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195km를 쉬지 않고 달리는 마라토너에게도 체감상 가장 먼 거리는 침대에서 운동장까지인 것 같다. 달리기를 할 때 방 밖을 나오는 게 가장 높은 허들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8

인내하고 기다리며 서로를 이해하는 것은 가정, 직장, 친구 등 어디에서나 필요하다. 이러한 인내심은 사람 사이를 유연하고 편안하게 유지하는 바탕이 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9

마라톤 풀코스 42.195km를 무리 없이 완주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3개월의 훈련 과정을 거친다. 그럼 한 달을 기준으로 달린 누적 거리가 최소 250km에서 많을 때는 400km가 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0

완급 조절을 잘하려면 첫 번째, 나의 능력과 특징을 잘 알고, 순간순간 현재의 컨디션을 읽고 판단해야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2

두 번째, 나를 둘러싼 주변 상황을 인지하고 이해해야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4

세 번째, 예측하지 못했던 돌발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4

시간을 거슬러서 인생을 다시 살 수는 없지만 마라톤 대회는 같은 주로를 다시 달릴 수 있다. 이전의 실수도 만회할 수 있고, 지난번보다 향상된 모습으로 레이스를 풀어낼 수 있다. 나의 의지로 다시 시작해서 나의 힘으로 끝낼 수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6

나는 나를 안다.
그리고 이해한다.
그러면 스스로를 믿을 수 있다.
나를 알고 믿는 것만큼 힘이 되는 것은 없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세가 완벽하지 않다고 해서 달리기를 못하는 것은 아니다. 나는 수많은 러너 중의 한 명이고 나는 나로서 고유하다. 타고난 신체적 조건과 10년이 넘게 달리는 동안 몸에 깃든 고유한 특징들을 바탕으로 나만의 자세를 구사하고 있다. 이것으로 충분하고 만족스럽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0

살아가면서 가장 큰 보상과 확실한 기쁨은 스스로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1

나르시시즘이 나를 둘러싼 주변 상황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 없이 자신만 생각하는 것이라면, 스스로를 사랑한다는 것은 자기를 믿고 긍정하며 스스로에 대해 감사하는 개념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1

주체적으로 사는 일은 나만 위하는, 소위 말해서 ‘이기적이다’라고 표현되는 것과 다른 개념이다. 나를 이해하고 스스로를 위하는 것은 내가 속한 관계 안에서 가능하다. 나를 둘러싼 전체 환경 가운데 나를 자유롭게 운영하는 것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적당한 비교와 불안은 긍정적인 자극이 되어주고 앞으로 나아가게 만들지만, 그것이 과도하면 사람은 지쳐 나가떨어지고 맙니다. 달리기는 이 균형을 잡아주는 데 정말 좋은 운동이라는 것을 저 자신의 경험과 다른 많은 분들의 사례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인생에 달리기가 필요한 시간>, 권은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a400b6c10bb416c - P16

달린다고 해서 현실의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습니다. 문제는 그대로 있지만 그것을 대하는 마음가짐과 태도는 분명히 바뀝니다. 결코 잃어버려서는 안 될 소중한 삶의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인생에 달리기가 필요한 시간>, 권은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fa400b6c10bb416c - P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에 대한 평가는 내가 해야 한다.
"나는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스로에 대해 제대로 평가하고 점수를 매길 수 있는 주체는 나 자신이다. 왜냐하면 나의 역량과 처한 상황을 제일 잘 알기 때문이다. - <마음의 힘이 필요할 때 나는 달린다>, 김세희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c3ff7e9ae1b473e - P4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