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질문을 합니다.
대답을 해주지만 아이가 원하는 지적인 욕구가 충족되지 않는지 계속, 끊임없이 질문에 질문을 거듭합니다. 어느 순간부터 모르는 부분이 생길
때 대답해주지 못해 자괴감이 들면서,
한편으로는 아이에게 짜증을 내기 시작합니다.
쓸데 없는 거 물어보지 말라고.
이내 반성하게 되지만 쉴 새 없이 궁금증을 표현하는 아이의 모습이 이 책에선 경이감을 느끼는 중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마치 에디슨의
호기심와 엉뚱함이 떠오르네요.
세상을 관심 가득한 눈빛으로 바라보다가 점점 어른이 될수록 모든 것에 한걸음씩 떨어져 적당히 보고, 생각하지 않고, 당연히 받아들이는 의욕
제로의 모습이 더 많아짐에 슬퍼지기도 합니다.
부모와 교사는 경이감을 느끼는 아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인위적으로 생각과 행동을 강요하거나 아이의 의도를 임의로 판단하지 않아야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교육열이 뜨겁다 못해 데일것 같은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의 삶. 아니 말을 하고 글을 읽는 배움의 순간부터 우리 자녀들은 과잉자극과
주입식 교육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시간이 없는 맞벌이 부부가 아이를 학원으로 뺑뺑 돌리는 경우도 많지만 그렇지 않다 하더라도 부모의 마인드가 기본적으로 자신의
기준대로 아이를 만들어가는 게 보입니다.
이를테면, 내 아이는 의사가 되어야하니까 어린시절부터 의대에 들어가기 위한 모든 커리큘럼을 짜고 그대로 이행하기를 요구한다는
겁니다.
주체적으로 자라지 못하고, 세상 특히 자연에 눈 돌릴 시간 없이 척박하게 살아가는 자녀들을 보면 안타깝기 그지 없습니다.
이 책은 제목대로 '경이감을 느끼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아이가 본능적으로 가지고 있는 배움에 대한 욕구를 어른이 어릴적부터 묵살하는 폭력을 행사해서는 절대 안되겠습니다.
아이와 자주 시간을 보내며, 그들의 생각을 읽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스스로 깨닫고 느끼는 것을 이해하며 존중해야겠습니다.
저도 아이들을 대하는 시간이 많은데, 그들을 항상 가르치려 들기보다 함께 놀아주며, 아이의 호기심에 적극적으로 반응하고 호응해줘야겠다는
다짐을 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필요를 먼저 읽어 요구하지도 않았는데 채워주는 착오를 범하지 말아야하겠습니다.
아이의 즐거움은 아이가 주도해야 하는 게 맞다고 봅니다.
여러가지 방법을 제시해 주었는데, 아이가 경이감을 느낄 수 있는 교육법이 참 많았습니다.
책 표지와 색깔처럼 자연 속에서 함께 하는 삶이 참 중요하고,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인 과잉 교육과 속도에 제동을 걸어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주말엔 아이들과 함께 실컷 놀아주며 참새처럼 재잘되는 질문과 호기심 어린 눈빛을 가슴에 담아두어야겠다고 느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