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이어트는 왜 우리를 살찌게 하는가 - 뇌과학이 풀어낸 체중 감량에 숨겨진 비밀
샌드라 아모트 지음, 장혜인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1년 6월
평점 :
다이어트는 왜 우리를 살찌게 하는가

이 책을 살펴보기 전에..
저자 : 샌드라 아모트
SANDRA AAMODT
신경과학자, 그리고 세계적인 신경과학전문지 《네이처 뉴로 사이언스》의 전 편집장이자 과학 칼럼니스트.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생물물리학 학위를 수료했고 예일대학교에서 신경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비만, 불면, 우울 등 현대인이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문제를 뇌과학과 연결 지어 명쾌한 솔루션을 제시하는 그녀의 통찰은 의학계는 물론 대중 사이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고, 현재 뇌과학 발전을 이끄는 선두주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어린 시절 저자는 표준 체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살 좀 빼라”라는 핀잔을 들은 뒤로 성장 과정 내내 다이어트 강박에 시달렸다. 몇 년 뒤 대학에서 뇌과학을 전공한 그녀가 가장 우선으로 한 일은 바로 체중 감량과 증가 사이의 비밀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수백 편의 관련 서적과 수천 편의 논문을 섭렵하고, 수년간의 노력 끝에 마침내 저자는 다이어트는 인간의 의지가 아닌 뇌에 달려 있음을 밝혀냈다. 이를 주제로 한 TED 강연 ‘우리가 항상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WHY DIETING DOESN’T USUALLY WORK)’는 조회수가 거의 500만에 달하며 전 세계 수많은 다이어터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고, 강연에서 미처 이야기하지 못한 사실과 연구 등을 담아 이 책을 완성했다.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더 타임스》 등에 칼럼을 기고하였으며 책 『아이두뇌백과(WELCOME TO YOUR CHILD’S BRAIN)』, 『똑똑한 뇌 사용설명서(WELCOME TO YOUR BRAIN)』를 썼다.
역자 : 장혜인
서울대학교 약학대학과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제약회사 연구원 및 약사로 일했다. 글밥아카데미 수료 후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푸드 사이언스 150』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건강에세이
#다이어트는왜우리를살찌게하는가
뇌과학으로 풀어지는 다이어트의 비밀.
그 숨겨진 이야기 속에서
체중 감량의 집착이 오히려 살을 찌는 습관을 부른다는
현실을 부정할 수 없었으며
뇌과학의 메커니즘에 다시 한번 놀랐다.
그동안의 다이어트와 반복되는 요요를 경험하면서
이젠 포기할 법도 하지만 또 다시 사투중이다.
뇌의 시스템을 알고나서는 이를 경계하게 된다.
그 숨겨진 비밀을 책 속에서 파헤쳐보자.
우리는 체중 조절이 좋은 생각이라고 여기지만,
뇌는 이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다.
180킬로그램이었던 사람이 굶주림 실험 참가자들처럼 체중의 25퍼센트에 해당하는
45킬로그래을 빼면, 뇌는 실험 참가자에게 작동했던 것과 똑같은 방식으로 생리 기능을 조절한다.
죽을 만큼 굶어 체중을 엄청나게 감량한 사람들은 대부분 데니스처럼 강렬한 식욕을 느꼈다.
p52
식이제한을 하면 할수록 더 배고픔을 느낀다.
당장 살을 빼겠다고 마음 먹으면
운동도 운동이지만 음식을 제한한다.
굶주림은 다이어트를 돕기는 커녕
다시 체중 증가를 초래하는 비극의 연속인 셈이다.
몇 일동안은 가능할지 몰라도 넘치는 식욕을 억제하다보면
나중에 한순간 고삐를 푼 상태가 되면
심한 폭식으로 이어지니 매순간 좌절되는 경험이 한번쯤은 있을 것이다.
다이어트라는 선언과 동시에
뇌는 즉각적으로 다가올 배고픔에 대비하듯 생리 기능을 조절한다.
실패할게 뻔한 다이어트를 왜 매번 반복하면서
처참한 결과를 맞딱뜨리며 불행하게 살아가는지 모르겠다.
날씬해야 하는 압벅이 주는 스트레스와
감량한 체중을 유지하는 일은 더 어렵다.
스트레스 호르몬이 늘어나면 스트레스 연쇄반응이 활성화된다고 한다.
이 결과 비만과 당뇨가 더 초래될 수 있다는 걸 보면
내 몸의 에너지 균형 시스템이라는 것에 통제권을 넘겨주면 좀 어떨까 싶다.
배고픔에 늘 고통을 받고 숨이 차도록 운동하지만
결국은 뇌가 다시 승리할게 뻔한 걸 알게 된다면
이 끊을 수 없을 것만 같은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야 하지 않을까.
폭식과 체증증가가 또다시 반복되면
이전보다 더 의욕이 저하된다.
반복되는 다이어트의 시도와 실패를 경험한 이들이라면
좀 더 책 속의 메시지를 주목하며 읽길 바란다.
배고픔이 늘어나고 신진대사가 저하되면
심리적 고통만 더해지지 결국은 체중조절에 실패하게 될 확률이 높다.
다이어트로 얻게 되는 스트레스는
체중 증가로 이어지는 웃픈 현실을 이제야 자각하게 된다.
마음챙김 식사의 본질은 무엇을 먹을지 의식적으로 선택하는 행위다.
마음챙김 식사의 핵심은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지 않는 규칙이나
습관, 외부 자극을 통제하지 않고 내버려 두는 것이 아니라,
우리 몸의 묘구를 우리의 가치와 일치시키는 것이다.
p202-203
나의 식사법에 대한 고찰이
마음챙김 식사의 필요와 방법을 보면서 좀 자극을 얻게 되었다.
뇌는 이미 얼마나 먹어야 하는지 알고 있고
뇌의 에너지 균형 시스템을 따르는 것에 수용과 집중을 기르는 연습이 필요함을 느낀다.
이것 또한 훈련이 필요하고 단시간에 습관화되지 않는다.
마음 챙김도 연습하면 할수록 더 능통하게 된다고 하니
마음챙김을 수련하고 몸의 신호를 받아들이려 해보자.
건강을 위해 운동하고
건강한 습관이 체중보다 더 우위에 있음을 명심하자.
너무 다이어트에 목표를 두고
과도한 음식 제한과 운동량을 늘리면서
쌓여가는 스트레스를 억누르고 있으면 결국은 악순환을 끊어버리지 못함을 알아야 한다.
이런 폐해를 나또한 여러번 경험한 바가 있어
더 이 책의 조언을 수용적으로 받아들여보고 싶다.
다이어트와의 전쟁을 이젠 좀 그만 끝내고도 싶다.
이를 포기하고 천천히 새로운 습관을 하나씩 익혀가고
내 몸이 즐거워지는 식습관과 운동을 따라하다보면
건강을 회복하고 유지해 나갈 수 있다는 것에 좀 더 집중해보고 싶다.
뇌과학에 숨겨진 다이어트의 숨겨진 비밀과 진실을
제대로 살펴보며 지금도 다이어트 선언을 하고 좌절하고 있는 이들이라면
이또한 내려놓고 뇌의 메커니즘을 유심히 살펴보자.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