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이어트에 진심입니다 - 150cm, 88kg의 여자가 44kg을 덜어내고 얻은 것들
이지애 지음 / 더블유미디어(Wmedia) / 2021년 3월
평점 :
다이어트에 진심입니다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이지애
트렌드와 세상에 관심이 많아 패션 매거진 마케터로 오랜 기간 고군분투하며 살아온 시티 러버. 패션 매거진 마케터라면 생각나는 이미지와는 다르게 처절한 다이어트로 본 투 비 땅딸보였던 몸에선 벗어났지만 다이어터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요요와 식이 문제, 대인관계 기피, 운동중독 같은 부작용으로 피폐한 삶을 살았다. 시티 러버답게 진리 추구와 기도, 명상, 부단한 정진이 아닌 다이어트로 깨달음을 얻고 이제는 다이어트의 굴레에서 벗어나 잘 먹고 운동하는 것을 즐기는 일상을 지속하고자 노력 중이다. 아내이자 엄마지만 나를 너무나도 사랑해 오늘도 종종 거리며 산다.
블로그 BLOG.NAVER.COM/HEY_APRIL, 인스타그램 @OHSLOWDAY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여름이 곧 다가온다.
그동안 덕지덕지 붙은 살들을 패딩으로 온전히 가려보긴 했으나
이젠 빼도 박도 못하는 여름이 코 앞으로 다가올 기세로
점점 포근해지는 날씨가 반갑지 않을 때다.
건강 검진을 앞두고도 고민이 많았지만
막상 현실을 눈앞에서 마주하고
운동 부족, 근력양 부족, 부족.. 부족..
정작 부족하지 않은 체중 앞에선 야속할만큼 내 몸에 빈정이 상한다.
결과지를 붙들고 한참이나 멍하니 앉아
내일부터는 이를 악 물고 다이어트를 하리라 마음 먹지만
늘 실패의 실패를 거듭하기 일쑤.
괜히 잘못된 다이어트 방법으로 요요까지 겹치면
이건 뭐 엎친데 덮친 격이라 어떻게 손을 써야할지 막막하다.
늘 체중 때문에 진심 고민인 이들에게
이 책은 멋진 구원 투수와도 같았다.
자신의 살벌한 다이어트 기록을 낱낱이 보여줌과 동시에
현실을 자각하고 체중조절과 일상 생활과의 밸런스에 대한
고민들을 같이 공감하고 해소할 수 있는 시간을 허락한다.
뚱뚱한 외모에 관대하지 못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숨지 않고 나를 드러내기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30키로그램 체중 감량 후 달라진 점과 좋아진 걸
구지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자기 만족감안에서 자존감이 회복되는 건 굉장히 중요해보인다.
좋은 걸 먹도록 노력하고
과식하지 않고 꾸준한 운동만이 살 길이지만
이 삶이 삭막한 길이란 걸 이미 잘 알고 있다.
그 정점을 찍어본 적도 이상적인 몸무게에 도달해보지 못했으니
늘 오르지 못할 나무만 쳐다보고 간만 보다 끝낸다.
기적같은 결과를 바라는 건 요행이나 마찬가지니
나에겐 즐거움을 위한 적당한 타협이 가장 힘든 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적게 먹고 운동하는 건강한 습관 만들기.
먹는 즐거움을 조금 포기하면 다른 즐거움을 채우면 되지 않을까.
좋아하는 커피를 하루 한 잔 마신다거나
좋아하는 책을 보는 여유를 더 많이 가진다거나 하는
작은 기쁨들을 찾아가는 방법 말이다.
고전평론가인 고미숙은 <나는 누구인가>에서 걸으면 몸이 순환되면서 감정이 정화되고
어디에도 매여있지 않게 된다며 걷기가 가장 좋은 운동이니 자주 걸으라고 권한다.
걷는 것이야말로 자신을 위한 최고의 배려라고 표현했는데, 딱 내가 그랬다.
내 감정의 적정선을 유지하게 해주는 배려이자 치유제가 바로 걷기였다.
p176
하루키의 책을 보고 '걷기'에 관심을 가지고는 있었지만,
이토록 걷기를 사랑하는 이들이 많다는 것에
나또한 심심한 자극 이상으로 의욕이 불 붙는다.
무엇보다 살을 빼겠다기보다
마음에 쌓인 독소를 빼내듯이 감정을 정화한다는 부분이 마음에 든다.
사실 이 부분을 잘 배려하지 못하고 내 몸과 마음을 방치했던 것이 사실이다.
좋은 치유제를 머리로 알고 있으면서
몸으로 실천하지 못해 맛볼 수 없었으니 말이다.
오랜 다이어트 끝에 식단 조절이 다이어트의 핵심이라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다이어트의 7할은 식단, 2할이 운동, 1할은 수면이라고 생각한다.
점차 나이를 먹어가면서 식단의 비중은 8할, 9할까지도 가는 것 같다.
나는 막삭의 몸으로 매일 수영을 할 정도로 운동 성애자이지만
이는 다이어트가 목적이 아닌 활력, 즐거움, 건강을 위함이다.
p226
늘 피곤한 만성 피로를 떨쳐버리고
체력을 키워야겠다고 말로만 떠벌일 일이 아니었다.
나이가 더 들면 곡끼 역시 참 중요하다.
콜레스테롤 수치나 당뇨, 고혈압 등
신경 써야 할 부분이 많음에도 여전히 주전부리를 달고 사는 내 식성에
폭주하는 기관차의 엔진을 좀 식혀줄
건강한 야채와 채소, 과일 등을 채울 수 있도록 신경 써야 함을 더 절실히 느낀다.
아프고 나서 건강을 되찾기란
전보다도 더 힘든 노력이 필요하다.
체중감량이을 목표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그보다 더 본질적인 것에 초점을 옮기게 된다.
건강을 위해 좋은 걸 먹고 운동을 하는 건
나를 위한 배려란 점에서 생각해 볼 문제다.
솔직 담백하게 자신의 경험담을 찬찬히 풀어간
한 다이어터의 진실된 마음이 이 책 안에 충분히 전해져 있기에
조금 더 나를 위한 내 몸 관리에 힘써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