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로컬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다 - 힙한 동네, 마을, 시골 이야기
정성욱 지음 / 클라우드나인 / 2024년 8월
평점 :

책바에서는 한달 한 번 백일장을,일년에 한 번 공모전을 연다. 참가자는 감정을 발상하고 싶은 마음을 책과 술의 힘을 비려 그로 풀어 본다. 백일장 이름은 '빌보드 차트' 로 매달 다른 주제를 놓고 손님들은 포스트잇 한 장 분량의 글을 벽에 붙인다. 가장 많은 표를 얻은 이들의 글은 소중히 모아 『우리가 술을 마시며 쓴 글』 이라느 제목으로 독립 출판된다. 2016년 첫 출간 이후 2022년 일곱 권째 이어지고 있다. (-30-)
바닷가 모래사장 위에 노란색 '서피비치 Surfyy Beach'나무 판이 세워져 있다. 이곳은 양양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빠질 수 없는 시그니처 포토존이 됐다. 서피비치의 해변은 과거 철조망이 쳐진 군사지역으로 사용되던 곳에서 시작됐다. 불모지에서 시작된 서피비치는 2015년 첫해에 방문객 1만 명을 기록한 후 2022년에는 이 숫자가 190만명으로 급증하며 사람들의 관심을 한층 더 끌었다. (-33-)
'퍼플독'은 월 구독료 3만 98,000뭥릏로 매달 새로운 와인을 집으로 보내주는 국내 와인 구독 서비스다. 설문조사로 고객의 취향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해 고객에게 맞는 도수와 당도 등을 고려해 적합한 와인을 추천한다. 와인과 함께 와인에 대한 정보가 담긴 가이드북을 보내줌으로써 와인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인다. (-52-)
최지백 더웨이브컴퍼니 대표는 '지역에 새로운 물결을 이라는 슬로건 아래 로컬 크리에이터를 양성하는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과 지역 문화 행사를 기획하고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로컬 브랜딩뿐만 아니라 '2021 청년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더웨이브컴퍼니의 비전은 강원 지역에서 모두가 하고 싶은 일을 통해 성장하고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것이다. (-75-)
로컬을 추구하는 이들이 공통으로 하는 말이 있다.'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싶다.' .'나답게 살고 싶다' 라는 것이다. 즉 나다움이 선택의 이유다. 러스틱 라이프를 꿈꾸는 이들은 과연 로컬에서 그 꿈을 실현할 수 있을까? 답은 분명하다. 한국 사회는 다양성과 나다움을 추구하는 탈산업화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한국 사회가 개인의 삶과 다양성을 중시한다면 로컬을 중심으로 한 변화는 더 이상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친환경, 커뮤니티, 개성,다양성 등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들이 로컬에서 빛을 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87-)
도시가 커지기 전, 1차 산업, 농촌 인구가 존재하였고, 도시와 로컬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하지만, 컴퓨터가 사회 시스템의 주축이 되고, 인터넷이 커뮤니티,네트워크 망이 되면서., 도시 인프라는 확장되고, 도시에서 사는 것이 펹리하다느 인식이 정착되었다.그결과 서울 수도권 인구가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서울과 멀어지는 지역의 도시쇠퇴는 현실이 되고 있다.실제로 로컬 인프라는 축소되고 만다. 생산성의 중심이 로컬에서, 도시로 이동하고 있으며,교통,물류, 문화 전반에 있어서, 로컬에 해당되는 곳은 혜택이 축소되고 있다.인구 소멸, 문화인프라 축소, 저출산 고령화 사회가 로컬 내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로컬 전반에 쇠퇴가 나타나고 있다.
도시 재생,문화기획가, 퍼실리테이션,마을활동가, 이런 직업들은 로컬을 살리기 위한 중요한 직업이며, 로컬 크리에이터라고 부르고 있다. 지역의 인프라가 가지고 있는 특징,자연환경, 문화, 강점을 십분 살려서, 대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삶을 체험하도록 돕는다. 도시에서, 1평의 가치와 로컬에서 1평의 차이는 매우 크다. 그건 도시에서,1평을 차지하기 위해서, 쓰는 비용이 로컬에서 1평을 쓰기 위해서 쓰는 비용이 큰 차이가 날 수 있다. 이 차이는 서비스의 질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식물원,박물관을 새울 때, 대도시보다,로컬이 적합한 이유다,대도시에서,1펴을 쓰는 비용으로 로컬에서 10평이상의 비용으로 쓰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중요한 것은 로컬 아이디어, 로컬 기획, 로컬 프로그램이 로컬 라이프스타일 에 얼마나 적합한지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책을 읽는 이유도 동종의 직업을 가지고 잇는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고민이면서 문제로 손꼽히고 있으며,로컬 지역에 , 대도시 인구들이 여행,관광, 머모는 매력적인 곳으로 바꾸기 위한 매력, 가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특히 문화 인프라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관광 인프라는 어떤 것을 비치할 것인지, 대도시에서 경험할 수 없는 라이프스타일을 로컬 라이프스타일로 전환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에서 힌트르 얻을 수 있고,나만의 로컬 라이프스타일,러스틱 라이프를 만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