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쏟아지고 있다. 이 말에는 해명해야 할 부분이 많다. 쏟아지고 있다고 하면 함량(含量) 미달인 시도 마구 활자화하는 것을 연상하게 할 수 있겠지만 모두에게 시는 각고(刻苦)의 시간들을 보낸 끝에 내놓는 어엿한 자식들임에 틀림 없다.

 

이런 말을 하는 내게 궁금하게 여겨지는 점들이 있다. 1) 무미하고 건조한 시들을 쓸 때도 시인들은 아름답고 단아해 흥취(興趣)를 자극하는 시들을 쓸 때처럼 힘든 숙성의 시간들을 보내는가? 2) 시가 아름답고 단정한 정도와 인성(人性)은 얼마나 비례하는가? 3) 복제본만 난무하는 무미 건조한 시대를 고발하는 시와 그에 대한 해설 가운데 어느 것이 더 사람들의 외면을 받는가? 등이다.

 

1)은 잘 모르겠고 2)는 비례 정도가 높지 않다고 생각되고 3)은 내가 해당하는 경우이니 시가 문제가 아니라 해설이 문제라고 해야겠지만 위로의 차원이든 소신을 피력하는 차원이든 다른 견해로 나를 구원해 줄 분도 계시리라 생각한다.

 

2)를 말하는 것은 최근 술자리에서 시와 인성 특히 성적(性的)인 문제로 인한 괴리를 목도한 탓이다. 이럴 때 시는 무용지용(無用之用) 차원에서 추락해 양가감정의 대상이 된다. 분명 명실상부한 시인들이 있지만 그에 미치지 못하는 시 기능인이라 할 사람들이 눈에 많이 띈다.

 

면도날에 검지를 베는 분명한 사건...손끝의 통증..”이란 구절이 있는 시를 분명한 사건이란 말에 주목해 밀란 쿤데라의 말로 해명한 나는 무응답에 심란하다. 내가 인용한 쿤데라의 말이란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는 말은 통증을 과소평가하는 지식인의 말이다. ‘나는 느낀다. 그러므로 존재한다.’는 말이야말로 훨씬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진실이다. 자아의 토대는 사유가 아니라 감정 중 가장 기초적인 감정인 고통이다...고통이야말로 자기중심주의의 위대한 학교.”라는 말이다.

 

철학과 시 사이에서 아직 갈피를 잡지 못하는 나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제 5월도 며칠 밖에 남지 않았다. 이번 달은 부암동과 그 인근을 자주 찾았다. 수성동 계곡을 비롯한 인왕산의 주요 코스도 갔고 사직단, 단군 성전 등에도 갔다. 무계원에도 갔고 라 카페 갤러리에도 갔다. 미술관들 중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한 자하(紫霞) 미술관은 아직 가지 못했다 

 

내게 부암동과 청운동은 같은 공간으로 여겨진다. 그러니 청운문학도서관에서 매주 금요일 8주 일정으로 열리는 안평(安平)’의 저자 심경호 님의 안평, 몽유도원도와 영혼의 빛강좌도 부암동에서 마련된 강좌로 보인다.(61720) 허락된 시간이 16시간이니 굉장히 빠듯할 것 같다 

 

강독회의 목차는 8개이고 책의 목차는 9개이지만 책의 8번째, 9번째 챕터가 하나로 통합되어 강독회의 목차가 되었으니 책의 목차와 강독회 목차가 일치하는 것이다. 이 강좌를 들으려면 12만원(책 값 7만원 + 등록비 5만원)이 필요하다.(빌릴 수도 있지만 메모도 하고 밑줄을 칠 수도 있는 내 책이 필요하다.) 

 

읽기 어려운 책이 아닌데 굳이 강독회에 가야 하는가, 하는 생각이 드는 한편 저자가 직접 하는 강의이니 특별한 것을 얻을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든다. 어떻든 12만원은 내게 너무 과한 지출이라는 생각이 든다. 무료 강의에 길들여진 탓일 수도 있다 

 

나는 에버러닝의 강의를 자주 듣고 서울 공공서비스 예약 사이트를 통해 답사 프로그램에 자주 참여하는데 두 곳 모두 무료 프로그램이 많다. 에버러닝 강의는 한 번으로 끝나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5회나 8회 정도의 일정으로 진행된다. 

 

'안평'28년의 시간을 들여 집필한 책이기에 유료 강의에 대한 강한 동기가 작용했을까? 어려운 책이 아니기에 강독 모임은 결국 혼자서는 읽기 귀찮고 재미 없는 책을 다이제스트식으로 흡수하는 모임이 될 것이다 

 

내 경험으로는 인문서의 경우 300 페이지 책 한 권을 읽으려면 16시간 정도가 소요되니 4(1200 페이지)이라면 64시간이 걸리는 셈이다. 일반화할 수 없지만 이번 강독 모임을 다이제스트식 흡수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강의 장소에 가기 위해 필요한 시간도 계산해야 하지만 그것은 경치 좋은 곳으로의 여행이라 할 수 있다. 청운문학도서관이니 더욱 그러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텍스터[646]번째 책이야기

만화처럼 술술 읽히는 철학 입문 / 가게야마 가츠히데

내가 몰랐던 책 책이야기 텍스터(www.texter.co.kr)
만화처럼 술술 읽히는 철학 입문 / 가게야마 가츠히데
■ 책 소개

고대 그리스 철학부터 20세기 전반의 정신분석학까지 다룬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읽고 배울 수 있는 철학 입문서!

일본 최대 입시학원 ‘요요기 세미나’의 명강사인 저자가 수험생들을 위해 알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한 강의 내용을 토대로 정리한 것으로, 평소에 어렵게만 느껴지는 철학을 누구나 다가가기 쉽게 각 철학자의 일화와 에피소드를 토대로 대화하듯이 재미있게 풀어냈다.
흔히 철학은 재미없고, 어렵고, 지루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마련이고, 철학자들의 사상을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라 생각해 왔다. 하지만 철학자들의 처절한 고민이 사실 우리가 하는 고민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저자는 말한다.
철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원동력은 알고 싶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이성적인 동물이므로 누구나 이러한 욕구를 갖고 있지만, 그럴싸한 고상한 이유가 필요하지 않다. 알고 싶다는 욕구와 약간의 과시 심리만 있으면 충분히 철학과 친해질 수 있다. 이 책은 철학을 전혀 접해본 적이 없는 사람도 즐길 수 있도록 풀어낸 것이다.

철학에 흥미는 있지만 바빠서 기회를 만들기 어려울 때, 회의 때 철학 용어가 나오면 가슴이 조마조마해질 때, 교양을 쌓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방법을 모를 때, 술자리에서 자연스러운 이야깃거리가 필요할 때 등 다양한 상황에 이 책이 도움이 되어줄 것이다.
◆ 참가방법
  1. 텍스터홈페이지에 회원가입을 먼저 해주세요.
  2. 서평단 가입 게시판에 "만화처럼 술술 읽히는 철학 입문 서평단 신청합니다"라고 써주시고 간단한 서평단 가입의도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3. 자신의 블로그에 서평단 모집 이벤트(복사, 붙여넣기)로 본 모집글을 올려주세요.
  4. 자세한 사항은 텍스터 서평단 선정 가이드를 참고하십시오.
※ 문의 : 궁금하신 점은 lovebook@texter.co.kr 메일로 주시거나 텍스터에 북스토리와 대화하기에 문의사항을 적어주시면 빠르게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청운문학도서관에서 시 낭송회가 열렸다. 상주 작가로 활약해온 유종인 시인의 강의 (장자, 조선의 그림과 마음의 앙상블, 시 창작)를 마감하는 기념 형식의 모임이었다.

감정과 성량이 풍부한 낭송인들 사이에서 나는 이은규 시인의 ‘꽃그늘에 후둑, 빗방울‘을 읽었고 일지 스님의 성철 스님 추모 글을 특별 형식으로 외웠고 장석남 시인의 ‘감꽃‘을 외웠다.

이은규 시인의 ‘꽃그늘에 후둑, 빗방울‘에 이런 구절이 있다. ˝..말을 버린 것들은 그늘로 말하려는지/ 끝내 전해지지 못한 말들이/ 명치의 그늘로만 숨어들어 맴돈다..˝

시를 읽고 나서 나는 이 구절의 존재를 깨우치지 못했던 것을 반성했다. 어제 비파, 고쟁 (古箏), 얼후 트리오 멤버로 활약하는 동기가 팀 이름을 짓느라 생각이 많았는데 내가 올린 글을 읽고 팀 이름으로 삼게 될 것 같다는 말을 했다.

내가 올린 글은 ˝화음(花陰; 꽃 나무 그늘) 아래에서 화음(和音)을 생각하기 좋은 시간입니다.˝란 글이다.

이은규 시인이 말한 그늘과 내가 꺼낸 꽂나무 그늘이란 말은 얼마나 수렴하는 것일까?

신나고 흥겨운 시 낭송회는 두 시간의 성황을 뒤로 한 채 끝이 났다. 물론 뒤풀이가 있었다.

술을 하지 못하는 나에게는 참 어려운 자리였다. 아 언제 다시 이런 모임을 갖게 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의 9급 관원들의 저자 김인호 교수의 정도전(鄭道傳) 강의(2018524일 동작평생학습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이방원과 정몽주의 관계, 정도전의 맹자(孟子)’ 탐독이다. 달리 표현하면 이방원 정몽주 관계, 정몽주 정도전 관계가 관심을 끈다는 말이 된다.

 

이방원은 정몽주를 사살한 사람이기도 하고 그를 필요에 의해 숭앙(崇仰)한 사람이기도 하다. 어제 강의뿐 아니라 대개가 그렇지만 중요한 자료들을 공개하는 데에 강사들은 별 관심이 없는 듯 하다. 이방원이 정몽주를 사살한 뒤 필요에 의해 숭앙(崇仰)했다는 내용은 어제 강의에서 나온 말이다.

 

그 내용을 더 알 수 있는 책이 있는지 묻지는 못했다. 단 강의 종료 후 정도전에 대해 일반인들이 읽으면 좋을 것이 있는지 물어 조유식의 정도전을 위한 변명이라는 답을 들었다.

 

장인용은 유가(儒家)의 이념으로 실제 혁명에 성공한 역사상 유일한 사례로 이성계와 정도전의 조선 건국을 들었다.(‘주나라와 조선참고) 정도전이 맹자를 탐독했는데 그런 그에게 맹자를 전해준 사람이 정몽주이다.

 

최연식 교수의 조선의 지식 계보학을 읽으면 이방원 정몽주 관계, 정몽주 정도전 관계를 잘 알 수 있으리라. 이 책은 고려 말, 조선 초의 지식과 (정치) 권력의 관계를 밝힌 역작이다. 조선의 기틀을 세운 정도전은 문묘(文廟)에 종사(從祀)되지 못했고 조선 개국에 반대했던 고려의 충신 정몽주는 종사되었다. 정치적 결정이다.

 

최혜영은 그리스 비극 깊이 읽기’(2018519일 출간)에서 그리스 비극에 나오는 헬렌의 위상 변화를 추적한다. 처음에 헬렌은 아주 나쁜, 창녀 같은 여성이었다가 갑자기 가장 정숙한 여신격 여성으로 위상이 바뀌었다.

 

그리스 비극은 문학 작품으로만 이해해서는 제대로 된 의미를 알 수 없고 정치적·종교적·역사적 콘텍스트에 충실해야 알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결론이다. 문제는 현실이다. 유연과 융통성 등과 관계 없는 정치를 보면 옛 그리스, 그리고 조선의 지식 계보학적 진실이 떠오르지만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현실을 보면 한숨이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