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가 말을 배울 때 가장 먼저 배우는 단어는 무엇일까요? 대개는 엄마일 겁니다. 아기는 아직 발성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엄마에 해당하는 단어에 두 입술이 닿았다가 떨어질 때 나는 소리, 즉 발음이 가장 쉬운 자음인 미음(ㅁ)소리가 들어갑니다. 즉 아기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엄마를 가장 먼저 발음할 수 있도록 언어가 설계되어 있는 것이지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2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러 가지 채소를 소금이나 간장에 절여서 숙성시켜 먹는 음식으로 장아찌가 있지요. 장아찌는 ‘쟝앳 디히’가 변한 말입니다. 쟝앳에서 ‘쟝’은 간장을 말하고 앳은 눈엣가시에서와 같이 처격조사 ‘애・에’와 속격조사 ㅅ이 결합한 형태입니다. 즉 장아찌는 간장에 담근 지(김치)라는 뜻입니다. 단무지에 대해서는 무로 담근 김치라 하여 무지라 하였고, 단 맛이 강하다는 점에서 ‘단+무지’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앞에서 이야기하였었지요. 섞박지가 예외이기는 하나 김치와 ‘지’는 고춧가루가 들어가느냐의 여부로 구분을 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현재는 대체로 고춧가루가 들어가면 김치, 그렇지 않으면 ‘지’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2

무를 한자어로 蘿[무 라(나)]자와 蔔(무 복)자를 써서 나복이라고 합니다. 이 나복의 발음이 바뀌어 나박이 되었습니다. 즉 무로 만든 김치라는 뜻에서 나복딤ᄎᆡ란 이름이 붙었는데 이것이 변하여 나박김치가 된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무만이 아니라 배추, 배, 미나리 등등을 넣어 만들고 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3

우리가 지금 사용하는 단어가 왜 이렇게 생겨났는지 아는 일은 시대상에 따라 변화하는 문화를 이해하는 일이자 사람을 들여다보는 일, 세상과 더 가까워지는 일일 것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4

가령, 심지어, 물론, 감귤은 한자어에서 기원한 것임에도 고유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국수, 생각 등은 고유어임에도 한자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많지요. 외래어와 고유어도 마찬가지입니다. 가방, 망토, 조끼, 구두, 고무는 외래어이지만 고유어로 인식하는 일이 많고 비누, 멜빵, 에누리 등의 고유어는 외래어라고 인식하는 일이 흔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6

담배, 붓, 먹, 배추, 시금치 같은 단어들도 그러한데 이러한 단어들은 외래어임에도 고유어처럼 인식된다는 점에서 귀화어라고 합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6

키오스크는 원래 신문이나 음료는 물론 무엇인가를 판매하는 곳이라는 의미가 아니었습니다. 개방형의 작은 건물이라는 의미가 더 근본적이지요. 원래 이 말은 궁전을 뜻하는 페르시아어 kūshk가 튀르키예어로 들어가면서 köşk라는 말이 되었고 정원 등에 설치하는 작은 개방형 건물(우리식으로 말하면 정자)을 뜻하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유럽에 들어오면서 kiosk란 형태가 되었으나 의미는 역시 개방형 건물로서 터키풍의 정자를 뜻하는 말로 쓰였지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15

우리가 쓰는 단어가 있기까지 변화를 들여다보면 생각지도 못한 삶과 세상이 펼쳐집니다. 하나의 단어로 수많은 새로운 이야기를 만나게 되지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17

"ᄒᆡᆼᄌᆞ라고 부르는 것은 씻을 때 사용하는 천조각이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짠지, 오이지 등 절임류 음식에 붙어 있는 ‘지’자가 바로 김치에 대한 순우리말인 디히가 변화해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디히에서 모음과 모음 사이의 ㅎ이 탈락하여 디이가 되었는데 ㅣ 모음이 중복되므로 한 음절로 줄어들어 ‘디’가 되고 여기에 구개음화까지 더해져 ‘지’가 되었어요.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2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반복적 성공의 비결은 무엇이었을까? 흥미롭게도 성공의 비결은 전문성이 아닌 다른 곳에 있었다. 전문가가 아니었기에 오히려 더 근본적인 것을 보려 했고, 숫자나 기술보다 그것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더 깊이 파고들었다. 무엇보다 ‘사람‘에 먼저 집중했고, 그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그들이 원하는 것과 불편을 읽어 내려고 노력했다. 처음에는 비논리적이고 정성적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결과로 신뢰를 얻었다. 의사 결정 과정에서도 데이터 중심의 해법보다는 결정을 받아들일 사람들의 반응을 예측하는 데 집중했다. 지나고 보니 내 성공의 핵심은 사람을 들여다보고 공감하며 답을 찾아가려는 태도에 있었다.
이 책은 사회 초년생인 딸과 아들에게 공감의 힘을 알려주고 싶어서 시작되었다. AI 시대에 아날로그적 공감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AI와 대화를 이어 갈수록 오히려 더 큰 확신을 얻었다.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험의 폭이 넓을수록 이해할 수 있는 세계도 넓어집니다. 단어의 세계를 아는 일도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는 일일 것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82

그러나 김치는 침채(沈菜)라는 한자어가 변해서 만들어진 말입니다. 침채는 담글 침(沈)에 채소 채(菜)자로 ‘채소를 담근 것’이라는 의미이지요. 현대 한자음으로는 침채이지만, 옛 한자음으로는 팀ᄎᆡ이었고, 사람들이 말할 때는 딤ᄎᆡ라고 했었습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96

아마 학창시절에 구개음화란 ㅣ모음 앞에서 ㄷ이 ㅈ으로, ㅌ이 ㅊ으로 바뀌게 되는 현상이라고 배운 기억이 있으실 겁니다. 가령 해돋이, 같이가 어원이나 표기를 고려하면 [해도디], [가티]로 발음되어야 하지만 [해도지], [가치]로 변한 것이 바로 구개음화 때문입니다. - <단어가 품은 세계>, 황선엽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6be9649151a6494a - P19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