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텔링 디지털 AI 학교자율시간 - 노벨 엔지니어링으로 펼치는 학교자율시간 설계·운영
송해남 외 지음, 권성희 감수 / 광문각출판미디어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2015년 개정 교육과정 목차에는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학교급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 하교교육과정 편성 운영, 학교 교육과정 지원으로 되어 있다. 2022년 개정 교육과정 목차에는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 학교 교육과정 설계와 운영, 하교급별 교육과정 편성 운영의 기준, 학교 교육과정 지원으로 바뀌고 있었다.
이 두가지 차이에 대해서, 의미있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학교 교육과정의 기본 틀, 편성에서 벗어나 학습 경험을 종합적그로 제공하는'설계'로 바뀌게 되고, 학교자율 시간을 추가함으로서, 교과 통합형, 언어 수리 디지털 소양 강화형, 지역 연계형 등의 수업을 할 수 있고, 교과에 흡수하겠다느 의도가 존재한다. 교과 수업을 변경하고 싶어도, 2015년 교육과저으로는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학교 제도로 못박은 것이다.
그 교육의 시작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고 있으며, 학습 위주의 학교 교육이 아닌, 경험 위주의 학교 교육으로 전환하려는 의지를 엇볼 수 있었다.학교자율 시간 운영시수(학기별) 은 저학년은 29시간, 고학년은 32시간 안에,하교 선생님의 재량권 안에서 특화된 수업을 만들 수 있으며,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다,편성 운영 메뉴얼에 따라서 자율 시간을 편성할 수 있으며, 크게. 특정 요일과 시간에 수업을 편성하는 지속형, 특정 날짜나, 주간에 자율시간을 편성하는 집중형 , 지속형과 집중형을 혼합하여 시행하는 혼합형으로 구분하여, 수업 시수를 학교마다 재량에 맡겨서, 편성할 수 있다.,
지식과 암기 위주의 학교 교육이 아닌 학교마다, 학생들이 요구하는 것, 선생님의 교육 역량에 따라서, 학교 자율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환경과 관련한 수업도 가능하며, 각 교과들을 통합하여,하나의 수업으로 바꿔 나갈 수 있다. 과거 획일회된 수업에서,벗어나 학교 자율시간 설계 운영이 가능하며,학교 수업목표, 평가 방식도 다양게 만들어 나갈 수가 있다. 기존의 국영수 수업에서 벗어나 취미,흥미, 혹은 학생들이 원하거나,선생님이 할 수 있는 수업을 직접 설계가 가능하므로, 자유로운 분위기와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더군다나 부족할 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 대해서,새로운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