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에 견줄 만한 사회 혁명은 없다. 바퀴 위에 앉은 인간은 기존의 수많은 공정과 사회생활의 형태를 바꾸었다. 자전거는 평등의 상징이다. 모든 미국인이 자전거를 타게 된 이후 마침내 만인 평등의 위대한 원칙이 실현되었으니까 말이다.
마크 트웨인Mark Twain은 특유의 시니컬한 말투로 자신의 자전거 수업을 이렇게 묘사했다. "항상 푹신한 것 위로 내리려고" 노력해야 한다. "많은 이가 깃털 침대를 권하지만, 나는 전문가 쪽이 더 나은 것 같다." 이 말은 내릴 때 여러 번 자전거 선생님에게로 넘어졌다는 뜻이다.
이 참신한 제품은 앞서 언급했듯이 동시대의 패션 유행인 댄디즘dandyism에 큰 영향을 미쳤다(댄디즘은 세련된 복장과 몸가짐으로 일반 사람에 대한 정신적 우월을 은연중에 과시하는 태도를 말한다. 19세기 초 영국 런던 사교계를 주름잡은 조지 브럼멜George Brummell이 댄디즘의 시조라고 하며, 당시 그의 스타일은 사교계 청년들 사이에서 널리 유행했다.–옮긴이). 댄디들이 자전거의 가장 큰 이용자 집단이 되었기 때문이다.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다. 균형을 잡으려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알라딘 eBook <자전거, 인간의 삶을 바꾸다> (한스-에르하르트 레싱 지음, 장혜경 옮김) 중에서
자전거 관한 흥미로운 책
"인생은 자전거를 타는 것과 같다. 균형을 잡으려면 끊임없이 움직여야 한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