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집은 배수가 잘된다. 사실 집에서 배수 문제는 간단치 않다. 주방에서 쓰는 물이나 화장실 물이나, 만일 배수가 안 되고 관 중간에서 막힌다면 만사를 제치고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 운 좋게 쉬 해결되기도 하지만 대개는 기술자를 불러 돈을 써야 한다. 그렇게 해서라도 해결돼야지, 만일 기술자도 못해낸다면 배수관을 드러내기 위해 바닥파기 대 공사를 벌여야 하지 않을까? 상상만으로도 끔직하다.
우리 집은 20년 전에 지은 단독주택이다. 집을 직접 짓는 사람도 있다지만 나는 건축청부업자한테 일임해 지었다. 학교에서 고 3 담임을 맡아 몹시 바빴을 뿐만 아니라 건축 분야에는 문외한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나보다 다섯 살 위인 50세라는데 머리가 벌써 반백인 건축청부업자 김 사장을 처음 만났을 때, 내가 건넨 설계도를 쭉 살펴보고는 첫마디가 이랬다.
“걱정 마십쇼. 잘 지어드리겠습니다.”
그리고는 뭐가 부끄러운지 반백의 머리를 한 손으로 긁적였다. 나중에 깨달았지만 그 말은‘집이 지어지는 동안은 물론이고 다 지어진 뒤에도 집 주인과 건축청부업자 간 분쟁이 빈번한 현실’을 두고 하는 말이었다. 열에 아홉은 그런 분쟁이 벌어진다고들 했다.
어쨌든 김 사장 책임 아래 우리 집 짓기가 시작되었다. 집이 지어지는 6개월 동안 내가 할 일은, 그에게 총 건축비를 나누어 틈틈이 건네기였다. 적지 않은 건축비였으므로 그 동안 통장에 모아놓았던 돈은 물론이고 아내까지 은행에서 융자내야 했다. 건축비를 건넬 때면 우선 그에게‘김 사장님, 제가 잠시 후 공사장을 들르겠습니다.’전화부터 해 놓고 학교에서 나서야 했다. 그가 우리 집뿐만이 아니라 다른 집까지 다른 동네에서 짓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 집 공사 현장에서 만나는 김 사장은 대개 부근 도로 가에 서서 여러 분야의 기술자들이 움직이는 것을 지켜보고 있을 때가 많았다. 시멘트 담당, 벽돌쌓기 담당, 미장 공, 타일 공, 전기기술자 등이 그의 눈길 앞에서 분주히 움직이며 설계도 상의 우리 집이 서서히 실현되고 있었다. 얼핏 보면 그는 바쁜 공사현장에서 특별히 맡은 일 없이, 뒷짐 지고 노는 사람 같았다.
그런데 어느 날은 웬 일로 그가 손수 팔소매를 걷어 부치고 일하고 있었다. 화장실 바닥을 마무리할 때였다. 시멘트 칼을 직접 쥐고 바닥을 다듬는 그에게 물었다.
“김 사장님 손수, 웬 일이세요?”
“제가 말입니다, 배수가 전공이거든요. 바닥이 잘 경사지게 해서 물을 쏟았을 때 가장자리에 물이 남는다든가 하는 일이 절대로 없게 합니다. 너무 가파르게 해서도 안 되고 아주 적당히 경사지게 해야 집 주인식구들이 미끄러져 다치는 일 없이 잘 쓰지요. 그리고 저는 배수 파이프도, 설계도 것보다 더 지름이 큰 것을 써서 시원하게 물이 잘 빠지게 합니다. 건축설계사가 현실을 잘 모르거든요. 사실 집을 완공했는데 뭣보다도 배수가 잘 안된다거나 하면 집 주인한테 욕은 욕대로 먹고 건축대금도 다 못 받을 수 있다니까요!”
습관대로 머리를 긁적이며 말하는 바람에 반백머리 한 부분에 시멘트가 묻은 것도 모르며 하하하! 웃던 모습이 지금도 선하다.
그 후 오늘까지, 21년째 우리 집은 다른 것은 몰라도 배수에 관한 한 문제를 일으킨 적이 없다. 언제나 시원시원하게 물이 잘 빠진다. 샤워를 오래해도 바닥의 물이 조금도 남지 않고 깨끗하게 다 배수된다. 그렇다고 가파르게 경사진 바닥도 아니다. 김 사장 스스로 자부한 ‘배수 전공’이라는 말이 실감난다.
후배 국어교사가 있었다. 그는 고장 난 손목시계나 만년필 같은 것을 고치기를 즐겼고 실제로 잘 고쳤다. 주위사람들한테서‘맥가이버’라는 칭찬 아닌 칭찬을 받을 때가 많았는데 내가 보기에는 유감스런 상황이었다. 왜냐면 정작 전공인 국어교과에는 별 관심이 없어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국어교사가 될 게 아니라 기술교사가 됐어야 하는 게 아닌가. 국가에서 교단에 설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매달 봉급까지 줘 가며 생계걱정을 덜어주었다면 교무실에 앉아 시계를 고칠 게 아니라 국어교재연구에 몰두했어야 하는 게 아닌가. 도대체‘전공’의 의미조차 깨닫지 못하는 후배에 대해 나는 말은 못하고 늘 마음이 안 좋았던 기억이다.
그런 후배교사에 비해 건축청부업자 김 사장은 얼마나 멋진가. 화장실 바닥이고 주방이고 배수에 관한 한 20년 넘게 조금도 문제가 없는 그의 전공 실력. 대개 집이 다 지어지고 나면 여기저기 흠이 발견되면서 결국에는 집 주인과 건축청부업자 간에 불화가 발생하고, 그 결과 다시는 만날 일이 없는 나쁜 사이가 된다는데…… 김 사장과 나 사이는 달랐다. 올봄에 우리 아들을 장가보낼 때 나는 김 사장한테도 청첩장을 보냈고 그는 쾌히 만사 제치고 하객으로 와 주었다. 이제는 완전한 백발이 된 모습으로 내게 말했다.
“오늘 장가가는 신랑이, 제가 집을 지어드릴 때 초등학교 다니던 그 꼬마 맞죠?”
나는‘그럼요!’하면서 그의 투박한 손을 두 손으로 감싸 잡았다. 그 간의 21년 세월이 허망하기는커녕 아주 기분 좋게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김 사장 같은 분들 덕으로 우리 사회가 이만큼 발전해 왔고 그래서 우리 아들이 행복한 모습으로 식장에서 신부를 맞은 거라고 생각한다면…… 지나친 생각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