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
이경구 지음 / 푸른역사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 세기 조선 지식인 지도17세기 지식인들의 계보를 훑은 책이다. 김장생(金長生)/ 김집(金集) 부자, 김육(金堉), 장유(張維), 송시열(宋時烈), 윤휴(尹鑴), 유형원(柳馨遠), 이현일(李玄逸), 남구만(南九萬),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형제 등을 조명했다. 김장생은 송익필, 이이, 성혼 등 서인(西人) 학문의 기초를 세운 세 사람에게서 고루 학문을 배웠다. 김장생은 자신을 노둔(魯鈍: 굼뜨고 미련함)하다고 평했다.

 

그런 그에게 지적 원천으로 작용한 것은 꾸준한 독서였다. 김장생이 생전에 거둔 문인은 아들 김집을 비롯 송시열, 송준길, 장유, 최명길, 김류 등이다. 김장생의 아들 김집을 비롯 이황, 이이, 박세채, 송시열, 이언적 등이 종묘와 문묘에 배향된 여섯 사람이다. 김장생, 김집은 유일하게 문묘에 배향된 부자다.

 

19세기 실학자 이규경(李圭景)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서 덕치는 조광조, 도학은 이황, 학문은 이이, 의리는 송시열, 예학에서는 김장생을 동국제일로 꼽았다. 김장생, 김집 부자는 이이의 학맥을 공고히 하고 예학의 태두로 한 시대와 산림정치를 열었다. 그들 대에 체질이 바뀐 서인의 일부는 17세기 후반 노론으로 이어졌고 18, 19세기에도 사대부층의 주류를 이어갔다.

 

산림(山林)이란 산림숙덕지사(山林宿德之士) 또는 산림독서지인(山林讀書之人)의 줄임말이다. 재야의 학문과 덕행이 높은 선비의 의미다. 과거를 통하지 않고 천거에 의해 등용된 재야의 학자다. 산림의 전형이 정인홍(鄭仁弘)이다. 유학(儒學)의 숙제는 성인과 군주 사이의 피할 수 없는 틈을 메우는 것이었다.

 

1) 재주와 학덕을 겸비한 군주가 성왕을 표방하는 것, 2) 재상권을 중시하는 것, 3) 산림을 통해 세도(世道: 세상의 도)를 구현하는 것 등이 대안으로 꼽혔다. 1) 즉 군주성왕론을 이론까지 정연하게 아울러 국왕이 유학의 도통을 계승했다고 천명한 사례가 영조와 정조의 경우다. 2)의 대표가 정도전이다. 3)의 방식은 야인에 가까웠던 공자의 스타일이었고 사대부 중심 유학인 성리학에서 추구하는 전형적 모델이었다.

 

산림은 사대부의 공론이 아닌 자기 정파의 여론만을 대변하는 난맥상을 보였다. 서양의 에티켓이나 매너가 자율적 개인 사이의 영역을 침해하지 않는 것 즉 공존을 위한 수단이나 기능의 의미가 강한 반면 유교의 예는 인간이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보편적 덕성이 외면적 질서로 드러난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도덕 수양의 외화물이고 국가 차원에서는 덕치의 상징이었다.

 

왜란과 호란 후 사상계 전체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새로운 질서를 수립해야 한다는 당위가 생겼다. 예의 실천, 그 실천의 기준이 국가 전통이어야 하는가, 고례(古禮)여야 하는가, 성리학에 두어야 하는가를 두고 수많은 논쟁이 벌어졌다, 예송(禮訟) 논쟁이 대표적이다. 대동법을 주장한 김육은 도학의 시대에 드물게 존재했던 제도개혁파였다.

 

북인인 정인홍이 이황과 이언적을 문묘에서 출향(黜享)할 것을 주장하자 김육은 정인홍을 유생들의 명부인 청금록에서 삭제한 뒤 동맹 휴학인 공관(空館)을 감행했다. 남명 조식의 제자 정인홍은 남인, 김육은 서인이었다. 김육은 소년기에 임진왜란을 겪었다. 이때 부친을 잃었고 임난 후에는 모친을 잃었다. 김육은 30대 후반 경기도 가평 잠곡(潛谷: 가평 청평)에서 10년간 농사를 지었다.

 

그곳에서 김육은 회정당(晦靜堂)이란 작은 집을 지었다. “군자는 험난한 상황에서도 천하를 경륜할 준비를 축적하면서 지극히 곤궁한 생활도 달게 여긴다. 소리를 거두고 빛을 갈무리하여 텅 비고 자취가 없는 상태로 있으니 그가 있는 줄 전혀 눈치 채지 못하다가 급기야 기운이 무르익어 움직임이 일어나게 되면 순식간에 번쩍이면서 산악을 뒤흔들고 하늘을 온통 환히 밝히니 이 기세는 그 누구도 막을 수가 없다. 이것이 바로 회정의 작용이다.”

 

후배 장유(張維)의 해석이다. 기운은 순환하게 마련이니 어둠<> 다음에 밝음이 오고, 고요함<>이 극에 달하면 움직이게 마련이다. 회정에는 세상을 경륜할 때를 기다리며 곤궁을 달게 여기려는 의지가 깃들어 있었다. 저자는 잠곡(潛谷)의 김육은 잠룡(潛龍)을 꿈꾸고 있었던가라 말한다.(57 페이지) 중년에 접어든 김육이 안목을 크게 넓힌 계기는 병자호란 발발 직전 명에 사신으로 갔을 때였다.

 

당시 나이 57, 조선이 명에 보낸 마지막 사신이 김육이었다. 명에 다녀온 이후 그는 충청도 관찰사로 재직하며 대동법 확대 시행을 강력 건의했다. 대동법은 현물로 받던 공물을 쌀이나 포()로 받은 제도다. 이 제도는 토지를 단위로 부과하는 것이어서 대토지 소유자들의 반발을 샀다. 방납 등으로 부당 이득을 취했던 서리(胥吏)와 그들과 이익을 공유했던 관리들도 문제였다.

 

김집은 대동법 시행 자체는 반대하지 않았다. 시행에 따른 부작용을 우려했다. 하지만 그는 덕성으로 인한 교화라는 이상적 원칙을 강조하다 보니 제도 개선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대동법 시행에서 이이의 뜻을 따른 사람이 김육이었으니 김집은 사조(師祖)의 뜻을 놓친 것이리라.

 

김집의 뒤를 이어 서인 산림을 대표한 송시열은 대동법을 옹호하며 스승 김집의 오류를 인정했다. 김육은 나는 어리석고 생각이 얕아 학문이 어떠한 것이지 잘 모른다. 다만 바라는 바는 마음을 바르게 가지고 일처리를 실질적으로 하는 것이니 절약하여 백성을 아끼고 부역과 세금을 줄이는 것이다. 나는 공허하고 멀리 있는 것을 추구하여 뜬 구름과 같은 글은 숭상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인조반정에 주역으로 참여한 장유는 병자호란 중에 최명길과 함께 강화(講和)를 주장했고 전란이 끝나고 모친의 상중임에도 삼전도비문을 작성했다.(최종 채택된 것은 이경석이 지은 것이다.) 장유의 딸이 효종 비 인선왕후 장씨다. 장유는 주자학 일변도의 학문 풍토에 반발하고 유불도(儒佛道)를 넘나둘었던 자유 사상가이자 양명학의 선구자로 주목받았다.

 

장유는 불가해한 세상사를 끝없이 물었다. 주자학은 주희 생존시에는 거짓된 학문<위학: 僞學>으로 비판받았지만 원나라에서 주자가 집주한 사서를 과거 시험의 기본 교재로 사용하면서 관학의 지위에 올랐다, 장유가 살았던 시대는 정파와 학파의 연계가 미약했던 시대다. 허균이 타고난 감성을 그대로 표현하자고 주장해 일대 파란을 낳았다면 장유는 허균처럼 인간의 진솔한 감정 표현을 강조하면서도 도덕적 정서와 수양을 강조했다.(88 페이지)

 

저자는 사대주의를 추구했던 조선인들과 현재의 우리 중 누가 과연 주체적인가를 묻는다. 사대(事大)란 맹자에게서 나온 개념이다. 물론 이는 사소(事小)와 짝을 이루는 개념이다. 예에 기반한 쌍무적 책임을 동등하게 가지는 질서였다. 송시열은 실록에 3000번 정도 기록된 인물이다. 살아서 2000, 사후에 1000회에 육박했다. 그가 이렇게 많이 기록된 것은 83세의 나이, 압도하는 풍모, 인조에서 숙종까지 4대에 걸친 정치적 이력, 율곡학파를 주류에 올려놓은 학문적 업적 등으로 인해서다.

 

그는 평생을 두고 싸웠다. 학문을 두고 싸웠고 예법을 두고 싸웠고 국가 운영을 두고 싸웠다. 그는 일방 편향과 독점으로 특징지어진 인물이다. 2차 예송 논쟁 때 송시열은 예를 그르쳤다는 공격을 받아 장기로 유배되어 약 5년을 보냈다. 숙종이 희빈 장씨의 아들을 원자로 삼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당하고 사사되었다. 송시열에 대한 재평가가 절정을 이룬 것은 정조대였다.

 

그가 후대에 더욱 인정받은 것은 의리 정신을 계승한 삶 자체 때문이었다. 정조는 송시열을 대뜸 주자의 후인(後人)이자 현인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송시열은 금()에 대해 북벌을 주장한 남송(南宋)의 효종과 같은 묘호(廟號)를 사용하자고 제안해 관철시켰다. 윤선도가 송시열 등의 차자(次子) 강조 논리를 효정의 적통(嫡統) 부정 노리로 비약시켰다.

 

효종 비 인선왕후가 죽음으로써 빚어진 2차 예송 논쟁에서 현종은 경국대전의 맏며느리에 해당하는 복제를 결정하고 지난 날 기해예송까지 거슬러 판결해 송시열 등이 효종에게 잘못된 예를 시행했다고 비판했다.(115 페이지) 남인 집권기에 송시열은 주자의 저술을 보완하는 일에 매달렸다. 윤휴 등을 의식한 나머지 남인의 득세를 세도의 무너짐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송시열은 막역한 친구였던 윤선거의 아들이자 제자였던 윤증과도 대립했다. 이를 회니시비(懷尼是非)라 한다. 송시열이 회덕(懷德), 윤증이 니성(尼城)에 살았던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김익훈 사건과 회니시비로 서인은 노론과 소론으로 갈라섰다. 김익훈은 송시열의 스승 김장생의 손자다. 송시열과 효종이 북벌 논의를 했거니와 박지원은 명분으로만 굳어진 북벌론을 배격한 반성적 북벌, 그리고 대안으로서의 북학을 추구했다.

 

학계에서는 윤휴를 탈주자주의자에서 주자상대주의자까지 다양하게 규정한다. 병자호란의 충격으로 윤휴는 과거에 응하지 않고 두문불출하며 학문에 열중했다. 송시열은 윤휴를 백이(伯夷)에 비유했다. 그러나 두 사람의 학문 태도는 달랐다. 효종이 죽었을 때 계모인 자의대비가 얼마나 상복을 입어야 하는가를 놓고 벌어진 1차 예송 논쟁 때 윤휴는 자의대비도 효종의 신하였으므로 마땅히 3년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고 송시열은 자식이 어머니를 신하로 삼는 의리는 없다는 주자의 견해를 들어 윤휴를 비판했다.(138 페이지)

 

윤휴는 주자의 학문적 공적을 인정했지만 그 역시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유학의 근본 정신을 해석했으니 조선에서도 그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사문(斯文: 유교의 도의나 문화) 시비가 가장 치열했던 시기가 17세기다. 송시열을 비롯한 서인은 남인 윤휴를 사문난적으로 규정했다. 유형원의 아버지 유흠은 21세에 과거에 급제한 재사(才士)였다.

 

유형원이 태어난 이듬 해 인조반정(1623)이 일어났고 부친 유흠이 유몽인(柳夢寅)의 옥사(獄事)에 연루되어 28세에 옥사(獄死)했다. 유형원은 반계수록(磻溪隨錄)’ 하나만으로도 청사(靑史)에 이름을 남겼다. 이 책은 거시 국가 개조론이라 할 수 있다.(165 페이지) 토지에서 노비제까지 당시 조선에서 이처럼 웅대한 구상으로 제도 개혁을 논한 책은 없었다. 물론 그 구상이 유형원 개인의 온전한 창조물일 수는 없었다.

 

학계에서는 대체로 유형원의 구상에 주례(周禮)가 강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166 페이지) ‘주례의 작자는 주나라의 기초를 놓은 주공(周公)이라 생각되었고, 따라서 그 방책을 실현한 주나라는 이상 국가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저술 시기를 전국시대에서 전한(前漢) 사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그렇다면 주례는 전국시대에서 전한에 이르는 시기의 이상적 국가관을 반영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주례의 방식대로 공유를 실현한다면 그것은 사유에 기반해 지주로 존재했던 사대부들의 존립 근거를 궁극적으로 부인하는 것이었다. ‘주례의 이상을 구현하려한 사람들은 대개 실패했다. 북송의 왕안석이 그랬고 조선 초 정도전이 그랬다. ‘주례의 핵심이라 할 정전제(井田制)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정당성을 부인하지는 않았지만 실현 가능성에는 회의적이었다. 주자도 그랬다.

 

유형원의 학문을 이익이 계승했고 그것은 정약용에게로 이어졌다. 정조도 유형원의 애독자였다. ‘반계수록에 대한 평가의 절정은 화성(華城) 건설에서 나왔다. 유형원은 반계수록보유(補遺)편에서 수원부를 북쪽으로 옮기고 성곽을 건설할 것을 주장했는데 화성은 그의 예언대로 옛 수원부의 북쪽 즉 팔달산 동쪽에 건설되었다. 정조는 화성 건설의 대강뿐 아니라 구획 정리나 건설비용 마련 등의 구체적 방책까지도 100년 전에 쓰인 반계수록과 일치하는 것을 보고는 그를 아침저녁으로 만나는 듯 하다고 감탄했다.(173 페이지)

 

현재 실학과 실학자의 정체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그 의문은 실학자로 규정된 개개인의 삶, 지향, 저술의 정확한 의미 등을 정밀하게 연구할수록 커지고 있다. 그들은 대개 성리학을 보완하는 이론, 성리학적 질서를 보완하는 사회 개혁을 주장했음이 실증되고 있다.(179 페이지)

 

갈암 이현일(李玄逸)은 기사환국으로 인해 두 번째로 세워진 남인정권을 대표하는 산림이었다. 이현일은 경기, 충청 지역에서 주류가 된 율곡학파는 비판하면서 영남에서 퇴계학파를 중심으로 남명학파까지 외연을 확대하려 했다.(193 페이지) 남인은 탁남, 청남으로 나뉘었었다. 탁남(濁南)은 허적을 영수로 한 관료적 성격이 짙은 일파였고 청남은 허목, 윤휴를 영수로 한 산림적 성격이 짙은 일파였다.

 

약천(藥泉) 남구만(南九萬)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 소 치는 아이는 상기 아니 일었느냐/ 재너머 사래 긴 밭을 언제 갈려 하나니란 시조로 유명한 사람이다. 저자는 남구만을 보면 정철과 윤선도가 떠오른다고 말한다. 우리에게 그들은 가사와 시조 문학의 최고봉으로, 관동의 신선과 보길도의 고고한 선비로서 다가온다. 그런데 정치 행적을 대입하면 그들의 이미지는 야누스처럼 바뀐다.(213 페이지)

 

정철은 기축옥사를 험하게 처리했고 윤선도는 예송논쟁을 종통 문제로 비화시켰다. 남구만은 정치적 이미지가 문학적 이미지를 크게 훼손하지 않은 드문 경우다. 죽음을 부르는 상황까지 격화된 정쟁에서 그는 끝까지 온건론을 펼쳤다.(214 페이지) 저자는 안동 김씨가 아무런 노력 없이 왕실과의 혼인이라는 행운만으로 세도가의 정점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아니라 말한다.(243 페이지)

 

농암 김창협, 삼연 김창흡 형제는 안동 김씨였다. 김창협의 생에서 가장 큰 전환점은 1689년 기사환국이었다. 영의정인 부친 김수항은 사사되었고 영의정을 역임했던 둘째 아버지 김수홍은 유배지에서 죽었다.(249 페이지) 부친의 죽음을 절절히 자책하며 영원히 농부가 되겠다고 다짐한 상소대로 김창협은 경기도 영평에서 농암(農巖)으로 자호(自號)하며 은거했다.(249 페이지)

 

이후 그는 경기도 양주 지금의 미사리 북쪽변에 있었던 석실서원(石室書院)애서 아우 김창흡과 함께 많은 제자를 양성하다가 근처의 삼주에서 생을 마감했다. 농연(농암 김창협, 삼연 김창흡)을 중심으로 한 그룹은 자신들이 물려받은 성리학의 원칙을 지키며 문예 방면에서 새로운 조류를 만드는 데 큰 족적을 남겼다. 그들 주변에서 성장한 이병연과 정선 같은 이들은 조선의 정서가 담긴 미학에 천착했고 각기 시문과 미술에서 이른바 진경문화의 전성(全盛)을 실현했다.(261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시, 책으로 - 순간접속의 시대에 책을 읽는다는 것
매리언 울프 지음, 전병근 옮김 / 어크로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세포가 후천적으로 변하는 것을 뇌 가소성 또는 신경 가소성이라고 한다. 신경 가소성(可塑性) 분야에서 말하는 뇌 재배선(配線)이란 말은 설레는 말이다. 매리언 울프의 다시, 책으로는 바로 그 뇌 재배선을 화두로 삼아 이야기를 시작하는 책이다. 책 제목을 통해 알 수 있듯 뇌를 다시 배선시키는 수단은 읽기다. 우리 뇌는 새로 학습할 것이 나타나면 시각과 청각 등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구조와 뉴런 같은 본래 있던 부분들을 다시 정렬할 뿐 아니라 같은 영역에 있는 일부 뉴런 집단을 재정비해 새로운 기능을 맡게 한다.

 

읽기는 한때 우리의 고향집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읽기 능력을 타고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다시, 책으로는 한때 읽기라는 고향집에 거하던 사람들에게 다시 책을 읽자며 보내는 인지신경학자 저자의 초대장이다. 이 책은 아홉 개의 편지로 이루어졌다. 어린 시절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로부터 큰 영향을 받고 편지 형식의 책을 쓴 저자에 의하면 우리는 편지를 읽으며 마르셀 프루스트가 소통의 비옥한 기적(fertile miracle of communication)이라 부른 특별한 만남을 경험할 수도 있다.

 

저자는 고향집이라는 메타포에 이어 골방이란 메타포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보 과잉의 환경 속에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소화되고 밀도도 낮으며 지적인 부담도 적은 정보들로 둘러싸인 익숙한 골방으로 뒷걸음치고 싶은 유혹을 느낀다는 것이다. 양손잡이 읽기 뇌(biliterate brain)를 중요하게 여기는 울프는 저자들의 지혜를 넘어 자신의 것을 발견해내는 것을 좋은 독자의 핵심이라 설명한다.

 

저자는 읽는 뇌를 우리 정신의 카나리아(유독 가스 누출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탄광에 들여보내던 새인 카나리아는 그 이후 어떤 징조를 미리 알아보는 수단을 의미하게 되었다.)라 부른다. 저자는 우리가 뇌의 아주 작은 부분만 사용하고 있다는 말을 케케묵은 유언비어라 설명한다. 읽기 회로는 뇌의 좌우 반구 안에 있는 네 개의 엽(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과 뇌의 다섯 개 층(가장 위의 종뇌, 그 아래 양옆에 붙어 있는 간뇌, 중간층의 중뇌, 그 아래쪽의 후뇌와 수뇌)을 통해 들어오는 입력값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읽는 뇌의 회로 안에는 은하수의 별들만큼이나 많은 연결이 일어난다. 읽기를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 가운데 빼놓을 수 없는 것은 공감 능력이다. 저자는 공감은 타인을 동정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훨씬 더 중요하게는 타인을 더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도 관계한다고 말한다. 중요한 사실은 느낌 - 사고의 신경망 전체가 공감에 관여하는 것이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보이는 사람들 다수는 이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았고 감정표현불능증 환자는 아예 능력 자체가 없다.

 

거울 뉴런이 공감과 관계 있는 뉴런이다. 소설을 집중해서 읽을 때와 재미로 읽을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 다르다는 사실도 흥미롭다. 공감을 통해 우리는 모든 사람이 읽는 뇌 안에서 느낌과 생각이 연결되는 것이 생리적으로나 인지적으로나 정치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유추의 과정, 추론의 과정, 공감의 과정, 배경 지식의 처리 과정 사이의 연결을 꾸준히 강화하면 읽기의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더욱 많은 차원에서 유리해진다.

 

읽기를 통해 이런 과정들을 연결하는 법을 계속 배운다면 이는 삶에도 적용되어 자신의 동기와 의도를 구분할 줄 알게 되고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느낌도 더욱 명민하고 지혜롭게 이해하게 된다. 그것은 공감을 통한 연민의 토대가 될 뿐 아니라 전략적 사고에도 도움이 된다.(103 페이지) 깊이 읽기를 구성하고 유지하는 핵심적인 인간 능력에 시간을 할애하려면 주의의 질이 높아야 한다.(116 페이지)

 

고독 속의 소통이 일어나려면 독자의 고요한 눈은 저자와의 대화까지는 아니더라도 그의 말을 들을 수 있을 만큼은 정적(靜寂)을 유지해야 한다.(122 페이지) 우리가 인간적인 삶의 본질적인 복잡성에서 후퇴한다면 우리는 기존의 협소한 지식에만 의지하게 된다. 기존 지식의 기반을 뒤집거나 시험해보지도 않고 기존 사고의 경계선 밖은 내다보지도 않게 된다.(124 페이지)

 

급증하는 정보에서부터 우리가 매일 소비하는, 죽처럼 묽은 아이 바이트(eye byte: 한눈에 쉽게 일별할 수 있는 콘텐츠)로 이어지는 현재의 디지털 연쇄에 대해서는 사회 전체의 경계가 필요하다. 그래야 우리의 주의와 기억의 질은 물론 아름다움을 지각하고 진실을 인지하는 능력, 그리고 복합적인 의사결정 능력이 위축되지 않는다.(136 페이지) 우리가 읽는 것은 디지털 연쇄의 다음 연결고리인 쓰는 방식마저 바꿔놓는다.(141 페이지)

 

저자는 이 세상을 사랑할 새로운 이유를 발견하기 위해 읽는다. 그리고 이 세상을 뒤로한 채 자신의 상상 너머, 자신의 지식과 인생 경험 밖에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들어가기 위해 읽는다.(160 페이지) 이 책에 흥미로운 단어들이 꽤 있다. tl: dr이란 말도 그 가운데 하나다. too long: didn’t read의 약자로 너무 길어 읽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런가 하면 헤밍웨이가 여섯 단어로 문장을 만들어보라는 친구들의 권유를 받고 쓴 다음의 문장은 시린 감동을 준다. For Sale: baby shoes: never worn. ‘사용한 적 없는 아기 신발 팝니다.’란 문장이다.

 

읽기 연구가인 저자는 아들 벤 이야기를 한다. 창의적이고 놀라울 정도로 지능이 높은 그는 다른 아이들에게는 쉬운 읽기 스킬에서 문제를 지닌 아이 즉 난독증 아이다. 저자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말한 좋은 사회의 세 가지 삶에 대해 말한다. 세 가지 삶의 첫 번째는 지식과 생산의 삶이고 두 번째는 즐기는 삶, 세 번째는 관조의 삶이다. 저자가 강조하는 것은 관조의 삶이다. 독서에도 적용되는 미덕이다.

 

좋은 독자의 세 번째 삶은 읽기의 절정이자 두 삶의 종착지인 관조적 독서의 삶이다. 우리 안의 관조적 차원은 타고난 것이 아니다. 그래서 주의와 시간을 들여 유지해야 한다. 저자는 읽기의 기쁨이 삶을 바꿀 만큼 중요함을 보여준 예로 히틀러를 타도하려는 계획에 가담했다가 투옥되어 처형당한 디트리히 본회퍼 목사를 든다. 본회퍼가 나치 수용소에서 쓴 옥중서신에는 곤경에 처해서도 꺾이지 않는 정신이 그려져 있다. 본회퍼는 자신이 읽은 모든 책에서 순수한 행복을 얻은 사람이다.

 

아이들의 지적 발달은 두 원칙(전통적인 유형의 지식과 디지털 문화) 사이에서 계속 진화해나가면서 사려 깊은 균형을 찾는 것에 달려 있다. 저자는 아이들이 사용자와 늘 조금은 떨어져 있고 약간은 대용품 같은 스크린을 접하기 전에 책의 물리적, 시간적 존재감을 먼저 체험하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 너무 빠르게 인지적으로 전자 기기에 내맡겨진 채로 끊임없이 화면에 빠지게 되면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무릎에 앉아 그 사람이 자신에게만 책을 읽어주고 이야기를 들려주는 목소리를 듣는 체험을 누릴 수 없기 때문이다.(203 페이지)

 

부모들이 아이(말을 알아 듣지 못하는)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빈도가 줄어드는 것은 이해도 못하는 아기에게 읽어주는 것이 무슨 소용인가, 란 착각 때문이기도 하고 디지털 기기의 발달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는 아담과 이브의 후손이다.(207 페이지) 금지된 열매에 집착하고 때로 그것을 신비화해 욕망의 대상으로 삼는. 강박의 동물이기도 하다.(215 페이지) 자신의 주의를 사로잡는 것에 집착하는. 아이들이 그러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저자는 국가 보고서 카드를 참고하며 미국의 초등학교 4학년생 가운데 3분의 2가 읽기 능력이 능숙한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초등학교 4학년은 미래의 학습력이 달린 시기다. 저자는 국민 개개인이 능숙한 수준의 읽기 능력을 갖춰야만 비로소 각자가 계속 정교한 읽기 기술을 발전시키고 나아가 나라의 지적, 사회적, 육체적, 경제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을 텐데 미래 미국 시민의 3분의 2 이상이 그 근처에도 이르지 못한 상태임을 걱정한다.

 

언어와 학습 능력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 엄청난 격차가 수백만 아이들의 삶에 영구히 고착되기 전에 우리 사회가 제대로 훈련된 전문가들을 갖춘, 더욱 종합적인 유년기 프로그램에 투자해야 한다고 한다. 미국 아동은 공식적인 학교교육이 시작된 첫날 이미 인지적, 언어적 차이가 심대한 상태라고 한다. 나이와는 상관 없이 읽기 회로 전체를 도덕적 상상력으로 연결하는 법을 배우기만 하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삶에 의해 바뀔 수 있다.(246 페이지)

 

여덟 번째 편지는 양손잡이 읽기 뇌 만들기란 제목의 글이다. 양손잡이 읽기 뇌란 두 가지 읽기 능력을 모두 갖춘 뇌를 의미한다. 두 가지란 인쇄 기반 읽기 회로와 디지털 기반 읽기 회로를 말한다. 깊이 읽기 기술은 주의분산이나 공감력 약화 같은 디지털 문화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결정적인 해독제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의 긍정적인 영향까지 강화한다.(266 페이지)

 

저자는 자신은 현실주의자이자 낙관론자라고 말한다. 앞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언급한 세 가지 삶(지식과 생산의 삶, 즐기는 삶, 관조의 삶)을 언급했던 저자는 이 가운데 관조의 삶은 타고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의와 시간을 들여 유지해야 한다고 설명한다.(285 페이지)

 

저자는 페스티나 렌테(festina lente)란 라틴어 즉 천천히 서두르기란 개념을 선보인다. 거시적으로는 미래를 만나기 위해 서두르되 우리 편에서 최선을 단한 생각으로 천천히 검토해보자는 것이다. 미시적으로 페스티나 렌테는 좋은 독자의 읽기 회로가 보여주는 전체 궤적을 상징한다. 먼저 지각한 것은 자동적으로 해독을 거쳐 개념으로 변형된다. 이때 시간은 의식적으로 느려지고 우리의 자아 전체는 생각과 느낌이 합쳐지는 정신적 폭포수로 젖어든다. 우리는 서둘러 그 안의 집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독자의 내적 자아가 거주하는 이 보이지 않는 집을 잘 묘사한 것으로는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에 나오는 램지 부인에 대한 묘사만한 것도 드물다.

 

저자는 읽기의 기쁨이 삶을 바꿀 만큼 중요하다는 사실을, 절박한 환경 속에서 누구보다 분명히 보여준 역사적 인물로 디트리히 본회퍼를 든다. 매리언 울프가 만일 우리 역사를 알았다면 안중근 의사도 이야기하지 않았을까? 두 인물 모두 옥중에서 남다른(평온한, 곤경에 꺾이지 않는) 정신을 보여주었다.

 

신에 대한 믿음을 상징하는 책을 포함해 인생과 자연의 가장 깊은 선함에 대한 불굴의 희망을 상징했던 책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본회퍼를 지켜주었다저자가 전하는 핵심은 우리가 디지털 연쇄 작용의 잠재적 위험을 모르고 있다가는 우리의 가장 반성적인 능력이 위협받을 수 있으며 결국 민주 사회의 미래에도 심대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295 페이지) 저자는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것은 다양한 견해들의 표출이 아니라 모든 시민이 지적 능력을 발휘해 자신의 견해를 형성하도록 교육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한다.(298 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리언 울프가 다시, 책으로에서 우려하는 것은 디지털 기기에 빠진 사람들이 책을 읽을 때 보이는 산만함과 주의력 결핍. 낮은 몰입도 등이다. 디지털 기기 사용자와 디지털 기기의 집합적 주체성을 다나 해러웨이는 하나는 부족하고 둘은 너무 많다는 말로 표현했다.(‘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참고) 그들의 관계는 하나라고 할 수도 없고 둘이라고도 할 수 없다. 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관계를 표현하기에 하나라는 말은 부족하고 둘이라는 말은 너무 많다는 것이다. 다나 해러웨이의 말을 보내고 복잡성에 대해 생각한다. 복잡성은 둘이면 좋아도 셋은 너무 많다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복잡하지만 단순하게참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병자호란 2 - 역사평설 병자호란 2
한명기 지음 / 푸른역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용골대란 청나라 장군 타타라 잉굴다이를 말한다. 병자호란 한 해 전인 163512월 후금 사신 용골대와 마부대 일행이 압록강을 건너 의주로 들어왔다. 달라진 후금의 위상을 과시하기 위해 온 것이다. 참월(僭越: 주제 넘음)한 오랑캐와 단교할 것이라는 사실, 오랑캐가 침략해 올지도 모르니 방어태세를 확고히 하라는 인조의 명령을 전하기 위해 평안감영으로 가던 금군(禁軍) 전령이 (화급하게 도망치던) 용골대 일행에게 붙잡혔다.

 

인조가 보낸 유시문(諭示文)이 용골대 일행에게 입수되었다. 1636411일 여명, 홍타이지는 백관들을 이끌고 심양성 천단(天壇)으로 나아갔다. 자신이 제위(帝位: 황제 또는 임금의 자리)에 오른다는 사실을 천지에 고하기 위해서였다. 식장에 사신 나덕헌, 이확도 있었다. 두 사람은 즉위식 내내 홍타이지에게 절을 하지 않았다. 조선은 아직 형제국이지 청에 신속(臣屬)하는 나라가 아니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만주와 몽골인들, 조선이 상국으로 섬기는 명 출신 신료들까지 무릎을 꿇고 머리를 조아리던 식장의 분위기를 고려할 때 두 사람의 행동은 결코 쉬운 것은 아니었다. 두 사람은 청의 관원들에게 심하게 맞았다. 홍타이지는 두 사람을 죽이라는 신하들의 요구에 하찮은 분노 때문에 사신을 죽이지 않겠다며 신하들을 다독였다. 조선에 먼저 절교할 수 있는 명분을 주지 않으려는 결정이었다.

 

홍타이지는 조선 신료들을 가리켜 책은 읽었지만 백성과 나라를 위해 경륜을 발휘할 줄은 모르면서 한갓 허언만 일삼는 소인배들로 규정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후금을 원수로 규정한 이상 자신은 전쟁을 통해 강약과 승부를 겨룰 뿐 사신들을 죽이는 쩨쩨한 짓은 하지 않겠다고 했다. 연암(燕巖)은 나덕헌, 이확의 행동을 존주대의(尊周大義)를 지키기 위한 희생으로 추켜세웠다. 그러나... 나는 허세(虛勢)로 본다. 힘을 갖추지 못한 나라에서 명분만 내세운 허세로 보일 뿐이다.

 

절하지 않을 거라면 즉위식에는 왜 갔을까? 절을 하도록 시킬 것이라는 사실을 예상하지 못했는가?(절을 하지 않는 이유로 전쟁을 일으킬 것이라면 청은 조선 사신이 즉위식에 가지 않았어도 어떤 식으로든 명분을 만들어 전쟁을 일으켰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죽도록 맞고 홍타이지가 준 (조선을 맹렬히 비난하고 전쟁을 불사하겠다는 협박과 조선을 조롱하는 내용의) 국서(國書)는 왜 받았는가?

 

나덕헌, 이확은 홍타이지가 준 국서를 만주 통원보의 숙소에 몰래 던져놓고 내용을 등사(謄寫)하여 조정에 올렸다. 평안감사 홍명구는 나덕헌, 이확의 목을 베어 홍타이지에게 보여주라고 촉구했다. 나덕헌, 이확은 평안도 변방으로 유배되었다. 인조는 오랑캐와의 결별과 대결을 선언했지만 조선의 군사력은 미약했다. 병자호란 직전 조선의 군사력은 국가 안보를 감당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고 정권 안보를 지키기에도 급급한 상황이었다.

 

부제학 정온(鄭蘊)은 인조에게 진정으로 오랑캐와 싸워 나라를 지키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반정공신들이 거느리고 있는 정예병들을 원수(元帥)에게 배속시키라고 요구했다. 인조는 안이한 자세로 일관했다. 인조는 병자호란 직전 오랑캐와 일전을 불사하자는 명분론자들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일전을 불사하기 위해 근본적인 대책을 제시했던 정온 같은 신하들의 목소리에는 귀기울이지 않았다.

 

인조의 책임은 컸다. 오랑캐를 타오르는 불길처럼 여겨 겁먹고 두려워하면서도 청과의 화친론을 드러내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이 당시의 현실이었다. 조선은 군신 상하가 정신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전쟁의 길로 들어서고 있었다. 도원수 김자점은 겨울에는 청군이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봉화 두 개(청군 침략시 올리도록 한)가 오른 것을 무시했다.

 

봉화가 올랐다는 사실이 알려질 경우 서울에서 소동이 일어날 것을 우려했기 때문이기도 했다. 김자점은 뒤늦게 장계(狀啓: 서면 보고)를 올렸다. 인조는 광해군 시절부터 유사시의 피난처로 점찍어 준비했던 강화도로 들어가지 못했다. 강화도행을 촉구한 신하가 있었지만 인조는 청군이 들어올 리가 없다며 좀 더 기다려 보자고 했다. 인조는 결국 상당한 양의 군량과 화약이 비축되어 있었던 강화도에 가장 중요한 시기에 들어가지 못했다.

 

정묘호란 때 인조가 강화도로 들어가는 바람에 맥이 빠졌던 청은 이번에는 아예 인조가 강화도로 들어가는 길을 막아버렸다. 이조판서 최명길이 나섰다. 인조에게 자신이 청군 진영으로 가 담판을 벌일 테니 그 틈을 타 남한삼성으로 들어가라고 건의했다. 인조가 남한산성에 당도한 것은 밤 9시가 훨씬 지나서였다. 김류(金瑬)가 강화도로 가자고 고집했다. 그러나 김류는 청군이 1633년 공유덕 등의 귀순을 통해 수군과 함선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있었다.

 

인조는 김류의 제안을 받아들였으나 길이 얼어 붙은 탓에 돌아와야 했다. 강화도 대신 남쪽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다. 병자호란은 1만여 조선군과 그 열 배에 이르는 청군의 싸움이었다. 남한산성 농성(籠城: 성문을 굳게 닫고 성을 지키는 것.) 초기 조정에는 청군은 화약만 맺으면 곧 철수할 것이라는 막연한 낙관론이 퍼지고 있었다.

 

청군은 성 주변에 참호를 파고 목책(木柵)을 설치했다. 성을 외부로부터 완전 차단해 성안 사람들을 고사(枯死)시키려는 작전이었다. 청이 때때로 홍이포를 발사하여 돈대와 성첩을 파괴하면 성안의 공포심은 극에 이르렀다. 군량은 나날이 줄어드는데 보충할 방도는 없고 학수고대하는 외부 구원병은 오는 족족 청군 복병들에 의해 궤멸되었다. 청군은 예상과 달리 대오도 정제되어 있었고 조선 피란민들을 함부로 약탈하지 않았다.

 

인조는 화친(和親), 주전(主戰) 등으로 엇갈린 신하들의 주장에 갈피를 잡지 못했다. 조선군은 청이 산성으로 접근하고 있음에도 화의 시도를 망칠까봐 발포하지도 못했다. 전전긍긍이었고 수렁 속으로 빠져드는 것이었다. 추위가 기승을 부렸고 물자들은 동이 나기 직전이었다. 화친이든 결전이든 결단을 내리지 못하고 갈팡질팡하면 굶어죽거나 얼어죽거나 할 판이었다.

 

당시 추위는 혹독했다. 갑자기 소집되어 들어온 병사들이 방한 장구를 갖추었을 리 없었다. 공석(空石: 빈 가마니) 하나를 방한복 삼아 어깨에 두른 채 살을 에는 추위와 맞서 싸우던 병사들이 동상에 걸리는 일이 속출했다. 춥고 배고픈 현실 속에서 결전론이 다시 고개를 들었다. 김상헌은 물론 최명길도 비숫한 주장을 했다.

 

당시 청군은 전사한 동료들의 시신을 수습하여 가져가는 데 결사적이었다. 동료의 시신을 적에게 넘겨주지 않는 것은 그들에게 불문율이었다. 청의 주력군이 도착함으로서 그나마 있었던 작은 전과들이 무위가 될 상황이었다. 추위와 배고픔과 싸우며 근왕병(勤王兵)이 오기를 학수고대하는 사이 어느덧 병자년이 저물어가고 있었다. 조선은 청군에 쫓겨 남한산성에 갇힌 상황에서도 명나라 황제에 대한 망궐례를 거르지 않았다.

 

충성스런 조선이었다.” 홍타이지가 황제를 칭()한다는 소식을 듣고 펄펄 뛴 것도 명나라 때문이었다. 대다수 신료들은 명에 대해 충성과 의리를 지키려다가 조선이 이렇게 참담한 지경으로 내몰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조선의 일편단심을 명나라는 과연 알고나 있을까?” 산성 안의 마초(馬草)가 고갈되자 조선군 장졸들은 말을 잡아먹기 시작했다. 청군은 남한산성과 외부와의 연계를 철저하게 차단하고 있었다.

 

근왕병은 계속 일어나고 있었지만 그들은 모두 각개 격파될 위기에 처해 있었다. 조선 조정은 청군의 돌격에 대비하기 위해 청야견벽(淸野堅壁) 작전을 구사했다. 청군이 이동하는 대로 주변의 병력과 백성들을 인근 산성으로 몰아넣고 수성전(守城戰)을 꾀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이 작전은 청군 선봉대가 거의 무인지경의 상태에서 돌격할 수 있게 방임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졸지에 기습을 당한 서울은 공황 상태에 빠졌다. 대로 주변 산성에 머물던 조선군이 거꾸로 청군을 추격하여 서울로 올라와야 할 형편이었다. 하지만 상경하려는 조선군은 뒤따라오는 청군 본진과 좌우익군의 공격에 다시 노출되는 위기를 맞았다. 청군은 병력과 목책으로 산성을 포위한 채 느긋하게 주인처럼 기다리고 있는데 아군은 근왕병도 들어오지 못하고 날로 피폐해져 가는 산성에서 객이 되어 버렸다.(140 페이지)

 

최명길은 나라가 보전된 뒤에야 와신상담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선은 일찍이 임진년의 환란으로 소방(小邦)이 곧 망할 뻔하였을 때 명의 신종황제께서 천하의 군사를 동원하여 우리를 구원해 주셨습니다. 소방의 백성들은 그 은혜를 깊이 새겨 차마 명나라를 저버릴 수 없습니다.“란 국서를 보냈다. 광해군 시절인 1619년 명의 강요로 후금을 공격하기 위해 원병을 보냈을 때에도 조선은 참전 명분으로 재조지은을 내세웠었다.

 

당시 후금의 누르하치는 그 명분을 인정해주는 자세를 보였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달랐다. ”천하는 크고 나라는 많다. 너희를 구해준 것은 오직 명나라 하나뿐인데 너희는 어찌해서 천하를 운운하는가? 명나라와 너희의 허탄(虛誕)하고 망령됨이 끝이 없구나.“ 청은 이미 명나라를 주조(朱朝) 즉 주원장이 세운 나라로 폄하하고 있었으니 조선의 명 = 천하 인식이 거슬릴 수 밖에 없었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보낸 국서에 대해 작심한 듯 반박과 비아냥, 협박하는 내용의 언사들을 쏟아냈다. 홍타이지는 인조가 16363월 용골대 일행이 서울에서 도주한 직후 평안감사에게 보낸 유시문의 내용을 문제삼았다. 장차 오랑캐와의 화친을 끊으려 하니 방어 태세를 강화하라는 내용은 정묘호란 당시 맺은 맹약을 조선이 먼저 어겼음을 명백히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소방(小邦)은 바다 구석에 위치하여 오직 시서만 일삼았지 전쟁은 몰랐습니다란 주장에 대해서는 전쟁을 모르는 나라가 왜 과거에 명을 도와 자신들을 공격하는 데 동참했느냐고 힐문했다. 조선이 자신들을 가리켜 노적(奴賊)이라 부른 것에 대해서는 도둑이란 몸을 숨겨 몰래 훔치는 자를 가리키는데 우리가 과연 도둑이라면 너희는 어찌하여 우리를 체포하지 않고 내버려두느냐고 따졌다. 조선은 이 반박 논리들을 다시 반박하기가 쉽지 않았다.

 

홍타이지는 조선이 자신의 판도 안으로 들어오면 적자(赤子: 갓난 아이, 비유적으로 임금에 대해 백성)와 같이 사랑하겠다고 다짐했다. 항복 요구였다. 홍타이지는 인조에게 네가 살고 싶으냐? 그러면 성에서 빨리 나와 항복하라. 네가 싸우고자 하느냐“? 그러면 성에서 빨리 나와 한 번 겨뤄보자. 하늘이 처분을 내리실 것이다.”란 글을 보냈다.

 

교섭을 잘하면 정묘호란 당시 맺었던 형제관계를 유지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던 조선은 난감했다. 조선은 인조가 성에서 나가는 것만은 면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성 위에서 요배(遙拜)할 수 있게 해달라고 했다. 홍타이지가 조선이 이미 칭신(稱臣)했음에도 인조의 출성(出城)을 요구하는 것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홍타이지를 분노하게 한 것은 대국 명조차 벌벌 떨고 막강한 차하르 몽골까지도 항복했는데 나덕헌, 이확 등이 끝까지 배레하지 않은 것을 통해 보듯 소국 조선이 끝까지 자신을 인정하려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위에서 나덕헌, 이확의 불배(不拜)를 허세라고 말했거니와 그들의 행위는 결과적으로 악수가 되었다. 조선의 뻣뻣한 태도는 공유덕 등의 한족 출신 귀순자들에게도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었다. 명의 번국(藩國)인 조선조차 끝까지 고개 숙이기를 거부하여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켰는데 명의 신료들이 먼저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었다는 비아냥이 나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기에 홍타이지에게는 인조를 불러내 자신 앞에 무릎을 꿇려야 할 절박함이 있었다.

 

인조는 홍타이지가 자신을 심양으로 끌고 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지존으로서의 위신을 잃어 이후 왕 노릇 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에 출성을 하지 않게 해달라고 간청했다. 쫓겨난 광해군에게 문제가 많았지만 그래도 그는 오랑캐에게 무릎을 꿇어야 하는 상황에 이르지는 않았다. 인조와 조정 신료들이 외롭고 추운 산성에서 그나마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강화도는 안전할 것이라는 믿음 덕분이었다.

 

그런데 강화도가 함락되고 말았다. 인조는 청군이 서울로 들어오기 직전 며느리 강빈(姜嬪)과 봉림대군 등 왕실 피붙이들, 조정 대신들 중 늙고 병든 사람들로 하여금 종묘의 신주를 받들고 먼저 강화도로 들어가도록 조처했다. 영의정 김류의 아들 김경징이 아버지의 추천을 받고 강화도 방어를 책임질 검찰사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그는 멸공봉사(滅公奉私), 선사후공(先私後公)했다.

 

김경징 집안의 가술과 50개나 되는 재물 궤짝을 운반하기 위해 경기도의 마부들이 거의 모두 동원되었을 정도였다. 김경징은 강화도를 금성탕지(金城湯池; 철옹성)로 여겨 방어를 위한 군사적 준비를 내팽개쳤다. 날마다 잔치를 열고 술잔을 기울였다. 봉림대군조차 그의 위세에 눌려 함부로 말을 할 수 없었다. 홍타이지는 출성을 완강히 거부하는 인조를 제압할 묘수를 찾느라 고심했다. 그것은 다름 아닌 강화도 함락이었다.

 

강화도를 먼저 함락시키면 남한산성의 결전 의지는 결정적으로 꺾일 것이라 본 것이다. 청군은 육로로 동거(童車)라는 작은 수레를 이용해 병선을 운반했다. 에상하지 못한 작전이었다. 청군 가운데 만주병들은 어느 정도 군율이 잡혀 있어서 탐욕과 음란함이 덜했지만 몽골병이나 한병(漢兵)들은 달랐다. 특히 공유덕과 경중명 휘하의 병사들이 저지르는 겁략(劫掠)이 심각했다.

 

1637122일 강화도가 함락되었지만 남한산성의 조정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123일 청군은 양동작전을 폈다. 조선이 척화신(斥和臣)들을 묶어 보내겠다고 약속했음에도 남한산성에 대한 공격을 시작했다. 인조의 출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의도였을 것이다. 용골대 등은 최명길 일행에게 강화도에서 급히 데려온 종실 진원군과 내관 나업을 보여주었다. 강화도 함락을 알린 것이었다.

 

강화도 함락 소식을 듣고 인조는 출성을 결정했다. 출성을 면하게 해달라던 인조는 대신 안전 귀순을 간청하는 처지로 바뀌었다. 홍타이지는 명나라 연호를 반납할 것, 소현세자, 봉림대군 등을 인질로 보낼 것, 청이 명을 칠 때 조선도 군사를 보내고 무기 협조를 할 것, 청의 신료들과 조선 신료들이 혼인을 맺을 것, 성을 수리하거나 다시 쌓지 말 것 등을 요구했다.

 

용골대 등은 조선을 배려한다는 명목으로 제 1등 절목 즉 함벽여츤(銜璧輿櫬)을 면제해주겠다고 했다. 함벽여츤이란 손이 뒤로 묶인 채 구슬을 입에 물고 관을 메고 나아가 항복하는 의식이다. 용골대는 삼전도에 이미 수항단(受降檀)을 만들어놓았다는 사실과 130일을 항복 의식을 행하는 날로 정했다는 사실을 통고했다. 그리고 인조가 용포를 입어서는 안 되고 죄를 지었기 때문에 정문인 남문으로는 나올 수 없다고 통보했다.

 

인조는 삼배구고두(三拜九叩頭)의 례를 행했다. 강화도에서 끌어온 강빈과 왕실 신료들도 홍타이지에게 삼배구고두례를 행했다. 인조는 인질이 되어 심양으로 가게 된 소현세자, 봉림대군 부부와 이별한 채 귀경길에 올랐다. 신료들이 어의(御衣)를 잡아당기면서까지 배에 먼저 타려고 할 정도로 제정신이 아니었고 포로들은 인조에게 우리를 버리고 어디로 가시나이까라며 절규했다. 인조 생애에서 가장 길고 처참했던 하루가 갔다.

 

척화신이 여럿이었지만 홍익한, 윤집, 오달제 등 3학사가 끌려가 처형당한 것은 그들이 누구보다 홍타이지의 참월을 비난하고 주화신들을 성토했기 때문이다. 홍타이지는 홍익한을 회유(懷柔)하려고 했다. 인조는 홍타이지를 배웅할 때도 삼배구고두의 례를 행했다. 인조는 소현세자 일행이 떠나는 날 창릉(昌陵) 근처까지 거둥하여 배웅했다.

 

심양으로 들어간 소현세자는 인조에게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청인들은 소현세자를 지렛대로 삼아 인조로부터 충성을 이끌어내려 했다. 여차하면 인조를 왕위에서 끌어내리고 소현세자를 대신 즉위시키겠다는 신호를 보내왔다. 그 와중에 인조와 소현세자는 경쟁자가 되고 정적이 되었다. 1622년 모문룡이 처음 들어가 동강진을 설치한 이후 가도는 청의 서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었다.

 

하지만 청은 수군이 없고 해전에 익숙하지 못해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1633년 명의 공유덕, 경중명이 선단을 이끌고 귀순해온 뒤 청은 조선 수군을 징발해 가도를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조청 연합 수군은 가도 동강진을 정복했다. 1637년의 일이었다. 전원 옥쇄를 각오하고 결사항전 하자고 목소리를 높였던 문신들 특히 척화신들의 주장은 비현실적이고 어리석기 짝이 없는 것이었다.

 

척화신들은 항복이 시간 문제인 상황에서도 결사항전을 외쳤다. 그들은 명분과 관념으로 전쟁을 하자고 한 사람들이었다. 이를 보며 조선 왕실의 의료 시스템을 생각하게 된다. 조선 왕의 건강을 책임지는 것은 내의원 등의 어의들만이 아니었다. 대신들도 내의원 제조, 약방 도제조 등의 직함을 가지고 일종의 자문으로서 왕의 건강 관리와 질병 치료에 참여했다. 기술적인 부분은 어의를 비롯한 의관들이 맡았지만 진료와 치료의 논리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은 유학자(儒學者) 출신의 삼제조가 맡는 구조였다.

 

삼제조는 정1품 이상의 정승이 맡는 도제조, 2품 이상이 맡는 제조, 3품 이상이 맡는 부제조를 이르는 말로 삼제조가 감시하는 경직된 분위기에서 의관들은 자신 있게 진찰하지 못했고 이것이 조선 왕들의 진료와 치료를 실패로 이끈 가장 큰 문제이자 원인이었다.(이상곤 지음 왕의 한의학참고)

 

인조는 척화파들이 앞뒤를 따지지도 않고 용골대 참수를 운운하며 오버한 것이 청의 침략을 부르고 궁극에는 자신과 백성들을 끔찍한 지경으로 몰아넣었다고 비판했다. 인조는 스스로를 낮추고 백성들에게 머리를 숙였지만 말끔한 전후 처리를 하지 않았다. 왕권을 유지하기 위해 청의 눈치를 보아야 했던 인조는 청으로 끌려갔다가 도망쳐온 피로인<被擄人: 주회인: 走回人>들을 색출해 청으로 다시 보내는 일을 그만 두지 않았다.

 

최명길은 음이 극에 달하면 양이 회생하고 비()가 극에 달하면 태()가 오는 법이라며 인조를 위로했다. 인조는 청이 자신을 입조(入朝: 인조를 심양으로 불러 청 황제를 알현시키는 것)시키는 것을 가장 두려워 했다. 조청(朝淸) 관계가 격동하면서 인조와 소현세자의 관계는 흔들렸다. 1643년 소현세자의 귀국 소식이 들려왔다. 인조는 우호 차원에서라면 봉림대군까지 모두 보내야 하는데 소현세자만 보내려는 것에 의구심을 품었다.

 

인조는 청이 자신을 입조시키고 소현을 즉위시키려 한다고 믿었다. 소현과 강빈은 청 조정의 고위 인사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리는 등 심양에서 상당한 능력을 발휘했다. 소현은 동아시아 판도가 바뀌는 현장을 직접 목도했다. 1644년 명을 대신해 중원의 주인이 된 청은 소현세자를 영구 귀국시키기로 했다. 명이 망한 이상 인질까지 잡아두며 조선을 견제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병자호란 이후 친청파로 변신한 인조는 청이 입조론과 왕위교체론을 흘리며 압박해오자 권력을 지키기 위해 폭주기관차처럼 내달렸다. 저자는 인조실록을 비롯 당시 기록 어디에도 환향녀라는 용어가 나오지 않기에 속환을 통해 돌아온 여성은 속환녀, 불분명한 방식으로 돌아온 여성은 귀환여성이라 부르기로 했다고 말한다.

 

병자호란 이후 조선의 대일 위기감은 커졌다. 청군의 침략으로 한양과 경기도 이북 지역이 만신창이가 된 상태에서 일본까지 움직일 경우 조선의 안보가 심각한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 병자호란 이후 인조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청의 압박과 요구에 순응하는 행보를 계속했다. 유백종은 인조의 친청 행위를 보며 그렇다면 반정은 왜 했느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몽골족의 원()이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원을 지배한 시기는 1279년부터 1368년까지의 90년에 지나지 않았다. 1673년 명에서 청으로 투항했던 한인 출신 번벌(藩閥)들이 일으킨 반란을 진압한 청은 더욱 강해졌다. 이에 조선의 청에 대한 저항은 관념적인 차원으로 흘러갔다. 조선은 명이 망한 지 60년이 지난 1704(숙종 30) 창덕궁 후원 깊숙한 곳에 대보단(大報壇)을 만들었다.

 

황단이라고 불렸던 이 제단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원군을 파견한 명의 만력제(신종)를 기리고 제사지내기 위한 장소였다. 당시 청은 이 사실을 알았지만 묵인했다. 그 과정 자체를 조선이 청에 길들여지는 과정으로 파악한 것이다. 병자호란 이후 대다수 지식인들은 청을 오랑캐이자 원수로 여겼으나 청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또는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이 있었다.

 

인조반정에는 나름의 명분이 있었다. 그러나 인조는 정권 안보에만 급급해 온갖 난맥상을 연출했다. 인조반정을 통해 영달했던 사람들 가운데 최명길, 이귀 정도를 빼면 나머지 사람들은 문제가 적지 않았다. 인조는 광해군이 생모를 추숭했던 것을 맹 비난했지만 자신은 생부 원종 추숭에 더 강하게 집착했다. 인조는 국방 대책 마련과 민생 안정을 강조했으나 구체적 정책 실현에는 무관심했다.

 

인조 재위 기간은 사과(謝過)로 점철된 시간들이었다. 인조는 병자호란 기간 자주 울음을 보인 군주였다. 청 태종 홍타이지는 전승국임에도 병자호란이 끝나자마자 조선의 전장에서 과오를 저지르거나 지시를 어긴 지휘관들을 가차 없이 처벌했다. 인조는 사정(私情)에 눈이 어두워 공신들을 끝까지 비호했다. 훗날 인조 정권과 효종 정권을 뒤엎으려던 심기원과 김자점이 모두 공신 출신들이었다는 점은 역설적이다.

 

인조는 1619년 광해군 재세시 명의 압력에 못이겨 강홍립이 15천의 병력을 거느리고 출전한 사르후 전투의 패배를 오직 조선군 탓으로 돌렸다. 팩트에 눈감고 주관적으로 해석한 잘못이 아닐 수 없었다. 1633년 명의 공유덕, 경중명 등이 전함과 수군을 이끌고 후금으로 귀순했음에도 변화를 꾀하지도 않은 채 유사시 강화도로 피난하려는 계획에만 집착했다.

 

맹자7년 된 병에 3년 묵은 쑥을 구한다는 말이 있다. 절박한 처지의 환자 입장에서는 3년 묵은 쑥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일지 모르지만 죽을 때 죽더라도 일단 나가서 쑥을 뜯어야 그것이 한 달 묵은 쑥, 1년 묵은 쑥, 그리고 3년 묵은 쑥이 되는 것이다. “비록 우리 세대는 그것을 먹지 못하고 죽더라도 후손들을 위해 쑥을 뜯는 자세가 필요하지 않을까?”

 

여담이지만 최근 국회방송을 통해 인간 책방이란 프로그램이 방송된 것을 보았다. ‘남한산성 1, 2’의 저자인 한명기 교수의 최명길 평전이 소개되었다. 환향녀라는 말을 초청 인사가 쓰는 것이 들렸다. 중요하지 않아서였기 때문인지 그것을 시정해주지 않아 아쉬웠다. 과문(寡聞) 탓이겠지만 유연한 주화(主和) 정책으로 조선을 곤경에서 구해낸 최명길이 인조반정 가담자였다는 사실에 불편함을 가졌었는데 인조반정을 통해 영달했던 사람들 가운데 최명길, 이귀 정도를 빼면 나머지 사람들은 문제가 적지 않았다는 글을 통해 마음을 누그러뜨리게 되었다.

 

그리고 인조반정에 나름의 명분이 있었다는 지적에 일방 비난을 가했던 나를 반성했다. 남한산성 농성 중 추위에 비까지 계속 내려 말할 수 없이 스산하고 참담했던 상황에서 인조가 기청제를 드리며 엎드려 울부짖었다는 대목에서는 울컥 하기도 했다. 물론 그것은 인조에 대한 연민이 아니라 고통과 수난에 내몰린 군병들과 백성들을 생각하며 가지게 된 마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병자호란 1 - 역사평설 병자호란 1
한명기 지음 / 푸른역사 / 201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세기 청()과 명() 사이에서 현명한 외교를 펼치지 못했던 인조 정권의 실정(失政)을 거울 삼아 반면교사의 지혜를 얻어야 하는 시기다. 최근 최명길 평전을 쓴 한명기 교수의 책은 그런 지혜를 깨닫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조선사 그 가운데 17세기는 지난 216일 남한산성 해설 후 급격히 친근해진 느낌이 든다.

 

병자호란 이전의 임진왜란과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묘호란, 광해군과 그를 몰아내고 왕이 된 그의 조카 능양군(인조)의 악연 등 배경 설명이 충분한 책이다. 물론 전황(戰況)도 상세하다. 인조는 반정 후 광해군대의 조선을 금수(禽獸)의 땅으로 규정했다. 명나라 장수 모문룡은 언급되어야 마땅하다.

 

요동 수복을 기치로 내세우며 평안도 철산 앞바다의 가도에 진을 친 장수다. 배후에서 후금을 견제할 수 있는 위치여서 후금은 상당히 신경이 쓰였다. 광해군은 모문룡을 화근으로 여겼다. 후금을 자극해 역공을 초래하는 모문룡 부대에 대한 근심이었다. 인조반정으로 정권이 바뀌자 모문룡은 반색했다.

 

광해군이 오랑캐와 화친하고 명을 배신했기에 의거(義擧)했다는 반정 세력들의 주장은 후금과의 대결로 나가는 것을 의미했다. 물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였다. 명은 인조 책봉 카드로 조선을 길들이려 했다. 정당성 없는 정권에 책봉이라는 은혜를 베풀었음을 강조한 것이다. 임진왜란으로 인해 생긴 재조지은(再造之恩)에 봉전지은(封典之恩)이 추가된 것이다. 제후국의 임금으로 책봉해준 은혜를 의미한다.

 

명이 인조를 책봉하기 전까지 인조는 서조선국사(署朝鮮國事)로 불렸다. 임시로 조선의 국사를 담당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조선으로서는 모문룡을 도와 후금과 싸워야 했다. 기울어가는 명의 궤도 속으로 깊숙이 빨려들어가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반정 논공행상 과정에서 불만을 품은 이괄이 일으킨 난은 몇 가지 점에서 기록을 세웠다. 조선에서 반란군이 서울을 점령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였다.

 

이괄은 경복궁 옛 터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인조의 숙부 흥안군(선조의 열 번째 아들)을 국왕으로 추대했다. 공주까지 피신했던 인조는 반란이 진압된 후 서울로 돌아와 백성들이 불지른 창경궁 대신 광해군이 막대한 재정을 들여 신축한 경덕궁(후에 경희궁으로 불린)으로 들어갔다. 이괄의 난이 진압된 이후 역모 사건이 터졌다. 북관대첩의 주인공 정문부(鄭文孚)가 억울하게 희생되었다.

 

이귀는 인조에 대하 호위를 강화한다는 명분으로 어영군을 새로 창설했다. 이서(李曙)는 총융군(경기지역 병력)을 만들었다. 이서 등은 남한산성과 강화도를 유사시의 국왕 피신처이자 전략적 거점으로 정비하려고 시도했다. 즉 적군이 침입하면 국왕은 훈련도감과 어영군을 거느리고 강화도로, 세자는 총융군을 이끌고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증원군을 받아들여 항전한다는 계획이었다.

 

반정 세력들은 도성과 수도권 방어에만 치중하고 상대적으로 적의 주요 침입로인 평안도와 황해도 방어는 몹시 소홀히 했다. 정권 안보에만 집중하고 국가 안보는 등한시 한 것이다. 조선은 일본의 침략을 대비해 운영하던 해방(海防)을 중단하면서까지 명의 책봉사 접대에 매달렸다.

 

인조반정 세력은 광해군의 세 가지 난정을 바로잡겠다며 등장했다. 난정이란 폐모살제, 궁궐 건설 등 과도한 토목공사로 민생을 도탄에 빠지게 한 것, 오랑캐 후금과 화친하여 명나라의 은혜를 배신한 것 등이다. 정권이 바뀌고 새로 등장한 정권이 또 다시 바뀔 뻔하는 격변(이괄의 난)을 겪으면서 민심은 크게 동요했고 그 와중에 권력을 지키는 것이 다급해진 인조 정권은 개혁을 밀어붙일 수 있는 동력을 상실했다.

 

거기에 명나라 사신들은 엄청난 은() 징색(徵索)을 했고 가도의 모문룡 진영은 항상적인 양곡 수탈을 했다. 인조 정권은 친명은 실천했지만 배금은 쉽게 실천하지 못하고 현상유지책을 시행했다. 이 상황에서 정묘호란이 일어난 것은 거의 전적으로 모문룡과의 관계 때문이었다. 모문룡 부대를 요즘식으로 말하면 주한명군(駐韓明軍)이라 할 수 있다.

 

얼마 되지 않는 병력으로 막강한 후금과 싸워 요동을 수복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지만 명은 가도를 조선과 후금을 견제하는 전략적 거점으로 보았다. 모문룡 부대 즉 모병(毛兵)은 조선이 명을 배반하거나 후금으로 기울지 못하도록 견제하는 수단이었다. 모문룡은 요동 수복을 표방했지만 능력도 의지도 없었다.

 

모문룡은 명 조정의 실력자 환관 위충현의 비호를 받고 명 황제를 속이고 조선에 온갖 민폐를 끼쳤다. 문제는 명 조정으로부터 모문룡을 감사(監司)해야 한다는 소식이 들려오면 거짓으로 후금을 공격하는 시늉을 했고 그 과정에서 조선에 큰 민폐를 끼쳤고 후금을 자극했다는 점이다. 인조는 그런 모문룡에게 쓴소리를 하지 못했다.

 

천계 연간 극심한 당쟁과 환관들의 발호 때문에 명은 무너져갔다. 16193월 명군은 후금을 공격했지만 역습에 휘말려 참패했다. 명청 교체의 분수령이 된 이 전투를 사르후 전투라고 한다. 이 가운데 명의 요구를 듣지 않을 수 없었던 광해군이 파견한 강홍립 휘하의 병력이 패한 전투를 심하(深河) 전투라고 한다.

 

15천 명에 이르는 강홍립 부대는 전투의 대세와 무관한 병력이었다. 영원성 원정에서 입은 부상으로 누루하치가 죽었다. 1616년 홍타이지는 국호를 대금(후금)으로 칭하고 칸이 되었다. 훗날 태종이 되어 병자호란을 일으켜 인조에게 치욕적 항복을 받아낸 인물이다. 1627년 일어난 정묘호란의 원인은 복합적이다. 경제 문제 해결도 무시할 수 없었다.

 

결정적인 것은 명 본토를 치기 위해 서진(西進)하려는 데 방해가 되는 모문룡을 제거하는 것이었다. 누르하치의 죽음으로 추대 형식으로 칸의 위치에 오른 홍타이지는 지위에 걸맞은 권위와 권력을 보여주려 했다. 정묘호란을, 투항한 강홍립이 오랑캐를 부추겨 일으킨 전쟁으로 본 송시열의 견해는 잘못이다.

 

후금이 투항자의 사주(使嗾)에 따라 동병(動兵) 여부를 결정할 만큼 간단한 나라인가? 서인은 정묘호란의 근원적 책임을 광해군과 강홍립에게 돌리고 광해군 정권을 후금과 같은 부류로 매도함으로써 자신들이 처한 명분적 곤경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다. 평안병사(平安兵使) 남이홍은 방어선이 붕괴되어 성이 함락되기 직전 부하들과 함께 불붙은 화약더미 속으로 몸을 던져 장렬히 순국했다.

 

그는 죽기 직전 지휘관이 되어 습진(習陣: 진 치는 훈련)을 한 번도 해보지 못하고 죽는 것이 애통하다는 말을 했다. 정권안보를 위해 기찰(譏察)에 혈안이 되었던 반정 세력들 때문에 빚어진 일이었다. 인조는 백성들에게 사과성명을 냈다. 인조는 병자호란이 터져 항복하고 나서도 같은 행위를 반복했다. 잃어버린 10년인 셈이다.

 

정묘호란 때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했다. 이괄의 난이 터지자 공주로 피신했던 것처럼. 후금이 화의(和議)를 제의했다. 병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후금이 조선과 명의 관계를 용인해준다면 화의 제안을 받아들이겠다는 의견이 있었고 오랑캐 사신의 목을 베어 명으로 보내고 의병을 일으켜 성을 등지고 결전을 벌이자고 한 척화파들의 의견이 있었다.

 

실력을 갖추지도 못하고 비분강개만 하는 모습이라니...어떻든 두 나라는 화의했다. 이괄의 난이 남긴 후유증 등 내정의 난제들을 추스르기에도 여유가 없었던 조선과 배후의 원숭환(영원성 전투에서 누르하치를 타격한)의 위협을 고려하면서 조선으로부터 경제적 실익을 얻어내는 것이 절실했던 후금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였다. 후금은 형의 나라, 조선은 동생의 나라가 되었다.

 

홍타이지가 정묘호란을 일으킨 가장 중요한 이유는 모문룡을 제거하는 것이었지만 그는 다른 섬으로 피해 목숨을 보전했다. 모문룡에게 후금군의 머리를 베어 바친 사람들(평안도 지역의 의병, 백성들)이 있었지만 조선 사람들의 수급(首級; 전쟁에서 베어 얻은 적군의 머리)을 적과 싸워 얻은 것처럼 속여 바친 자들도 있었다.

 

모문룡은 이를 자신의 군공(軍功)이라며 명 조정에 천연덕스럽게 보고했다. 반정 세력들이 오랑캐와 화약을 맺음으로써 반정 명분을 스스로 크게 훼손했다고 찜찜해 하던 차에 명은 후금과의 화의에 의혹의 눈길을 보냈다. 화의 이후 곳곳에서 역모가 일어났다. 삼레의 유생 이기안은 능양군을 믿을 수 없다. 그가 오래 갈 수 있을까?”란 말을 하기도 했다. 나라는 총체적으로 난국(難局)이었다.

 

인조는 오랑캐 토벌 의지는 대단했지만 구체적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다. 1630년 가평군수 유백증은 신은 광해(1575 - 1641)가 죽기 전에 종사가 먼저 망해 천고의 웃음거리가 될까 두렵기만 합니다란 직격탄을 날렸다. 원숭환은 모문룡을 극도로 혐오했다. 모문룡은 원숭환에 의해 최후를 맞았다. 참수(斬首)당한 것이다. 원숭환은 어제 그대를 죽인 것은 조정의 대법을 밝힌 것이고 오늘 그대를 제사함은 동료의 사정(私情)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하며 눈물을 뿌렸다.

 

황경원은 원숭환이 모문룡을 처단한 은혜는 임진왜란 당시 조선을 구해준 이여송에 못지 않다고까지 말했다. 원숭환은 홍타이지의 계략에 말려 참혹한 죽음을 당했다. 후금군은 광거문 전투에서 원숭환에게 패했지만 마방태감 양춘과 왕성덕을 포로로 잡았다. 이 둘을 감금해 놓은 방 바로 옆에서 홍타이지의 부하 고홍중과 포승선이 밀담을 나누었다. 원숭환이 이미 홍타이지와 몰래 약속하여 북경을 탈취하기로 했고 곧 함락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의도적 연출이었다. 고홍중과 포승선은 홍타이지의 명령을 받고 양춘과 왕성덕을 풀어주었다. 양춘과 왕성덕 두 환관은 부리나케 자금성으로 달려가 숭정제에게 포로로 잡혀 있으면서 옆방에서 들은 사실을 고했다. 원숭환이 오랑캐를 사주하여 북경으로 끌어들였고 원숭환이 병력을 이끌고 북경 옆 통주에 이를 때까지 후금군과 한 번도 싸우지 않았다는 것이었다.

 

19살의 숭정제는 대국을 보는 눈이 없어 홍타이지가 던진 미끼를 덥석 물었다. 원숭환은 책형(磔刑)을 당했다. 이는 동림당과 엄당의 격렬한 상쟁과 복수가 배경에 깔린 사건이다. 원숭환이 처형당한 뒤 명은 자멸의 길로 확실히 들어섰다. 원숭환을 제거하는 반간계를 구상하고 실행한 주체들은 이신(貳身)들이었다. 명에서 후금으로 귀순하거나 투항하여 벼슬했던 한족 출신 신료들이다.

 

홍타이지는 이신들을 우대하고 중용하여 권력 기반을 강화하고 제도와 체제를 정비하는 데 활용했다. 이신들은 명으로부터 무엇인가 상처를 받은 사람들이었다. 이신들까지 포용한 홍타이지는 탁월했고 사람과 대국을 볼 줄 몰랐던 숭정제는 어리석었다. 지도자의 국량(局量) 차이가 후금과 명의 운명을 갈라놓은 것이다.

 

원숭환은 모문령을 제거한 뒤 조선에 편지를 보내 모문룡 처단의 전말을 설명하고 모문룡과 부하들이 조선에 끼친 커다란 피해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문제는 다음이었다. 병력을 동원해 같이 후금과 싸우자고 했기 때문이다. 정묘호란 이후 후금이 조선에 간절히 바란 것은 무역이었다. 명이 자신들에게 경제 제재를 가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묘호란 이후 후금은 아우국 조선과의 교역에 큰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조선은 후금과의 교역에 소극적이었다. 후금이 조선에 요구한 물자 가운데 서적들도 있었다. 조선은 후금에 사서를 비롯 춘추, 주역, 예기, 통감, 사략 등을 넘겨주었다. 당시 후금은 홍타이지가 한인 신료들을 적극적으로 임용하고 문치에 입각한 국가 체제를 만들어가는 중이었다.

 

인조는 원종 추숭 문제로 10년을 싸웠다. 국력을 갉아먹은 사건이었다. 1633년 모문룡 휘하에 있던 공경(孔耿: 공유덕, 경중명)이 전함과 수군을 이끌고 후금으로 귀순하자 조선은 그들을 추격하던 명군에게 군량과 군수 물자를 제공하고 병력을 압록강 부근으로 파견했다. 163612월 홍타이지는 조선이 공경의 귀순을 저지하려고 후금과 적대한 것을 병자호란 도발의 주요 명분으로 제시했다.

 

1619년 명을 도와 후금을 공격한 것(심하전투 참전)이 후금에 정묘호란을 일으키게 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로부터 조선은 아무런 교훈도 얻지 못하고 같은 일을 되풀이한 것이다. 조선은 후금이 보유한 수군의 의미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 후금은 1631년 보낸 국서에서 우리가 쳐들어가면 너희는 보나마나 섬으로 도망칠 것이라 조롱했다.

 

후금은 공경의 귀순을 계기로 전함과 수군까지 갖추었다. 이런 상황에서 인조는 원종의 부묘(祔廟)를 밀어붙이느라 오버했다. 강학년은 인조에게 포악한 자가 포악한 자를 갈아치웠다고 비난했다. 이괄의 난 때 백성들 가운데 서울을 떠나는 인조의 가마를 뒤따르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는 말로 민심 이반을 통박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20-03-03 10: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꽤 재미있는 책이죠. 2권을 기다리게 됩니다.

벤투의스케치북 2020-03-03 20:25   좋아요 0 | URL
아. 네.. 알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