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장면 전 총리 가옥 앞의 빈빈책방에 이르자 우리 답사팀원들보다 많은 분들로 구성된 다른 답사팀원들이 도열해 있는 모습이 보였다. 우리 팀원들에게 문질빈빈(文質彬彬)의 의미를 설명했다. 문질빈빈의 줄임 말로 내면과 외양이 조화를 이룸을 뜻하는 빈빈은 공자의 말에서 비롯되었다.

 

공자는 바탕인 질()이 표현인 문()을 능가하면 촌스럽고 그 반대는 공허하다고 말했다. 공자는 또한 자신에게 시간이 더 주어진다면 역()에 있어서야 문질(文質)을 겸비하리라는 말을 했다.

 

빈빈책방은 출판사라는 말까지 했다. 우리 팀원들보다 먼저 도열해 있던 그들은 내 말에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지난번 연산군 묘에서는 다른 팀원들이 내게 질문을 하기도 했다.

 

시간이 주어진다면 역에 있어서야 문질을 겸비하리라는 말은 가죽으로 묶은 책이 세번 끊어질 정도로 주역을 애독했다는 공자의 위편삼절(韋編三絶)의 일화에서 위()가 가로로 묶은 끈을 의미하는 위()라는 주장을 한 도미야 이타루의 '목간과 죽간으로 보는 중국 고대 문화사'에서 덤(?)으로 읽은 내용이다.

 

위편삼절을 전통대로 가죽으로 묶은 책이 세번 끊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싶다. 내 설명을 들은 누군가가 위편삼절은 가죽이 아니라 가로로 묶은 일반 끈이 세번 끊어진 것이라 보아야 타당하지 않은가요 묻는다면 좋겠다.

 

그러면 네, 중국의 임소안(林小安)이란 학자가 그런 주장을 했고 일본의 도미야 이타루가 임소안의 설을 수용하면 가죽을 생각할 필요 없이 깔끔한 해석이 가능해진다는 말을 했다고 말할 것이다.

 

이 위()란 글자는 날줄, 씨줄에서의 씨줄을 의미하고 경도, 위도에서 위도를 의미한다. ()에 대한 진술은 백소영 교수의 '페미니즘과 기독교의 맥락들'에서 읽은 경()에 대한 진술과 함께 최근 접한 흥미로운 내용 가운데 하나이다.

 

백소영 교수에 의하면 경전의 경()은 실을 세로로 고정해놓고 하는 베짜기 작업을 의미한다. 즉 성경이란 초월적이고 보편적인 신의 말씀을 경줄(날줄; 세로줄; 중심축) 삼아 자신들의 삶과 언어로 위줄(씨줄; 가로줄) 짜기를 해놓은 텍스트라는 것이다.

 

베짜기의 은유가 마음에 든다. 구약의 전투하는 만군의 하나님이 아니라 신약의 베짜는 평화의 하나님을 수용하는 홍정수 교수의 '베짜는 하나님'도 그렇고 백소영 교수가 언급한 경줄과 날줄의 교직(交織)도 그렇다.

 

이 이야기들을 통해 말하고 싶은 것은 글쓰기에서도 책쓰기에서도 선행하는 자료들은 경줄(날줄)이고 자신의 새로운 관점이나 자신만의 이야기는 씨줄이라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무리가 아니라면 인생은 미지수란 말을 책에 대해서도 쓰고 싶다.

다시 알라딘 중고 서점에 들러 긴 탐색의 시간과 단 두 권만을 구입하고 만 소심(小心)의 시간을 보냈다.

그 과정에서 드러난 내 문제는 1) 전혀 예상하지 못한 책들에 정신이 팔려 신중하게 결정한 구입 필수 목록들을 몰라라 한다는 점이고,

2) 있는지 모르지만 기본에서 벗어난 구입을 한다는 점이다.

전혀 예상하지 못한 책들을 구입하는 것이 미지수라는 의미이다.

그럼 기본에서 벗어난 구입이란 무엇일까? 오늘 내가 ‘이산 정조대왕‘과 ‘정조와 홍대용 생각을 겨루다‘를 두고 장고(長考)한 끝에 산 책은 역사서인 전자가 아닌 철학서 성격이 강한 후자였다.

역사서를 읽은 후에 철학서를 읽어야 한다는 지침이 있지는 않지만 내가 문제가 있기라도 하듯 기본이란 말을 하는 것은 나의 경우 많은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역사서에서 별 감흥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는 역사 지식의 많은 부분을 철학서나 문학서에서 얻었다. 역사에 대해 메타 서술한 책들에서 얻었다는 말도 가능하다.

주역 책에서 얻었다는 말도 가능하다.

나는 이렇게 내가 정통이 아니라는 점을 잘 안다. 오래 전 읽은 이정우 교수의 ‘인간의 얼굴‘은 내게 깊이 있는 역사 지식을 준 철학서이고 지금 읽고 있는 ‘이순신의 승리 비결 주역으로 풀다‘는 내게 역사 지식을 주고 있는 주역 책이다.

그렇다고 내가 순수(?) 역사책을 읽지 않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언젠가 나도 역사책으로부터 역사책을 읽는 순리를 충분히 수행해야 하리라 생각한다.

장석원 교수의 김수영 시인 강의(2018년 8월 25일 김수영 문학관)에서 나온 말(철학자들이 국문학자인 자신들이 헤아리지 못한 김수영 시인에 대한 진실을 파악하고 있어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것 같다는...)이 오래 내 기억을 지배할 것 같다.

나도 그 경우처럼 역사 전공자들이 미처 헤아리지 못한 부분을 파악하는 역사 비전공자가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오전 열한시쯤 버스 회사 사무실에 들러 어제 53번 버스(선사 박물관이 있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서 양주시 덕정까지 운행하는...)에 놓고 내린 책을 찾아왔다. 오고 가고 삼십 분 정도가 걸렸다.

소요산에서 서울로 가는 전철을 타기 위해, 그리고 가까이 있는 미용실과 세탁소를 찾기 위해 집을 나서는 것 말고 이렇게 오래 그것도 낮 시간에 전곡 거리를 걸은 것은 참 오랜만이다.

나로서는 낯선 감정이 들지 않을 수 없는 사건이었다.

그렇게나 자주 찾던 도서관에도 이제 가지 않는 내가 이곳 전곡에서 전기한 두 곳(미용실, 세탁소)에 갈 때 말고 집 밖을 나서게 될 일은 급히 병원이나 약국에 가야할 때일 수밖에 없겠다.

이제 내게 이곳 전곡은 자고 먹고 서울행을 준비하는 곳처럼 되었다.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노원에, 14시부터 15시 30분까지 마포 망원역 인근에, 그 이후 16시까지 마포 광흥창역 인근에, 그 이후 19시까지 양재에, 그 이후 22시까지 혜화에 있었던 어제의 내 행적이 요즘 나의 일반적 모습이다.

어제 나는 늘 그렇듯 배낭을 멘 데다가 아홉 권의 책을 에코백에 담아 든 채 양재에서 140번 버스를 타고 안국동에서 내려 저녁 식사를 하고 이틀 후 예정된 탐방 코스(윤선도 시비, 학림다방, 동양서림, 장면 전 총리 가옥, 빈빈책방, 한무숙문학관, 송시열 옛 집터, 한양도성 혜화 전시센터 등)를 사전 답사했다.

짐을 메고 들어야 했기에 무릎이 아팠지만 탐사 하루 전에 서울에 다시 나오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이다.

그제 내 잠실 동기는 자기 집 방 하나를 나에게 세줄까보다란 말을 했다. 나를 잘 아는 사람들은 (종로 기준) 오고 가고 네 시간 이상 소요되는 서울에 자주 드나드니 피곤하지 않냐고 묻는다.

그러나 특별히 그런 생각이 들지 않고 차를 타는 시간이 힘들게 느껴지지도 않는다.

피곤하면 자고 말짱하면 책을 읽으니 시간이 참 빨리 간다. 운전을 하지 않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렇게 세월이 간다. 오늘은 2018년의 2/3가 지나는 8월의 마지막 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all but dissertation...논문 말고 나머지는 다 한(논문만 쓰면 되는).. 이런 상황이 누구에게나 있을 것입니다..

한 이십 여년 전 김승희 시인은 사랑하는 어머니를 위해 방 하나 얻어드리고 싶은 간절함을 하늘 한 모금만 있으면 좋겠다는 시로 표현했지요..

70여 년 전에 타계한 버지니아 울프는 여자가 픽션을 쓰려면 자기만의 방, 연 500파운드의 돈,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용기와 자유가 필요하다는 말을 했지요..

all but dissertation이든 하늘 한 모금이든 연 500파운드의 돈과 자기만의 방과 자신의 생각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용기와 자유이든 모두 간절함의 표현일 것입니다..

아침 잠이 덜 깨 보조 배터리를 챙기지 않은 탓에 배터리의 하찮은 잔량을 눈치 보며 글을 쓰려니 발자크의 인간희극에 나오는 소원을 이루는 만큼 수명이 줄어드는 주인공 생각이 납니다..

지금 이 순간 저의 진실한 사변입니다.. so long..감사와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잠이 덜 깼기 때문인지 소요산 역 가는 버스에 책(오형엽 교수 지음 ‘문학과 수사학‘)을 놓고 내렸다.

집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챙겨 나오지 않았다. 7시 40분에 내린 버스에서였으니 이른 시각이 아니지만 쌓인 피로 때문에 실수했다고 생각한다.
버스 회사에 전화해 승차 시간과 지점, 하차 시간과 지점 등을 알렸으나 12시 40분 현재 연락은 오지 않았다.

책이 흔하지만 한 권의 책도 잃어버리면 슬픈 이별을 한 듯 마음이 아프다. 세컨드 옵션으로 가방에 넣고 나온 책이 없었다면 어떻게 할 뻔했는가, 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

시장 접근성과 업체간 긴밀한 협력을 위해 노후한 골목에서 집적 경계지역을 형성하고 있는 을지로 인쇄업소 부분에서 옛 생각 아니 옛 책 생각을 한다.

최윤 작가의 단편 ‘회색 눈사람‘이 그 책이다. 얼마 전 끝난 을지로의 인문 책쓰기 모임에서도 나는 ‘회색 눈사람‘ 이야기를 했다.

(자세한 내용 소개는 생략. 분위기 좋은 소설이고 짧은 소설이지만 요약하기는 쉽지 않은 책...)

내 추억이라도 되는 듯. 연락이 오기를 기다리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