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재교육의 비밀은 심리게임 스킬이다
칼 비테 지음, 뉴트랜스레이션 옮김 / 다상출판 / 201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영재교육의 비밀은 심리 게임 스킬이다
- 작가
- 칼 비테
- 출판
- 다상출판
- 발매
- 2015.12.17.
- 평점
리뷰보기
영재교육의 비밀은 심리 게임 스킬이다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칼 비테
저자 칼 비테(KARL WITTE, 1748~1831)는 19세기 독일의 유명한 천재였던 칼 비테 주니어(1800~1883)의 아버지이자 목사이다. 그는 미숙아로 태어난 아들을 영재로 키워보기로 결심하고 일찌감치 심리 게임 스킬을 기반으로 한 영재교육을 실행한다.
칼 비테 주니어는 아버지의 철저한 교육 프로그램에 의해 8세 무렵 6개 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은 물론이고 문학, 역사, 수학, 지리, 생물 등에서도 천재적 재능을 보여 10세 때 최연소로 라이프치히 대학 입학 허가서를 받는다. 13세에 기센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고, 16세에 하이텔베르크 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곧바로 베를린대학 법학부 교수로 임명되었다.
칼 비테는 1818년 자신의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아들 칼 비테 주니어를 영재로 키운 경험을 녹여 『칼 비테의 교육 THE EDUCATION OF KARL WITTE』을 출간했다. 이 책은 조기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론서로서 지난 200년 동안 영재교육의 경전으로 불리며, 자녀교육의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았다.
역자 : 뉴트랜스레이션 (편역)
역자 뉴트랜스레이션은 세계적 명성을 자랑하는 고전을 재번역·편집하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다. 아름다운 우리말의 운율과 품격을 최대한 살려 독서의 매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심리 게임 스킬이라는게 어떤 방법인지 사실 궁금했다.
모든 부모들이 고민이기도 한 아이들의 창의성을 개발 시키는데
어떤 점에서 도울 수 있을지 나또한 고민한다.
학습적인 부분도 게임 스킬이라는 것으로 연관시켜
흥미를 불어일으키는 심리 게임 스킬이
굉장히 효과가 있음을 이 책에선 말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놀이를 통한 학습이 가장 아이들에게 받아들이기 쉬우며
놀이에 빠져들어 이걸 학습이란 생각을 구지 하지 않더라도
여러 스킬을 배울 수 있다는 게 참 흥미롭다.
큰 아이에게 가끔 하는 질문이 공부를 하는 목적이 무엇이냐는 것이다.
그럴때면 망설이며 주춤거리는 모습을 보게 된다.
많은 아이들이 공부의 목적없이 공부를 한다.
'아는 것이 힘'이라는 걸 문자로만 인식할 뿐
마음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진짜 공부를 하고 있지 못한 것일지도 모른다.
문학, 예술,음악, 철학은 인류 지혜의 결정체야.
독서를 통해 우리는 주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기르며,
그림을 감상함으로써 우리는 새로운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어.
또한 음악을 통해 영적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고,
철학을 공부함으로써 '나'라는 존재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가치있는 삶인지 알게 돼.
- 책 중에서 -
방학동안 쓸데없이 시간 낭비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이에게도 시간 관리에 중요성을 이따금 이야기 한다.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버리는 시간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나또한도 알게 되었기에
새해에는 좀 더 시관 관리에 신경을 쓰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그렇듯 아까운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를 아이에게 권하고
책에서는 공부와 놀이를 엄격히 구분하라고 한다.
이것이 필요하겠다란 생각이 드는 건
공부를 놀이하듯이 하면 좋겠다란 생각에서
실제로 아이와 그렇게 학습한 적이 있는데
너무 많은 시간동안 아이와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기분이 들었기에
뭔가 구분이 필요함에 공감한다.
또 한가지..
아이에게 독립심을 기르는 습관이 필요하겠다란 생각이
근래 들어서 더 크게 다가왔다.
사실 엄마가 없으면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그리 많지 않겠다란 생각에
집안일도 조금씩 아이에게 노출해 줄 필요가 있겠다란 생각에
홀로 설 수 있는 기회를 열어주려 한다.
의존성은 잠복해 있는 질병과도 같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에게 독립심을 키워줘야 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아이가 잘못되는 것이
두려워 아이를 자신이 설계한 공간에 가두려 한다.
이들은 자녀가 결정해야 할 몫을 도맡아 결정하는가 하면
아이에게서 재능을 단련한 기회를 빼앗아 지속적으로 부모에게 의지하게 하는 악순환이 되풀이된다.
- 책 중에서 -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고
지금 아이와 나에게 가장 필요한 습관이기도 하다.
조금 더 큰 내 아이의 모습을 상상해 보았다.
모든 걸 다 해주고 멀리서 지켜보지 못하고 있는 불안한 부모와
부모의 그늘 아래서 아무것도 혼자 결정하고 해나갈 수 없는 아이..
생각만으로도 정말 끔찍한 일이 벌어질 것만 같다.
지금 내 아이를 온실 속 화초처럼
내 안에 품고 키우려 했던 모든 걸 조금씩 내려놓는 연습이 필요할 것이다.
나에게 꼭 짚어서 알려주는 여러 교육법들이
하나 둘 우리의 삶에 적용해서 나타날 수 있길
부모인 내가 더 노력해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