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빚 갚는 기술 - 돈 한 푼 안 들이고 채권자 만족시키기 ㅣ 고전으로 오늘 읽기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이선주 옮김 / 헤이북스 / 2023년 3월
평점 :
빚이 있다. 그것도 잔뜩. 내가 사는 집도 은행이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다. 그런 연유로 달마다 꼬박꼬박 지분 소유주에게 소정의 돈을 자동으로 보낸다.
'지금 이 책을 손에 들고 있는 독자들은 무엇보다도 이 책의 제목에 끌렸을 것이다. 나도 그랬다.
'뭐? 빚 갚는 기술이라고? 그것도 돈 한 푼 안 들이고?... 그런데 그 유명한 발자크가 썼다고?' (p. 153, 역자 후기)'
나도 이 책의 제목에 끌렸다. 빚을 짊어진 사람이라면 당연하지 혹하지 않았을까? 특히 역자의 말처럼 '돈 한 푼 안 들이고...'와 '발자크'에 꽂혀버렸다.
'삼촌은 아주 젊어서부터 정식 수입이 한 푼 없어도 엄청난 수입이 있는 사람처럼 살면서 우리 사회를 지배하는 거만한 편견, 철학적 어투를 빌리자면, 우리 사회의 어마어마한 도덕적 결함의 우위에서 살아가는 법을 터득하고 있었습니다. (p. 13)'
소설 <빚 갚는 기술>의 주인공인 삼촌은 빚을 지고도 갚지 않으면서 60년을 모든 쾌락을 누리면서 살다간 비범한 인물이다. 삶의 마지막도 유명한 레스토랑에서 멋진 만찬을 하면서 마감했다. 삼촌은 자식도 없었고 아내라는 신분도 인정하지 않았다. 빚 때문에 여차하면 감옥 생뜨펠라지에 들어갈지도 모르기 때문이었다.
<빚 갚는 기술>은 '빚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서'로서 삼촌이 완성한 '돈 한 푼 안 들이고 빚을 갚고 채권자를 만족시키는 기술'을 삼촌의 부탁을 받아 조카가 기술한 내용이다.
'갚을 빚이 많아질수록 신용은 늘어난다. 감당해야 할 채권자들이 적어질수록 돈 생길 곳은 줄어든다. (p. 35)'와 같은 빚에 대한 '삼촌의 명언'과 참신한 생각을 시작으로 '빚이란 무엇인지'를 26가지로 나누어 흥미롭게 해석한다.
'24. 사회적 빚: 사회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빚. 이웃 사람과 놀음을 하면서 생겨나는 빚으로 그와 놀음을 계속하기 위해서 그에게 계속 빌리는 빚이다. (p. 51)'
이어서 감가상각, 채권자, 채무자, 신체 속박, 집행관에 대한 독특한 정의, 채무자에게 필요한 자질들, 채무자가 구비할 조건, 생활 방식 그리고 도덕성에 대해 사회 풍자를 곁들여 통찰력 있게 이야기를 풀어간다.
'편지 전달비, 마차비는 요즘의 내게는 사치일 뿐이다. 옷이 닳을까 봐 외출도 삼가고 있다면, 무슨 말인지 알아듣겠니? (p. 181, 부록 2 _ 발자크가 동생 로르에게 보낸 편지)'
살아생전에 그림을 한 점도 못 팔은 고흐와 달리 발자크는 살아있을 때 문학적으로 명성을 얻었던 작가였다. 그럼에도 소설 속 주인공처럼 젊은 시절인 20대부터 평생 빚을 지고 살았다.
'그런데 이사하는 집이 갖추어야 할 필수 조건이 있다. '정문은 당연히 있어야 하지만 여차할 경우 도망갈 수 있는 후문까지 겸비한 집' (p. 161)'
빚을 진 이유를 보들레르는 '기후도 안 맞는 파인애플이 주렁주렁 달린 정원, 철에 안 맞는 장식의 별장 등 발자크의 취향이 독창적이었고, 괴이한 발상으로 일상생활을 했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발자크는 빚 때문에 글을 쓰는 '글 쓰는 노동자'였다.
빚은 잔뜩 짊어진 채무자로서 나는 <빚 갚는 기술>을 읽는 내내 빙긋 웃으며 유쾌함을 유지했다. 평생 채무자였던 발자크도 웃음기 띤 얼굴로 득의양양하게 소설을 쓰지 않았을까? 빚으로 눌린 마음이 정화되는 카타르시스를 느꼈을 수도...
''얼씨구, 빚으로 한바탕 잘 놀았네, 그려.'
빚으로 신나게 사물놀이 한판 하고 난 느낌을 전하는 이 책으로 독자들도 발자크처럼 꿈틀대며 빚을, 돈을 낭만화할 수 있는 생활을 하기를…. 까짓것 그저 (p. 159)'
빚 있는 자들이여~~~ 꼭 읽어보시길, 읽는 동안만이라도 채무자로서는 절대 느끼지 못할 통쾌함을 원하다면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