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UX 라이팅 - 브랜드와 사용자 서비스의 글쓰기 가이드북
김무성(글쓰는 개미핥기) 지음 / 성안당 / 2024년 8월
평점 :





2017년 구글 I/O에서 발표된 영상의 주제는'단어로 프로덕트를 돋보이게 만드는 방법이었습니다. 이때 UX 라이팅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소개되면서 새로운 직무인 'UX라이터' 도 등장했습니다. 이전에도 UX 라이터는 존재했지만, 그대는 다른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13-)
UX라이팅은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그렇기에 이미 프로적트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주 타깃입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문구를 수정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명확하고 간결한 문장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도록 돕습니다. 주로 안내문을 작성하고, 글머리 기호 등을 활용하여 가독성을 높입니다. (-26-)
음악 앱을 사용하다가 계정을 해지하려고 앱을 열었습니다. 하지만 해지 방법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는 해지 절차가 명확하게 안내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세심하게 앱을 살펴본 결과, '해지하기'라는 옵션이 '요금제 변경'으로 표기되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앱에서 요금제를 변경할수 없었고, 사용자가 '웹 버전'을 사용해야만 했습니다.모바일이 우선시되는 현대에서 ,이는 사요자가 pc를 사용하는 패턴으로의 전환을 의도적으로 설계하여 이탈을 어럽게 만드는 것이죠. (-104-)
일관성은 사용자가 서비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관적인 언어와 용어의 반복 사용은 사용자의 이해와 기억을 자연스럽게 강화하여 실수를 줄이고 작업 속도를 높일수 있습니다. (-123-)
UX라이터로서 이러한 공백을 어떻게 채울지 고민하게 됩니다.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이 공간을 접근했을 때 그들이 프로덕트에 긍정적인 인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주요합니다.
사람들은 보통 익숙한 환경에서 사소한 변화를 쉽게 감지하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매일 보던 친구가 머리를 약간 자르면 그 변화를 즉시 알아차리지 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큰 변화는 쉽게 눈에 띕니다. (-190-)
'UX 라이팅'의 역사 매우 짧다. 2017년 구글에서 UX 라이팅이라는 개념이 공식적으로 소개되면서 널리 퍼져 나갔으며,관련 직업이 소개되면서, 전문적인 직무로서 UX 라이팅의 중요성이 확장되었다.
UX라이팅은 웹 환경에서,사용자의 경험을 바꿀 수 있다.티웨이,제주항공, 여기어때,야놀자, 각각의 앱 환경을 달리하고 있으며, UX 라이팅 또한 다름을 느낄 수 있다. 때로는 UX라이터를 웹카피라이터와 비슷한 일을 한다고 오해를 부를 수가 있다.
좋은 UX 라이팅 과 나쁜 UX 라이팅 을 책에서 소개하고 있었다. UX 다지안과 관련한 일을 하고 있는 직무로 UX디자이너,UX 리서치, UX라이터가 있다.이들에게 요구되는 공통의 네가지 원칙으로 사용성, 염확성, 일관성,간결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UX라이터에게 일관성을 최우선으로 놓았을 때,최고의 UX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UX라이터라면, 책에 소개하고 있는 UX라이팅 가이드라인을 준수해야 한다. 여기서 UX라이팅 가이드라인은 사용자중심,사용자 맥락, 사용자 입장, 사용자 경험, 사용자 목표, 사용자 여정을 최우선으로 놓고 있으며, 사용자의 경험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지 항상 고민하고, 문구하나,용어 하나하나에 적용해야 한다. 배달의 민족, 쿠팡, 당근마켓이 추구하는 UX 라이팅, UX가이드라인에 대해서, 서로 비교하고, 정리하여,사용자의 경험을 확장하여, 고객의 신뢰와 믿음을 얻을 수 있으며,그들이 어떤 긍정적인 사용자 환경을 경험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