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릉(溫陵) 개방(1114일 이후) 소식을 듣고 양주시청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았다. 단경왕후(端敬王后) 신씨(愼氏)의 능인 온릉은 그간 군사보호시설 내에 자리한 관계로 개방되지 않았었다. 양주시청 홈페이지의 관광정보 코너에 교통편이 안내되지 않아 검색을 거쳐 개인 블로그를 통해 알았다.

 

신씨가 세상을 떠난 것은 1557년으로 명종 재위시였다. 왕릉 조성 기록에 나와 있지 않은 것은 중종반정으로 왕비가 되었지만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의 처남이라는 이유로 반정에 참여하지 않아 역적이 되는 바람에 신씨도 억울하게 즉위(왕후) 7일만에 쫓겨나 능이 아닌 묘()의 주인공이 되었었기 때문이다.(신씨가 복위된 것은 영조 대인 1739년이다.)

 

양주는 신씨 친정의 선산이 있던 곳이다. 온릉은 따뜻할 온()자를 쓴다. 평생 자식 없이 오로지 중종의 따스한 손길만을 그리워하며 살았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재영 지음 조선 왕릉, 그 뒤안길을 걷는다’ 162 페이지)이라고 한다. 중종이 단경왕후의 집쪽을 바라보며 그리워하자 단경왕후가 분홍치마를 바위에 걸쳐놓아 화답했다는 전설은 유명하다. 인왕산 치마바위 전설이다.

 

하지만 계비 장경왕후가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6일만에 죽자 신하들 사이에서 단경왕후 복위 논의가 나왔으나 중종이 오히려 이를 물리치며 건의한 사람들을 유배보냈고 장경왕후 곁에 묻히고 싶어 하며 쌍릉 자리를 마련하라고까지 했다는 일화도 있다.(이종호 지음 역사로 여는 과학문화유산 답사기 조선왕릉편’ 206 페이지)

 

중종 능은 처음 장경왕후의 희릉(禧陵) 곁에 조성되었다가 중종과 함께 묻히고 싶어한 문정왕후에 의해 삼성동으로 천릉(遷陵)되어 정릉(靖陵)이 되었다. 정릉은 지대가 낮아 장마철마다 재실과 홍살문이 침수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에 명종은 어머니 문정왕후 윤씨를 태릉에 모셨다.

 

그러고 보니 중종, 장경왕후, 문정왕후 모두 홀로 묻히고 말았다. 굳이 따지자면 단경왕후까지 홀로 묻혔으니 참 아이러니한 일이다. 이 흩어짐으로 직계자손이 끊어졌다는 말이 있다. 실제로 명종 대에서 그런 일이 벌어져 선조가 최초의 방계자손 왕이 되었다.(선조는 중종의 서자인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이었다.)

 

치마바위 전설과 함께 중종이 단경왕후 복위를 논의한 신하들을 유배보냈다는 이야기도 함께 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어떻든 중종이란 인물은 참 미스테리한 왕이다. 온릉 이야기로 시작했다가 중종이 미스테리한 왕이라는 이야기를 하니 주인공이 마치 중종인 듯 여겨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주역 스무번 째 괘는 풍지관(風地觀)이다. 괘사인 관(): 관이불천(盥而不薦) 유부옹약(有孚顒若)을 보자.

 

1) 강신(降神)을 보며 제물 올리는 것을 보지 않으니 믿음이 있고 공경스럽다란 뜻(신원봉 지음 주역’ 204 페이지),

 

2) ()의 길에서는 깨끗하게 씻어 준비해도 천거되지 못하는 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믿음을 가지면 우러름이 있을 것이다란 뜻(강병국 지음 주역 독해상경 357 페이지)

 

3) 심신이 깨끗하여 동요가 없고, 믿음과 공경이 있으면 관()의 도를 얻을 수 있다는 뜻(서대원 지음 주역강의’ 250 페이지)....

 

어떤 구절이 가장 그럴 듯 한가. 나는 2번이라 생각. 그리하여 유부옹약(부옹)을 믿음이 있으면 우러름이 있을 것이라는 말로 이해한다.

 

주역의 대가 김석진 옹은 43경 공부 순서를 대학, 중용, 맹자, 논어, 시경, 서경, 주역으로 꼽았다. 주역은 가장 마지막에 공부할 과목이다.

 

, ....나는 순서도 무시하고 무작정 주역을 공부하는 것인가?

 

정리하면.. 유부옹약(有孚顒若) 줄여서 부옹(孚顒)은 믿음이 있으면 우러름이 있다는 말. 스승님에 대한 내 마음을 표현하는 적절한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해설은 사진과 영상 제작 동아리의 어르신들과 함께 한 시간이었다. 사진 동아리이기에 프랑스의 위대한 사진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이 언급한 결정적 순간에 대한 언급으로 운()을 떼었다. 브레송은 삶의 환희와 고통, 현실의 적나라한 순간들을 사진으로 남겼다. 후에 수전 손탁의 사진 비판론을 논할 팀이 있으면 좋겠다. 손탁은 카메라를 총에 비유했다.

 

1) 연천군 미산면 아미리의 숭의전(崇義殿)에 있는 관세위(盥洗位)는 제향 때 제관이 손을 씻는 곳이다. 2) 배신청(陪臣廳)은 공신들을 모신 곳이다.(; 씻을 관, ; 모실 배) 3) 이안청(移安廳)은 임시로 어진을 모시던 곳이다. 4) 연천군 미산면 동이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성인 당포성(堂浦城) 위에 팽나무 한 그루가 있다.

 

1)2)는 질문이 있어 정확히 답했다. 3)은 종묘의 망묘루 같은 곳이라 잘못 답했다. 4)에 대해서는 아무도 묻지 않았고 나 역시 몰랐다.(팽나무의 팽이 한문인지 한글인지 모르겠다. 한문이라면 어떤 글자를 쓰는지 궁금하다.)

 

당포성의 주소를 묻는 분에게 아미리라 했다가 숭의전이 아미리 아닌가요란 말에 아, . 동이리입니다라고 바로 고쳤다. 풍수 지식을 망원경에, 한자 지식을 현미경에, 문사철과 유불선 지식을 그물에, 사주와 관상 지식을 표창에, 샤머니즘 지식을 드릴에 비유한 조용헌 교수가 문득 생각난다.

 

언급한 것들은 조용헌 교수가 20년 넘게 여기저기 답사를 하다 보니 갖추게 된 지식이라고 한다. 다른 것은 몰라도 한자 및 문사철과 유불선에 대한 지식 정도는 갖추어야 하리라. 문사철에 포함되는 주역, 유불선에 포함되는 불교 미술에 많은 시간을 쓰고 싶다. 그리고 나만의 비기(祕技)를 개발하고 싶다. 물론 박학다식과 함께 갖추는 비기이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래 전부터 소장하려고 했으나 필요할 때마다 빌려보곤 하던 김용헌의 '조선 성리학, 지식권럭의 탄생'을 어제 알라딘 종로점에서 우연히 보고 구매했다. 정도전, 정몽주, 조광조조식, 이이 등의 문묘 종사를 둘러싼 논쟁을 다룬 책이다.

 

어제 청송당(聽松堂) 유지(遺址)가 있는 서촌 해설을 계기로 관심을 두게 된 성수침과 남명 조식의 일화를 흥미 있게 접한 뒤 만난 책이어서 관심이 더해지는 느낌이다. 성수침(1493-1564)은 여덟 살 아래의 남명 조식(1501-1572)과 서로 존경하며 일생 연락을 주고받았다.

 

그런 어느 날 성수침이 시를 써 조식에게 보내 화답을 요청하자 조식은 시는 본래의 소중한 마음을 잃게 하는 놀이 같은 것이라 답했다. 스승 조광조의 사사(賜死)에 충격받아 청송당에 은둔한 성수침과, 자의에 의해 홀로 묻혀 지내며 과거를 대비한 공부가 아닌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연마한 조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보여주는 일화다.

 

남명 조식은 칼을 찬 유학자였다. 몸을 써서 욕망을 절제할 것을 가르쳤고 물 뿌리고 청소하는 일에서 공부가 시작된다고 본 사람이었다. 그가 칼을 찬 모습을 본 경상감사 이양원이 무겁지 않느냐고 묻자 남명은 "뭐가 무겁겠소, 내 생각에는 그대의 허리에 매단 금대(金帶)가 더 무거울 것 같은데.."라고 말했다.

 

이에 이양원은 바로 말을 알아 듣고 재주 없이 중책을 맡아 몸둘 바를 모르겠습니다라고 말했다. 이양원은 겸허하기나 하다. 오늘날 이양원을 보고 배워야 할 인물들이 너무 많아 안타깝다.

 

정도전은 불교는 사람을 짐승과 구별지어주는 측은지심 즉 인()마저 비워버릴 것을 주장하기에 이단이라 말했다. 그런데 그런 정도전이 만일 임란 때 많은 승려들이 의병활동을 한 것을 보았다면 어떤 말을 했을까?

 

그때 백성들을 버리고 의주까지 도망한 유교 국가의 군주 선조는 인()한 존재였는가? 동인 김성일의 말만 듣고 왜의 침략 가능성을 무시한 선조는 지()한 존재였는가?

 

정도전이 주장하는 바의 핵심은 불교는 모든 정념을 벗어버릴 것을 의도하는 문제적 종교라는 것이다. 하지만 석가모니 부처도 출가 후 자신의 나라에 닥친 정치적 문제를 보고 몇 차례 시정을 요구했다.

 

이는 정도전 이전의 일이었으나 아마도 당시의 자료 수준으로는 접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총체적으로 생각하고 보아야 지혜와 균형감각이 나옴을 정도전을 보며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문화유산의 두 얼굴'을 읽고 있습니다. 조윤민 단독 저자가 왕릉, 궁궐, 성곽과 읍치, 성균관, 향교, 서원, 사찰 등에 대해 쓴 책입니다. 우리 논의에서 중요한 것이 아니니 책 내용에 대해서는 말씀 드리지 않겠습니다.

 

문화재에 관한 책이어서 사진이 많은 게 눈에 띕니다. 저자도 실력과 명성을 갖춘 분이고 출판사도 대형 출판사인데 사진이 전부 흑백이네요. 출판 연도를 보니 20198월이네요.. 이런 경우도 있네요. 긍정적으로 본다는 뜻입니다.

 

사진이 컬러라면 제작비가 많이 들어갈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371페이지에 가격은 16,000원입니다. 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반론이 있을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