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가을 아침, 나는 1kg 더 희미해졌다. 가벼워진 느낌은 아니었다. 희미해진 느낌이었다. 아무리 굶어도 평생 55kg 이하로 떨어져본 적 없는 몸무게가 불쑥 54kg이 되어 있었다. 운동을 시작한 지 서너 달 정도 된 것 같은데, 탄수화물을 줄인 지 몇 주 정도 된 것 같은데, 잠을 더 많이 자기 시작했는데, 뚜렷한 효과가 있나 보다. 나는 신이 나서 운동 일정을 일주일에 세 번으로 늘렸고 더욱더 엄격한 식단을 따르기 시작했다. 다이어트에 동기부여가 돼서 그런지, 이상하게 음식이 별로 당기지 않았다. 끼니를 건너 뛰어도 배가고프지 않았다. 체중 감량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엄청난 속도로 가벼워져갔다. 아니 희미해져갔다. 뭔들 어떤가. 이대로라면 평생 가져본 적 없는 몸무게를 찍을 텐데. 30대중반에 이렇게 다이어트를 성공시키다니. - P12
오랜 기간 조금씩 문제가 쌓이다 보면 시작점이 어디였는지, 정상적인 상태가 어떤 것이었는지 기억이 희미해진다. 산소가 조금씩 줄어드는 어항에서 자기도 모르게 서서히 죽어가는 물고기처럼, 숨이 차기 시작하고 점점 나른해진다. 어딘가 특별히 아프지는 않지만 매일 조금씩 누군가 지우개로 내 경계선을 쓱쓱 지워가는 느낌이었다. 이렇게 다 지워지면 그 끝은 어떻게 될지 불안해지기 시작했다. - P19
그렇게 지쳐갈 때쯤 Curie Oncology 라고 쓰여 있는 곳을 우연히 지나가게 되었다. 딱 봐도 마리 퀴리로 보이는 여자의 그림이 문 앞에 붙어 있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과학자. 그녀에 대해 학창 시절에 글을 쓴 적이 있었다. 간판 밑에는 아주 작게 ‘Spring will come‘이라고 적혀 있었다. 봄을 찾아 무작정 문을 열고 들어갔다. - P29
모든 사람이 그렇듯 인간관계는 나에게도 늘 어려운 주제였다. 가벼운 인간관계에서 오는 허망함과 무거운 인간관계에서 오는 엄청난 중력 사이에서 아늑하게 오래 머무를 만한 위치를 찾기란 여간 어렵지 않다. 그런 기대치는 사실 오래전에 버렸다. - P37
바닥에 있는 사람에게 손을 내미는 것은 인간관계에서 가장 쉬운 일이다. 오히려 가장 어려운 일은, 상대방이 바닥이 아닌 정상에 있을 때 진심으로 내 일처럼 축복해주는 것이다. 내가 바닥에 있을 때 손을 내밀어줬던 수많은 사람들 중, 내가 선택한 열다섯 명은 분명 내 인생의 정점에서 진심으로 함께 춤을 추던 사람들이다. - P40
"왜 그런 질문을 하는지 충분히 이해는 합니다. 30년간 진료했던 수많은 환자들이 이런 상황에 놓이면 늘 책의 마지막 챕터로 바로 훅 넘어가려고 했죠. 책의 마지막 장에 어떤 결말이 기다리고 있을지만 알고 싶어 합니다. 하지만 그 마지막 챕터로 가기까지 정말 다양한 이야기들과 서사들이 있어요. 결말에 대한 통계를 알려드릴 수는 있지만 결말만이 의미 있는 것은 아니에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고 싶다면 알려드리죠. 알고 싶으세요?" - P59
상실을 겪어본 사람들만이 소통할 수 있는 비밀스러운 언어가 존재한다. J는 그 언어로 나에게 말을 걸어왔다. 그리고 그녀의 위로 덕분에 나는 철갑을 벗어던지고 가장 연약한 내 안의 알맹이를 드러냈다. 나는 강하지 않다. 그래도 괜찮다. 싸움이 목표가 아니라 완주가 목표이기 때문에 강하게 힘을 줄 필요가 없어졌다. - P73
위로가 필요한 사람은 항상 주위에 있다. 아무리 강한 사람이라도 힘들면 울어도 된다고 위로해주고 싶다. 아니, 오히려 강함을 잠시 내려놓고 온전히 울어야 다시 강해질 수 있다고 말해주고 싶다. 이기고 지는 싸움이 아니니까 완주만으로도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위로해주고 싶다. 원하는 결말이 아니더라도 그 결말을 마주하는 것만큼은 함께 해주겠다고 말해주고 싶다. 무엇이 필요한지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토핑 가득한 피자를 보내주고 싶다. 그렇게 같이 위로를 주고받고 싶다. 해줄 수 있는 것이 위로뿐이라 할지라도. - P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