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 열한시쯤 버스 회사 사무실에 들러 어제 53번 버스(선사 박물관이 있는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서 양주시 덕정까지 운행하는...)에 놓고 내린 책을 찾아왔다. 오고 가고 삼십 분 정도가 걸렸다.
소요산에서 서울로 가는 전철을 타기 위해, 그리고 가까이 있는 미용실과 세탁소를 찾기 위해 집을 나서는 것 말고 이렇게 오래 그것도 낮 시간에 전곡 거리를 걸은 것은 참 오랜만이다.
나로서는 낯선 감정이 들지 않을 수 없는 사건이었다.
그렇게나 자주 찾던 도서관에도 이제 가지 않는 내가 이곳 전곡에서 전기한 두 곳(미용실, 세탁소)에 갈 때 말고 집 밖을 나서게 될 일은 급히 병원이나 약국에 가야할 때일 수밖에 없겠다.
이제 내게 이곳 전곡은 자고 먹고 서울행을 준비하는 곳처럼 되었다.
오전 10시부터 12시까지 노원에, 14시부터 15시 30분까지 마포 망원역 인근에, 그 이후 16시까지 마포 광흥창역 인근에, 그 이후 19시까지 양재에, 그 이후 22시까지 혜화에 있었던 어제의 내 행적이 요즘 나의 일반적 모습이다.
어제 나는 늘 그렇듯 배낭을 멘 데다가 아홉 권의 책을 에코백에 담아 든 채 양재에서 140번 버스를 타고 안국동에서 내려 저녁 식사를 하고 이틀 후 예정된 탐방 코스(윤선도 시비, 학림다방, 동양서림, 장면 전 총리 가옥, 빈빈책방, 한무숙문학관, 송시열 옛 집터, 한양도성 혜화 전시센터 등)를 사전 답사했다.
짐을 메고 들어야 했기에 무릎이 아팠지만 탐사 하루 전에 서울에 다시 나오는 것은 무리이기 때문이다.
그제 내 잠실 동기는 자기 집 방 하나를 나에게 세줄까보다란 말을 했다. 나를 잘 아는 사람들은 (종로 기준) 오고 가고 네 시간 이상 소요되는 서울에 자주 드나드니 피곤하지 않냐고 묻는다.
그러나 특별히 그런 생각이 들지 않고 차를 타는 시간이 힘들게 느껴지지도 않는다.
피곤하면 자고 말짱하면 책을 읽으니 시간이 참 빨리 간다. 운전을 하지 않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렇게 세월이 간다. 오늘은 2018년의 2/3가 지나는 8월의 마지막 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