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움직임의 뇌과학 - 움직임은 어떻게 스트레스, 우울, 불안의 해답이 되는가
캐럴라인 윌리엄스 지음, 이영래 옮김 / 갤리온 / 2021년 12월
평점 :
움직임의 뇌과학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캐럴라인 윌리엄스
영국의 과학 저널리스트이자 에디터. 엑서터대학교에서 생물학 학사 학위를,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에서 과학 커뮤니케이션 석사 학위를 받았다. 〈뉴 사이언티스트〉에 정기적으로 과학 칼럼을 기고하며 BBC 라디오 제작자, 〈뉴 사이언티스트〉 팟캐스트의 공동 진행자로 일했다. 전작으로는 신경가소성을 주제로 뇌의 능력을 탐구한 『나의 말랑한 뇌』가 있다. 새롭고 흥미로운 과학적 사실을 더 많은 사람에게 공유하는 일에 보람을 느낀다.
역자 : 이영래
이화여자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고 리츠칼튼 서울에서 리셉셔니스트로, 이수그룹 비서 팀에서 비서로 근무했으며, 현재 번역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사업을 한다는 것』 『당신의 의사도 모르는 11가지 약의 비밀』 『넥스트 아프리카』 『코드 경제학』 『플랜트 패러독스』 『알리바바』 『플씽크 어게인』 『시간 전쟁』 『고독한 나에게』 『부의 심리학』 『씽크 어게인』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불안과 우울증, 정신 건강의 약화가
근력과 상관이 있다고 하면 몸을 움직여 보겠는가.
집순이라서 정적인 생활 습관이 편하다는 이유로
여전히 집밖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저질 체력과
병약한 모습으로 별 탈 없이 지나고 있는 지금까지의 나를 보면 참 용하다는 생각마저 든다.
이 책은 어떤 목적을 가지고 다이어트를 하겠다는 동기보다도
더 현실적인 직언으로 담담하게 이야기해주고 있다.
움직이라고!
좀 더 걷고 뛰라고!
적당히 살살 달래서 좀 더 쉬겠노라 이런저런 핑계와 타협으로
좀 더 앉아 누워 쉬던 나를 움직이는 사람으로 살게끔 임무를 완수할 수 있을지 나조차도 떨렸다.
차세대 다윈이 될 사람들이 대부분 시간을 코앞의 스크린을 응시하면서 앉아서만 보낸다면,
자신의 사고 깊숙한 곳까지 헤아리기가 힘들지 않을까.
발걸음을 심장박동과 일치시킬 때 기분이 고조되는 효과, 뼈에서 유래되는 호르몬의 기억을 보호하는 힘,
공간을 헤치고 앞으로 나아가는 움직임이 주는 혜택을 생각해보자.
생각이 필요할 때 조용히 앉아 있는 것이 과연 어떤 도움이 될까.
p67
책상생활자로 오래 지내오고 있는 나의 습성을 생각해본다.
대부분의 사색이 앉아 있는 때에 일어나고
읽고 쓰는 형태의 모습도 그러하다.
몸을 움직이는 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는 건
집중력에 있어서 떨어지지 않을까 싶지만 아니었다.
나에게도 이같은 경험이 있다.
오랫동안 걷거나 달리다보면 문제에서 떨어져 분리되어
맑아져있다는 걸 느낀다.
삶에서 많은 문제들을 극복하려 애를 쓰고 앉아있다가도
움직이는 감각에 집중하다보면
나쁜 일로부터 멀어져있게 만든다.
정말 우울할 때 의지에 묶여있기보다
밖을 나가 움직이는게 항우울제의 효과를 톡톡히 본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면 좀 걸어보겠는가.
코어 근육 단련은 최소한 자세를 좋게 만들 것이고,
바른 자세는 기분과 인지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친다.
삶의 질을 높이는 여러 측면의 기반이 되는 신체 영역을 단련하는게 해가 될 리는 없다.
요가를 하든 춤을 추든 걷든 체육관에서 등을 대고 눕든, 코어를 단단하게 만들어라.
p155
근력 부족, 유연성 제로.
나에게 따라붙는 또다른 꼬리표들.
움직이는 것에 있어서는 정말 꽝이라는 말인데
맘먹고 배워보겠다고 선전포고했던 필라테스 2회 수업에 덕다운 되고 말았다.
만만하게 보고 접근했건만 역시나 부족한 코어 근육을
단시간에 단련시키기는 역부족인 약체를 따고 났나보다.
무리한 운동은 아니지만
바른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정말 쉽지 않았다.
호흡을 움직임과 연결하고 신체활동과 연결되는 근육을 강화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운동인데
이마저도 나는 초반에 힘들다는 이유로 줄행랑치고 나왔다.
지금까지도 하고 있는 큰아이를 보면
단단해지는 코어와 유연성, 특히나 바른 자세로 교정된 모습이 부럽기만하다.
정신과 신체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면
근육을 강화함으로써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고
서로의 상호작용을 분리되어 생각할 순 없어보인다.
일상의 습관을 조금만 바꿔도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는 건
내가 얼마나 움직일 준비가 되어 있느냐에 달렸다.
안락한 소파에 기대어 책을 읽는 것도 좋지만
지금 나에겐 신선한 공기를 마시고
가볍게 움직이며 걷기 시작하는 신체활동이 더 필요할 것만 같다.
귀찮아도 환복하고 나가 걷고 와야겠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