는 자신의 환영에 대해 신을 향한 경외심과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영적이고 신비주의적인 것으로 가꾸어가는 데 도움을 받았다. 대다수 사람들에게는환영이 하찮고 꺼림칙하고 아무런 의미도 없는 생리적인 현상일 수도있겠지만, 선택된 소수의 사람들에게는 지고한 황홀감에서 나오는 영감의 원천이 될 수도 있다. 이런 예를 우리는 도스토옙스키에게서 찾을 수 있다. 간질 증세가 있던 그는 황홀감에서 나오는 아우라를 자주경험하곤 했다. 그에게 그것은 대단히 중요한 경험이었다. - P285
지적장애인인 마틴이 이렇듯 정열적으로 바흐에 몰두하는 것은 신기한 일인 동시에 감동적이기도 했다. 바흐는 대단히 지적인 반면 마틴은 모자란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나는 한번은 ‘칸타타‘ 카세트를, 또 한번은 마그니피카드 카세트를 가지고 그를 방문했다. 그때처음으로 나는 마틴이 비록 지능은 낮지만 바흐의 복잡한 기교를 거의 완벽하게 이해하는 음악적 지성을 갖고 있음을 깨달았다. 지능 따위는 문제가 아니었다. 바흐는 그를 위해서 존재했고, 바흐야말로 그의생명이었다. - P317
이같은 ‘도상성‘과 관련하여 과학적 정신을 지닌 사람들 가운데 유사한 사례가 있다. 멘델레예프라는 사람은 원소의 성질을 주기율순으로 카드에 써서 언제나 지니고 다녔다. 그리고 그 내용에 익숙해지자 원소들의 성질이 낮잋은 얼굴처럼 보였다. 모든 원소의 성질을 도상적으로 관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주기율순으로 늘어놓은 모든 원소표를 앞에 두고 우주의 얼굴을 보는 듯한 기분을 느꼈다고 한다. 이 같은 과학자의 마음은 본질적으로 ‘도상적‘이며, 자연의 삼라만상이 인간의 얼굴 또는 하나의 광경으로 보이게 된다. 물론 음악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광경 및 마음속의 환영은 ‘현상적‘인 것으로 충만해 있다. 그런데도 ‘물리‘와 밀접하게 관련이있다. 즉 심령의 세계로부터 물리적인 세계로의 환원이 가능하며, 거기서 이러한 과학의 이차적 외면적인 작용이 성립된다. 이에 대해 니체는 "철학자는 우주에 내재한 교향곡의 메아리를 자기 내부에서 들은 뒤,이를 관념의 모습으로 뒤바꾸어 다시금 외부세계로 투사하려는 사람이다"라는 글을 남겼다. - P341
자폐증 환자들은 사물을 일반화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거나 혹은 일반화에 그다지 관심이 없다. 그들의 세계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물들로만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하나의 우주에 사는 것이 아니라 윌리엄 제임스가 말한 ‘다중 우주‘ 즉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고, 정확하고, 엄청나게 열정적인 개체들로 이루어진 우주에 살고 있다. 그것은 ‘일반화‘ 혹은 과학적인 사고방식과는 완전히 정반대에 있는 마음의 상태이다. - P376
성공의 비밀은 좀더 특별한 곳에 있다. 모츠기는 이 지능 낮은 예술가를 집으로 데려와서 함께 살기로 했다. 상대를 위해서 몸을 내던지는 헌신, 비밀은 바로 거기에 있었다. 모츠기는 이렇게 말했다. "야나무라의 재능을 키우기 위해서 내가 한 일은, 그의 영혼을 내 영혼으로 여기는 일이었다. 교사는 아름답고 순수한 뒤처진 이들을 사랑하고, 그들의 정제된 세계와 더불어 살아야 한다." - P3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