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엮음 / 눌와 / 201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국외소재 문화재 재단이 펴낸 '우리 품에 돌아온 문화재'는 여러 경로로 국외로 유출되었다가 우리에게 돌아온 문화재를 유형별로 정리한 책이다. 유형은 다섯 가지다. 1) 소장자의 기증으로 돌아온 경우, 2) 정부의 협상으로 돌아온 경우, 3) 민간의 노력으로 돌아온 경우, 4) 민관협력으로 돌아온 경우, 5) 일제강점기에 돌아온 경우 등이다.
1)의 대표는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다. 2)의 대표는 외규장각 의궤 297책이다. 3)의 대표는 겸재정선화첩이다. 4)의 대표는 오대산 사고본 조선왕조실록 47책이다. 5)의 대표는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이다.
환수를 위해 정부기관이 나서면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 섣불리 약탈, 반출한 문화재를 원소유국에 되돌려주면 비슷한 사례가 줄을 잇기 때문이다.(41 페이지) 한일간 문화재 반환 협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 1965년 한일협상이다.
경제협력자금이라는 모호한 명목의 배상금을 받는 대신 역사의 책임을 묻지 않기로 한 한일협정은 일제강점기 35년간의 한일 관계의 질곡을 해소하는 데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일본 소재 우리 문화재의 반환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가 일본에 문화재 반환과 관련해 처음으로 공식 거론한 시기는 1958년 4차 한일회담 때이다. 용어도 민감한 문제 중 하나다. 반환이라는 말에는 약탈과 불법 반출이라는 범죄 행위를 인정, 사과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모은 오구라 컬렉션이 있다.
그는 전형필 선생이 문화재 보존에 쓴 돈의 열 배를 쓴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간 협정으로 돌려 받은 국외 소재 문화재 중 가장 규모가 컸던 것은 1965년 한일협정에 의한 반환이다. 두고두고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남는 협정이다.
물론 문화재 반환에서 가장 큰 힘이 되는 것은 정부의 지원과 정부간 협상이다. 민간이 여론을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해 성과를 내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의궤는 임금이 보는 어람용(御覽用)과 보관하기 위한 분상용(分上用)으로 나뉜다. 두 판본은 질적으로 큰 차이가 난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이 약탈해간 외규장각 의궤는 대부분 어람용 의궤다. 문화재 불법 반출을 금지한 유네스코의 문화재의 불법적인 반출입 및 소유권 양도 금지와 예방 수단에 관한 협약이 맺어진 것은 1970년이다. 그 이전 반출된 것에 대해서는 효력이 없다.
2010년 11월 12일 사르코지 대통령은 5년 단위로 갱신되는 대여 형식으로 외규장각 의궤 전부를 한국 측에 일괄 양도한다는 발표를 한다. 교류와 대여라는 원칙을 내던진 획기적인 결단이었다. 어보와 국새는 다르다. 어보는 존호와 시호를 올리는 등의 의례용, 국새는 외교문서나 공문서에 쓰는 공무용이다.
국새는 정변이나 전쟁 등으로 대부분 소실되었지만 어보는 종묘에 보관했기에 대부분 보존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어보의 세계기록 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민속학자 조창수(1925 - 2009) 여사는 어보의 반환을 이끌어낸 분이다.
오쿠라 기하치로(大倉喜八郞; 1837 - 1928)가 있다. 오구라 컬렉션의 주인공인 오구라 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1870 - 1964)와 다른 인물이다. 경복궁 철거작업 중 자선당을 일본으로 반출한 사람이다.
자선당은 오쿠라 기하치로에 의해 반출되어 오쿠라슈코칸(大倉集古館: 사설박물관)으로 활용되다가 1923년 관동대지진 때 화재를 만나 기단과 주춧돌만 남은 채 방치되었고 근대 건축사를 전공한 김정동 교수의 노력에 힘입어 우리나라에 80년만에 돌아왔다.
책은 민관협력으로 돌아온 문화재로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47책을 말하며 조선왕조가 500년이라는 긴 세월 동안 이어진 것을 기록의 힘이라 설명한다. 역사가 자신을 어떤 인물로 판단할지 두려워 한다면 왕이든 관리든 사적 이익을 위해 함부로 판단하고 행동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원주 법천사지(法泉寺址) 지광국사탑은 ‘조선총독부도 뒤돌려줄 수 밖에 없었다’는 제목으로 다루어졌다. 이 탑은 일제강점기에 돌아온 문화재다. 남한강과 그 지류인 섬강 주변에는 불교가 융성한 고려시대에 명성을 떨친 큰절들이 있었다. 흥법사(興法寺), 고달사(高達寺), 거돈사(居頓寺) 등이다.
이 절들은 임진왜란 때 뱃길을 차지하려는 일본군에 의해 폐사된 뒤 다시 세워지지 못했고 이후로는 새로운 교통로로 자리 잡은 물길과 멀어지면서 지금은 궁벽한 오지 같이 한산해졌다.
하지만 이들 절에 있던 여러 석조 문화재들이 여전히 당당한 모습으로 남아 있어 한때 매우 큰 절이었음을 실감하게 한다. 경천사지 십층석탑은 일제가 약탈해간 유물 중에서 보기 드물게 일찌감치 국내외 여론의 힘으로 찾아온 우리 문화재다. 모범적인 사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