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 한 푼 벌면 내일 두 푼 나가고 - 절망의 시대에 다시 쓰는 우석훈의 희망의 육아 경제학
우석훈 지음 / 다산4.0 / 2017년 2월
평점 :
결혼을 하고 아이를 키우며 가정을 이룬다는 것은 참으로 축복같은 일입니다.
저 역시도 환상에 젖어 있었기에 항상 웃음꽃만 피고 행복할 줄만 알았습니다.
하지만 현실을 직시한 요즘......
결혼을 하고 신혼생활까지는 남들처럼 깨가 쏟아지곤 하였습니다.
그러다 아이가 태어나고 마냥 하늘의 선물로만 생각하기엔 너무나 힘든 육아기가 시작되어 버리곤 말았습니다.
이 책이 지쳐있던 저에게 눈이 번쩍 뜨이게 해 주었습니다.
대한민국 아빠들은 언제까지
엄마들의 희생으로
아이를 키울 것인가?
독박육아를 하고 있는 제가 외치고 싶었던 말이었습니다.
물론 사회생활로, 한 가정을 책임져야한다는 가장으로의 부담으로 힘들게 사는 건 알지만 그래도 공동육아를 하면서 아이가 커가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었습니다.
우선 제가 먼저 읽고 남편에게 권해야겠다는 심정으로 읽기 시작하였습니다.
<프롤로그>부터 육아의 고통을 알려주었습니다.
아이가 태어나는 것은 부모의 사망보다는 결혼식에 가까운 패턴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스트레스 지수와 행복 지수가 동시에 높은 사건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육아는? 육아 역시 스트레스 지수와 행복 지수가 모두 높은 사건이다.
그러나 결혼식, 부모의 장례식, 자녀의 탄생과 육아는 서로 확실히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결혼식이나 출산이 매우 높고 짧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면, 육아의 경우 각 지수가 아주 높은 데다 동시에 그 지속 기간이 매우 길다. 하루에도 몇 번씩 스트레스 지수와 행복 지수의 그래프가 교차하고, 그렇게 높은 에너지 상태가 몇 년간 이어진다. - page 4 ~ 5
저 역시도 육아를 하면서 드는 생각.
나는 누구인가, 또 여긴 어디인가......
그런 제 마음을 알아채기라도 한 이 책.
책을 펼치기도 전에 이미 그의 말에 동조하기 시작하고 위로를 받는 것 같았습니다.
이 책 제목의 의미는 초반에 나오게 됩니다.
"오늘 한 푼 벌면 내일 애들한테 두 푼 나가고......
자식을 키우려면 돈이 필요하다. 많이 필요하다. 아이가 없거나 이미 장성했을 때는 없으면 없는 대로, 있으면 있는 대로 맞춰 살 여지가 있다. 그러나 아기가 태어나 한참 부모의 손을 타며 자랄 때는 이런 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 부모가 된다는 것은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고, 그 어느 때보다 돈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우리는 그렇게 살아왔고, 여전히 그렇게 살고 있다.
오늘 한 푼 벌면 내일 애들한테 두 푼 나가는, 그런 삶이 한국에서의 평균적 부모들의 삶이다. - page 30
나의 부모님도 그렇게 살아왔고 지금의 나도 그렇게 살아가고 있는 중이기에 그의 이 말에 저 또한 머리가 아파 왔습니다.
당연한 듯 알고 있는 사실을 팩트로 듣게 되어서일까.
그리고 이어진 육아의 기회비용에 관한 이야기.
육아의 비용, 육아의 고통, 그로 인한 기회비용, 이 얘기 자체가 청년들에게는 이미 '럭셔리'가 되어 버렸다. 아기들이 너무 귀엽다고 말하는 것 자체가, 누군가에게는 속으로 삼키는 고통이 된 것이다.
상황이 이런 데도 육아 산업은 "인생에 한 번뿐이니" 기꺼이 지갑을 열라고 한다. "세 살이면 이미 늦어요. 스타트라인이 달라진다니까요?" "자녀의 미래, 당신이 책임질 수 있나요?" 그렇게 사교육 시장에 어마어마한 돈을 쏟아붓게 한다. 그걸 눈앞에서 현실로 지켜보는 비정규직의 초식화, 이게 우리에게 보장된 미래이다. 이게 말이 되는가? 본래의 자본주의가 이 정도로 무자비하지는 않다. - page 39
너무나 와 닿는 이야기들.
아이를 위해서라면, 특히나 나의 선택으로인해 아이의 미래가 잘못되기라도 하면 어쩌나 전전긍긍하기에 아낌없이 베푸는 부모들의 심정.
그렇기에 이 책을 통해 보다 현명한 육아, 경제육아를 배우고 싶었습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의 아이를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두 돌이 지났고 한국의 나이상으로는 세 살.
책에서 이야기하는 <가장 편안하고 아름다운 시간 '세 살'>이 지금 아이가 그렇기에 읽으면서 공감도 하고 깨달음을 얻기도 하였습니다.
세 살짜리 아이는 잘못하는 게 없다. 무조건 부모 잘못이다. 이제 막 말을 하나씩 하기 시작하고, 편안하게 걷는다. 참으로 예쁜 시기다.
(중략)
인간이라는 존재가 태어나서 가장 편안하고, 가장 아름답고, 가장 행복한 시간이 이때일 것 같다. 할 줄 아는 것은 없지만, 그래도 뭔가 하기 시작하는 나이. 뭘 해도 사람들이 잘했다고 하고, 진짜로 뭔가를 해내면 좋아서 어쩔 줄 모른다. 그리고 한국의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손주가 천재라고 믿게 되는 나이이기도 하다. - page 178
이 시기인 우리 아이에게 저는 어떤 부모가 되어야 하는지 그의 글을 읽으면서 앞으로의 제 역할을 재정비하곤 하였습니다.
이 책은 단순한 육아서적은 아니었습니다.
지금의 사회모습을 부모의 시선으로 꼬집을 것은 꼬집어 주고 자신의 경험과 학식을 바탕으로 육아에 대해, 부모로 사는 것에 대해 우리에게 현실적인 조언을 해 주었습니다.
그동안 아이를 키우는 방법에 대한 책을 접했을 때는 앞서 이야기한 것 처럼 이른 시기에 다양한 경험을 해 주어야 한다며 조금은 부담스러운 교육열과 부모의 희생을 강조하곤 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오히려 부모의 입장에서 바라본 육아에 관한 이야기이기에, 지금의 현실에서의 조언이기에, 무조건적인 부모의 희생을 이야기하지 않기에 더 공감할 수 있었고 위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시중에는 수많은 육아서적들이 있습니다.
그들이 전하는 이야기처럼 육아를 하는 것도 좋겠지만 우리 아이에 맞게, 자신의 형편에 맞게, 그것보다 부모의 진정어린 사랑과 행복으로 육아를 한다면 그것이 아이에겐 최고의 육아가 아닐까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