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자도덕경
노자 지음, 신흥식 역주 / 글로벌콘텐츠 / 2016년 5월
평점 :
노자의 <도덕경>을 읽었다.
학창시절 도덕,윤리시간에 동양의 철학자를 배울
때
노자의 도와 무위를
접하게 되었다.
그때는
무위라는 것이 무위도식이라는 1차원적인 생각이 들었다.
무언가를 생산해내는 삶이 알차고 보람되다고 여겼던 나는
노자의 무위가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는 것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행위가 없는 것이 무위가 아니라 자연 법칙에 따라
본질대로 살아가는 것이
무위임을 깨달아갔다.
노자의 첫인상은 이쯤으로
해두고...
이 책을 역주한 신흥식님의 '노자도덕경'은 깔끔하고 간결한 느낌이
든다.
한자와
독음이 달려있어 읽기 쉽고
필사하고 싶은 욕구를 일으키는 궁서체로
적혀있다.
아무래도 1장의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이 가장 와닿았다.
인식론의 한계를 표현했달까?
인간의 유한한 도구인 언어와 감각으로 진실을 인식할 수
있을까?
도라는 것이 첨단을
달리는 현대사회에서 오롯이 재현되며 존재할 수 있을까?
갑자기 김춘수의 시 '꽃' 이 생각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흥미롭다. 노자의 사상과 대비되는 내용이기에.
이름을 부여받으면 비로소 본질의 의미가 드러난다는
유명론은
노자의 존재론과
차이가 있기에 더욱 재미있다.
어느 생각이건 맞는 말이고 생각의 차이겠지.
노자의 도를 도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참 도가
아니며,
이름을 이름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참 이름이 아니라는 말은
무한한 본질을 표현할 의욕을 떨어뜨리며 그럴 필요가
없다고 역설하는 것 같다.
아이러니 한 것은 노자의 생각도 언어로 표현되었다는 것.
각설하고, 이 책 <노자 도덕경> 이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이유는 도를
회복하고
편견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며, 단단한 고정관념을
해체해야한다는
것이다.
자유로워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