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그곳에 있었으면 좋겠다.
이 거대한 밀실 속에서
혹시 실패를 겪거나쓰러지더라도
또 아무리 가진 것이 없어도
그 모두가 돌아와
잠들 수 있도록.

그것이 비록 
웅크린 채라 하더라도 말이다.
- P30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른 아이들은 거의 내게 말을 걸지 않았지만 나는 다른 아이들이있는 그곳이 정말 좋았다. 모두가 하는 행동을 나도 똑같이 한다는 사실이 좋았다. 댄스를 배우는 것이 어딘가에 소속되는 방법을 배우것처럼 느껴졌다. 나는 댄스 동작을 외웠고 그렇게 함으로써 그 아이들의 머릿속으로 한발 들어갈 수 있었다. 그들이 런지를 할 때 나도 런지를 했고, 다른 아이들과 동시에 팔을 위로 뻗었다. 간혹 빙빙 도는모습들이 엉켜서 거울에 비칠 때, 그중 어떤 형태가 나인지 바로 알아차리지 못할 때가 있었다. 내가 회색 티셔츠를 입고 있다는 사실- 백조 사이의 거위 - 은 문제가 안 됐다. 우리는 하나의 무리가 되어 함께 움직이고 있었다.
- P132

오빠가 일어서며 말했다. 「집 바깥의 세상은 넓어, 타라. 아버지가 자기 눈으로 보는 세상을 네 귀에 대고 속삭이는 것을 더 이상 듣지 않기 시작하면 세상이 완전히 달라 보일 거야.」 - P19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렇군요. 문득 이 세계가 외계(外界)처럼 느껴졌다. 기하 형의 뒷모습이, 그래서 더욱 외로워 보였다. 인간은 서로에게, 누구나 외계인이다.
- P1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롤로그

나는 지금 헛간 옆 버려진 빨간 기차간 위에 서 있다. 머리카락이 세차게 부는 바람에 날려 얼굴을 때리고, 열린 셔츠 목 사이로 들어온 한기가 온몸으로 퍼져 나간다. 산에 이렇게 가까워지면 돌풍이 세다. 마치 산꼭대기가 숨을 내쉬는 것처럼, 저 아래 보이는 계곡은 바람의 영 향이 미치지 않아 평화롭다. 그러나 우리 농장은 춤을 춘다. - P11

아버지가 해주는 이야기는 모두 우리 산, 우리 계곡, 우리가 사는 아이다호의 황량한 작은 땅덩어리에 관한 것이었다. 아버지는 내가 산을 떠나 바다를 건너고 대륙을 지나 낯선 곳에 섰을 때, 지평선 끝까지봐도 인디언 프린세스를 찾을 수 없는 곳에 섰을 때,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서는 한 번도 이야기해 주지 않았다. 집에 돌아올 시간이라는 신호를 어떻게 찾아야 하는지 아버지는 한 번도 이야기해 주지 않았다.
- P14

타일러 오빠의 죄책감은 엄청났다. 오빠는 사고가 전적으로 자기책임이라고 생각했고, 그 후로도 오래도록 여러 번 해가 바뀐 후에도 모든 결정, 모든 결과, 모든 반향 들이 모두 자기 탓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그 순간과 그로 인한 모든 결과가 오로지 자기 것이라고 느꼈다.
마치 시간 자체가 그 순간, 우리 스테이션왜건이 길에서 벗어난 그 순간에 시작됐고, 자기가 열일곱의 나이로 운전을 하다가 깜빡 잠이 든 그 순간 이전까지는 어떠한 역사도, 문맥도, 주체도 없었던 것처럼, 지금까지도 엄마가 아무리 하찮은 일이라도 조금만 뭔가를 잊어버리거나 하면 오빠의 눈에는 그 표정이 떠오른다. 
...

삶을 이루는 모든 결정들, 사람들이 함께 또는 홀로 내리는 결정들이 모두 합쳐져서 하나하나의 사건이 생기는 것이다. 셀 수 없이 많은 모래알들이 한데 뭉쳐 퇴적층을 만들고 바위가 되듯이. - P74

돌이켜보면, 바로 그것이 내 배움이요 교육이었다. 빌려 쓰는 책상에 앉아 나를 버리고 떠난 오빠를 흉내 내면서 모르몬 사상의 한 분파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보낸 그 긴긴 시간들 말이다. 아직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을 참고 읽어 내는 그 끈기야말로 내가 익힌 기술의 핵심이었다.
- P1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누군가를 만난 뒤에는 그 사람의 사유를 적기보다 나의 사유를 적는다. 나의 이상은 우리의 공통된 사유를 더 잘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적으면서도 나의자유를 적는 것이다. 쓰는 사람은 하나의 관념을 생각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나는 또한 내가 깊이 흡수하는 것, 꿰뚫어보려 애쓰는 것, 단어의 모든 의미를 이해하려 노력하는 것,나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것도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쓰는 동시에 쓰는 것을 내 재산의 일부로 저장한다.
- 앙토냉 질베르 세르티양주, 「공부하는 삶」에서 - P1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