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력이 완성되는 초등 독서의 힘 - 제대로 된 책 읽기가 평생 공부 습관을 잡는다
오선균 지음 / 황금부엉이 / 2021년 8월
평점 :
공부력이 완성되는 초등 독서의 힘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오선균
독서 교육, 자기주도학습 교육자로 대학에서 국문학을 전공하고, 중학교에서 국어교사로 지냈다. 강남에서 독서논술 센터와 자기주도학습 센터를 운영하며 30년 가까이 국어, 독서지도, 자기주도학습, 멘토링, 한우리 독서 운동본부 교재 집필 등 초등학생부터 중·고등학생, 학부모까지 가르치는 폭넓은 경험을 했다.
일로 바쁜 엄마로 살다 보니 강남의 여느 엄마들과 달리 정작 아이의 입시에는 많은 신경을 써주지 못했지만, 두 아들은 스스로 공부하여 명문대에 입학하는 기쁨을 부모에게 선사했다. 입시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아들들은 부모의 굳건한 믿음 덕분이라고 하고 엄마는 어려서부터 형성된 독서 습관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공부하라고 잔소리하고 감시한다고 해서 아이가 대학 입시라는 긴 여정을 지나 원하는 대학에 입학하는 게 아니라는 것을 엄마들은 하루빨리 알아야 한다. 시험 볼 때마다 힘들어하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를 포기하게 되는 아이는 근본적으로 공부체력이 약하다. 그래서 독서를 통해 이해력과 사고력을 기르고, 공부체력을 높이며, 동기부여를 얻을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12년 연계성을 가지고 독서하는 방법과 엄마의 역할을 명확히 제시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아이 교육에 있어서 독서에 가장 관심과 비중을 많이 두고 있다.
코로나 시대에 집콕 시간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집에서 책을 읽게 되는 시간도 늘게 되었다.
전보다 더 자주 더 많이 책을 읽으며
가족들과 독서로 채워가는 시간이 많아진다는 것에
행복감을 느끼기도 하는 아이러니함을 맛보는 시간이기도 했다.
전보다 더 관심이 깊어진 독서 교육에 대해
좀 더 올바른 지도법과 아이에게 필요와 목적을
더 상기시키며 책을 읽기 위한 좋은 지침서를 만나게 되서 좋았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전반적인 책읽기의 필요와
독해력의 기술과 활용에 대해
앞으로 더 많은 시간을 책상 앞에서 보내게 될 두 아이에게
책이 줄 수 있는 선물같은 시간을 제대로 느끼고 체득할 수 있길 바라는 마음에
엄마인 내가 꼼꼼하게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다.
'문해력이 공부력이다'
요즘 가장 많이 듣는 말이다.
교육으로 접근하면 아이들도 금방 눈치채고
재미로 다가와 거부감을 느낀다.
시험을 좌우 할 정도로 문제 파악 능력이나
이해력을 높이기 위한 독서의 접근이
좋은 필살기처럼 보일지라도 아이가 흥미없어 하면
좋은 책읽기의 접근으로 보여지진 않는다.
물론 문해력을 바탕으로 한 자기주도학습이
굉장히 중요한 학습 능력이 된다는 건 잘 알고 있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으로 정독을 권하기도 하는데
이 역시 나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다.
학습에 더할 나위 없는 능력이 문해력이라 하니
아이에게 좋은 습관이 몸에 베이기 위해
책읽는 습관을 잘 길러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보인다.
너무 학습에 관점을 가지기보다
먼저 아이와 흥미와 재미로 다가갈 수 있어야 하고
독서는 반드시 그래야 한다는 것을 염두해야 할 것이다.
지금은 평생 교육 시대라 독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는 삶과 배움에서 기본이 되는 중요한 능력이자 소통 도구다.
듣기와 읽기는 받아들이는 능력이고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하는 능력이다.
이것은 서로 유기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p164
4차 산업 시대에 요구되는 능력 중
독서 능력이 좋은 경쟁력이 될 것이 분명해 보인다.
단순한 암기 학습에서 벗어나
다각도로 생각하고 접근하는 통합적인 사고력을 발달시키기에
책만한 것이 없다란 생각이 더더욱 든다.
학년이 늘어날 수록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하니
초등학교 시절에 책읽는 시간이
정말 좋은 시간이 될 것임에 틀림없기에
이 시간동안 역사, 과학, 지리 등 교과 연계는 물론이고
자신이 관심있어 하는 분야의 책들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
아이 혼자 뿐 아니라 가족 모두가
책을 읽으며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그런 시간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배제할 수 없기에
공부의 기본이 되는 독서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책 읽기를 더 없이 즐길 수 있는 시간이 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