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은 최고의 공부다 - 자기만의 시간 갭이어로 진짜 인생을 만나다
안시준 지음 / 가나출판사 / 2016년 12월
평점 :
'여행'.
일상으로부터의 탈출과 동시에 나를 마주할 시간을 갖는 것.
그렇기에 여행을 떠나고 여행가는 것을 꿈꾸고 다른 이의 여행기를 읽으며 나 자신에게 물어보곤 합니다.
이 책은 <꽃보다 청춘> 나영석 PD가 강력 추천하였다는 문구가 눈에 띄었습니다.
사실 믿고 보는 그의 추천이기에, 또한 책에서 묻는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이 책을 찾아 읽었습니다.
이렇게 살아도 괜찮을까?
'갭이어'?
우선 이 단어의 의미를 이해해야 했었습니다.
인생에 전환점이 필요하거나 진로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잠시 멈춰 서서 자신이 진짜 하고 싶은 일을 탐색해볼 수 있는 시간.
그는 갭이어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전 세계를 다니며 일을 하였다고 합니다.
저 역시도 그의 직업이 부러웠습니다.
보통의 사람들은 여행을 가기 위해 시간을 내야 하는데 그는 일하는 것과 동시에 여행을 맛볼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도 여행과 일과 엮인 여행은 다르다고 하였습니다.
비행기와 버스, 기차, 배 등을 번갈아 갈아타기도 하고, 약속이 늦어지거나 취소되면 한없이 기다려야하는 고충.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갭이어 프로그램을 만들어 소개하고 필요한 이들에게 연결하며 무엇보다 자신을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는 법을 배웠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인지 책의 곳곳에는 자신이 처한 상황이 어려울지라도 용기를 잃지 않았고, 희망을 잃지 않았었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우리가 수행해야할 미션들이 있었습니다.
'셀프 갭이어' 첫 번째 미션 - 당신은 무엇을 원하고 있나요?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아봅시다.
'셀프 갭이어' 두 번째 미션 - 당신에게는 얼마나 많은 방해물이 존재하나요?
'셀프 갭이어' 세 번째 미션 - 당신을 방해하는 리스크는 어떤 것인가요? 스스로 리스크를 말해봅시다.
한참을 고민했었습니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잊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저 왜 안되는지는 정작 자신의 의지가 약했다는 것, 그것이 내가 원하는 것이 아니었다는 것을 모르고 주변의 탓만 한 제 자신이 부끄러웠습니다.
이에 대해 책 속에서 이런 답이 있었습니다.
사람은 살아가면서 받아들이고 싶지 않을 정도로 나쁜 상황과 맞닥뜨릴 때가 있다. 정면으로 돌파하기 보다는 돌아가거나 회피하고 싶은 마음도 든다. 하지만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바라보는 용기가 필요할 때도 있다. 어쨌든 한 가지만은 확실하다. 어떤 상황에서도 행복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age 131
이 책을 읽으면서 '갭이어'를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꿈으로 가는 통로입니다." - page 232
그런 그가 지금의 청년들을 대변해서 이런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청년들은 사회에서 정해좋은 매뉴얼과 부모님의 교육 방침에 따라 살아오는 동안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하는 감각을 잃어버린 듯했다. 개인의 특성이 고려되지 않는 획일화된 시스템 안에서 계쏙 공부만 하다보니 일종의 '결정 장애' 상태가 된 것이다. 자유롭게 선택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무엇을 좋아하는지, 지금 필요한 게 무엇인지조차 모른 채 혼란을 느끼며 방황하고 있었다. - page 198
자기 인생을 사는 사람들에겐 한 가지 공통점이 있었다. 주변의 반응에 흔들림 없이 자기 길을 간다는 것이다. 어떤 일을 하다보면 당연히 주위에서 칭찬도, 비난도 들린다. 하지만 그것에 신경 쓰기 시작하면 초심을 잃고 자신의 길을 제대로 걷지 못한다. '진로'라는 말을 다시 생각해보았다. 말 그대로 내 길을 가는 거고, 그 길을 가며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하면 그만이었다. - page 200
자신이 원하는 일이 있으면 그저 주어진 길에 최선을 다하면 되는 것이었습니다.
주변의 시선 따위는 무시한 채.
그러다보면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사는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그의 말이 강한 울림으로 들렸습니다.
그가 책을 통해서 우리에게 도전정신과 용기를 주었기에 책을 읽고 난 후 왠지 나만의 인생을 살아갈 방법을 조금은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지치고 힘든 이들에게, 특히나 청년들에게 이 책은 사막의 오아시스와 같을 것이고 삶에 지친 어른들에게는 희망의 불씨를 지펴줄 것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