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외모는 자존감이다 - 온전히 나다운 아름다움을 찾는 법
김주미 지음 / 다산4.0 / 2016년 10월
평점 :
1. 이책은?
* 제목 : 외모는 자존감이다
* 저자 : 김주미
* 출판사 : 다산 4.0
* 읽은 날짜 : 2016.11.27 ~ 2016.11.29
2. 내용 :
*주요내용 :
"현명한 여자는 결코 외모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우리는 사람을 판단할 때 흔히 외모보다는 그 사람의 내면으로 판단한다고 외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첫 인상으로 거의 그 사람에 대해 판단하게 되고 그 사람과 점점 지내면서 앞서 판단했던 결과에 대해 수정을 한 뒤 자기만의 잣대로 그를 나누곤 합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외모를 업신 여길 수는 없습니다.
또한 외모 역시도 우리 내면이 만들어낸 결과이기에 우리는 외면과 내면이 모두 아름다워지길 바라며 이 책에선 자존감을 높이는 기술 중 하나로 자신의 외모관리를 통해 이미지를 그려나가자고 알려 줍니다.
*핵심문장 및 가슴에 와 닿았던 문장들:
사실 우리는 아름답다는 의미를 외모에만 한정하여 생각하지 않는다. 어떤 사람을 보고 아름답다고 말할 때는 단순히 외모뿐만 아니라 그 사람의 분위기나 표정, 태도, 감동을 주는 행동에 영향을 받는다. 그러기에 한 사람에게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은 '매력'과 동의어로 봐도 무방하다. 매력은 '사람을 끌어당기는 힘'이다. 아무리 외모가 뛰어난 미인이라도 이를 뒷받침하는 태도와 행동이 없으면 전혀 아름답게 느껴지지 않는다. 반대로 미인이 아니더라도 기분 좋은 끌림이 있으면 그 사람은 분명 아름답게 느껴지고 매력적으로 보인다. - page 30 ~ 31
단순히 예뻐지고 싶은 여자의 본능만으로는 외모 관리를 지속시키기가 어렵다. 모든 행동을 지속하는 데에는 분명한 동기가 필요하다. 나는 그것이 '자신만의 꿈을 가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꿈이 내 안에 에너지를 만들어내고, 스스로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어느 누구도 이유가 없거나 의미 없는 행동을 애써 지속하지는 않는다. - page 65
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변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구체적인 그림'이 있어야 한다. 그 그림이 구체적이면 구체적일수록 원하는 모습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이는 외모를 변화시키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법칙이다. 어떤 이미지를 원하느냐에 따라 외모 관리 행동까지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 page 107
우리는 모두 각자의 개성과 장점(꽃과 나무)을 가지고 있다. 나만의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가진 꽃과 나무가 어떤 것인지 알아야 한다. 꽃과 나무가 있다고 아름다운 정원이 만들어지지는 않는다.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잘 가꾸고, 서로 조화를 이루게할 때 나만의 아름다운 정원을 만들 수 있다. - page 135
"누군가에게 매력적으로 보이고 싶다면 당신의 이목구비가 어떻게 생겼는지 모를 정도로 환하게 웃어주세요. 그러면 그 사람은 당신의 이목구비가 아닌 환한 미소만 기억할 것입니다.". - page 187
3. 책의 견해 :
저 역시도 이 책을 읽기 전에 외모를 가꾼다고 자존감이 높아질까?라는 생각을 가졌었습니다.
외모보다는 내면을 가꾸는 것이 더 중요한 것이고 외모로 판단하는 것은 나쁘다고만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저만의 잘못된 편견이었음을 이 책을 통해 깨닫게 되었습니다.
책 속에는 외모를 가꾸기 전 외모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자가진단할 수 있는 질문들도 많았습니다.
또한 책의 내용을 토대로 읽는 독자들에게 그렇다면 자신들은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적으며 결심하게끔 하여서 또 하나의 나만의 책이 되게끔 해 주었습니다.
앞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평소 자신은 외모 관리에 소홀한지, 외모 관리 습관은 어떠한지에 대해 평가하는 질문지가 있었습니다.
음......
벌써부터 반성의 시간을 가지게끔 하였습니다.


역시 외모는 내면의 거울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 주었습니다.
그렇기에 외모를 가꾼다는 것은 곧 나를 사랑해 주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우리의 외모를 망치는 습관들은 너무나 사소하다는 것을 이 장을 통해서 깨달았습니다.
텔레비전을 볼 때마다 과자를 먹는 습관부터 시작해서 오랜시간 굳은 표정으로 지내는 것, 늘 헐렁하고 편한 옷만 골라 입는 것 등등.
안일하게만 했던 행동들이 결국 내 외모를 망치는 습관이었고 자존감을 낮춘 행위였습니다.
이제라도 반성을 하며 제 자신을 꾸며볼까 합니다.
이 책에 나온대로 피부부터 시작해서 스타일까지......
조금씩 변화된 제 모습에 벌써부터 긍정 에너지가 나오고 바닥에 있던 자존감이 높아지는 것 같습니다.

4. 무엇을 생각했는가?
나 역시도 외모 가꾼다는 것을 그저 하찮게 생각한 것은 아닌가?
내가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
5. 하고자 하는 질문은 무엇인가?
아직도 외모의 중요성을 모른 채 그저 내면의 중요함만을 따지는 편협적인 사고를 지닌 것은 아닌가?
6. 이 책을 한 문장으로 요약한다면?
→ 결혼 하기 전엔 한창 꾸미고 다녔습니다.
직장도 다니고 있었기에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도 힘들었지만 화장만은 필수로 하고 그날 입을 옷은 그 전날 정하고 높은 하이힐에 몸을 맡긴 채 살아갔습니다.
그때는 그게 나의 자존감을 높여준 것이라곤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결혼 후 아이가 태어난 후부터는 육아전쟁에 매달려 내 자신을 꾸미기를 소홀히 하였습니다.
화장은 커녕 내 모습을 거울로 몇 번이나 보았는지 가물가물할 때도 있었습니다.
그러다 직장을 다니는 친구들을 만날 때면 멋진 외모의 여성 모습에 그저 부럽기만 하고 내 자신이 초라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래서는 안되겠다!
이 책을 읽으면서 다시 예전의 모습으로 돌아가려고 합니다.
조금만 더 신경써서 화장도 하고 예쁜 옷도 입다보니 어느 새 기분이 업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이를 계기로 나에게 더 투자를 하고 나의 자존감을 되찾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