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처럼 미쳐가는 세계 - 그들은 맥도날드만이 아니라 우울증도 팔았다
에단 와터스 지음, 김한영 옮김 / 아카이브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1. 이 책을 발견하고 집어드는 순간 두 가지 상념이 송곳처럼 파고들었습니다. 아, 나를 피고로 소환하는 책이구나! 하는 섬찍함. 다른 하나는 이런 고발조차 그들이 하는구나! 하는 슬픔.   

2. 목하 지구 문명의 모든 분야에서 미국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전혀! 우리 모두 아다시피! 심지어 각각의 생태문화 공동체에서 '전통'으로 보존해 온 것조차 그렇습니다. 한의사인 저 역시 그들의 의학과 마주선 전선에서 수 없이 그런 상황을 맞습니다. 그나마 이것만은 그들한테서 지켜내야 한다, 이렇게 생각하는 분야이지만 당최 싸움이 되지 않는 판입니다. 미국식 보건의료체계를 국민보건의료체계로 굳건히 세운 우리나라에서 한의학은 의학이라기보다 그나마 마지못해 인정해주는 대체의료 방식, 그것도 민간요법-비과학적인(!)-정도로 취급 당하고 있으니 말입니다.  

물론 어느 의학도 그 자체로 보편의학일 수 없는 만큼, 인간생명이 지니는 보편성에 터 잡으면 일정 정도의 보편성을 띠게 마련입니다. 따라서 미국 중심의 서양의학도 받아들여서 좋은 것은 받아들이는 게 맞습니다. 다만 권력과 자본의 역학관계가 작용하여 폭력적으로, 일방적으로 점령해 들어오는  현실은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큰 해악, 아니 재앙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문제 삼아야만 하는 것이지요.  더군다나 의학적 문제는 생명을 직접 다루는 문제이므로 그 어떤 분야보다 날카롭고 힘 있게 대응해야 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오히려 더 둔하고 무기력하게 반응합니다. 아마 어쩌면 우리 무의식에까지 식민지적 삶의 틀이 배어 들어간 까닭인지도 모릅니다. 서양의학, 특히 미국의학이라면 무조건 보편성을 부여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번역과 흉내내기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아마 이런 현상은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될 것입니다. 미국에 유학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우리사회의 지배 엘리트이고 보면 당연한 일일 테지요. 변방의 작은 나라에서 참으로 답답하고 슬픈 세월을 살고 있는 겁니다, 우리, 시방! 

3. 저자는 서론에서 이렇게 자기고발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미국인들은 정신질환에 대한 우리의 생각을 열심히 수출해 왔다. 우리의 정의와 치료법은 국제 표준이 되었다.....세계의 다른 지역에 우리의 사고방식을 가르치는 과정에서, 우리는.....세계가 미쳐가는 방식을 균일화하고 말았다."(6-7쪽) 

저자의 이 말에서 주목할 단어는 두 개의 동사입니다. 하나는 "수출하다"이고 다른 하나는 "가르치다"입니다. 바로 이 두 단어가 사태의 본질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책에는 거식증,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정신분열병, 그리고 우울증을 어떻게 미국이 다른 나라에 "팔아서" 천문학적 이익을 챙겼는지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사실 이런 말을 들을 때 미국인도 불쾌할 수 있고 해당 "수입" 국가 사람들도 불쾌할 수 있습니다. 아니, 다른 것도 아니고 정신질환을 팔고 사다니? 이는 근본적으로 인간의 생명, 특히 정신으로서 생명을 놓고 거래를 했다는 말이 아닌가? 하지만 미국인들이 어떻게 돈으로 관련 분야의 사람을 매수했는지, 어떻게 과학적 담론을 왜곡하여 돈과 연결했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진실을 알고나면 참으로 허망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지고 보면 말이 "수출"이지 속여 파는사기요, 위협해 파는공갈이라 해야 합니다. 

"가르치다"는 표현에서 드러나는 진실은 더욱 우리를 씁쓸하게 합니다. 그들은 무지하고 몽매한 미국 밖의 인류에게 자신들이 터득한 불변적이고 보편적인 과학을 계몽한다는 신념과 사명감으로 무장하고 각지로 퍼져나갔다는 말이기 때문이지요. 그야말로 '봉사'요 '공헌'이 아닐 수 없으니 이 무슨 웃지 못할 희극이란 말입니까. 이런 자아도취적 윤리의식이므로 아무런 반성도 없이, 거침 없이, 자본과 야합할 수 있었겠지요. 이 야합의 순간, 희극은 비극이 되고 마는 것입니다. 그들이야 그렇다 치고, 아! 하다 하다, 인제는 정신병까지 수입해다가, 그 것 치료한다는 화학품까지 수입해다가, 먹고, 일제히 미쳐가다니, 우리, 어쩌다, 이렇게까지....... 망연자실. 허탈무인지경. 

과학이든, 의학이든, 문화든, 종교든.....모든 것은 그 때 그 곳에서 일어나고 스러지는 무상(無常)한 사건일 뿐이거늘, 서양, 특히 미국 사람들은 자기 것이 항상불변 보편타당하다 굳게 믿으니 이는 아마도 자기문명의 우월성에 기댄 자기기만일 터인데, 그밖 사람들조차 덩달아 끌려가서 인류를 멸절의 구렁텅이로 밀어넣고 있습니다. 이게 피할 수 없는 길이라면 인류의 운명이 아닐런지요. 자승자박으로 파멸해가는....... 

4. 저는 우울증을 한국적인 상담과 한약으로 치료하는 일에 혼신의 힘을 쏟고 있는 사람입니다. 두 달 전 쯤에 펴낸 책 <안녕, 우울증>에서 저는 미국식, 즉 DSM식 우울증 개념을 비판하고, 한국인에게는 화병(火病)이란 고유생태적 개념이 이미 있으며, 치료법 또한 고유생태적 방식이 있음을 말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우울증 역시 인간의 삶의 한가운데서 일어난 사건이기 때문에 개인 차원, 특히 뇌신경 조절로 해결할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분명히 했습니다. 저의 문제의식을 다시 소환하여 이 책 속으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저자는 제4장 우울증을 팝니다, 에서 이렇게 말합니다. 

"사실 세계적으로 볼 때 문화적 특이성이 가장 높은 것이 서양의 우울증 개념, 특히 우울증의 미국적인 형태다.....미국인들은 고통스런 감정과 느낌들을 낯선 사람에게 기꺼이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성향과, 심리적인 고통을 의료문제로 보는 성향을 동시에 가진 유일한 국민이라......."(250쪽) 

이 말에는 매우  중요한  논점이 함축되어 있습니다. 정신적 고통을 개인이 지닌 병리적 속성으로 명사화하는 것과 다시 그것을 사물화하는 태도는, 미국인이 지닌 근본적인 세계관에 젖줄을 대고 있습니다. 인간을 독립적 개별자로 파악하는 관점이 병도 그렇게 보도록 이끌었습니다. 그리고 자기라는 홀로주체 앞에 놓인 모든 객체는 사물로서 대상일 뿐이라는 싸늘한 관계 인식이 병도 그렇게 파악하도록 이끌었습니다. 요컨대 정신질환은 한 개인이 지닌 사물적 속성이므로 각자 자기계발이나 화학약품을 통해 제거하면 된다, 이런 태도입니다. 

서양, 특히 미국 이외 다른 전통을 지닌 사회에서 생각하는 것과 사뭇 다릅니다. 대개 그런 전통 사회에서, 정신적 고통은 삶의 공동체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습니다. 정신이란 삶의 제 조건과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과정 그 자체이므로 한 사람의 불변하는 속성이 아니고, 늘 달라지는 공동체적 이야기의 일부입니다. 따라서 삶을 나누지 않은 낯선 사람한테라도 아무 거리낌없이 드러낼 수 있는, 달리 말하면 내다 팔 수 있는 물건 같은 게 아니지요. 삶의 공동체 안에서, 그 연속성에 터 잡아, 해결해 나아가는 "이야기로서 고통"인 것입니다. 홀로 수행하는 자기계발로도, 더군다나 뇌신경 조절하는 화학약품으로 해결할 문제가 아닌 것입니다. 

그러나 미국은 정신질환에서 각각의 생태공동체 문화의 고유한 이야기를 깡그리 갈아엎고, 오직 DSM 기준 단일 대오로  재구성해버렸습니다. 더 나아가 이 기준에 맞춤한 환자를 양산해내고, 다시 그들이 의존해야 할 단일 내용의 자기 계발서를 양산해내고, 그들이 먹고 병을 제거해야 할 단일화한 화학약품을 양산해냄으로써 최고로 진화한 자기구성적 독점시장을 만들었습니다. 저자는 서론에서 이미 결론에 갈음하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서로 다른 정신병 개념과 다양한 치료법이 사라지는 현상에 대해, 우리는 생물학적 다양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대할 때처럼 심각하게 걱정해야 한다. 치유법들 그리고 정신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에 대한 문화 고유의 믿음들은 멸종해가는 동식물처럼 한 번 사라지면 다시는 우리 곁에 돌아오지 않는다. 그런 동식물처럼 정신에 대한 이해의 다양성도 우리가 그 진정한 가치를 이해하기 전에 사라질 수 있다. 생물학자들의 말에 따르면, 열대우림의 무성하고 다활기찬 생물의 다양성 안에는 언젠가 현대 전염병들을 치료할 수 있는 화합물들이 존재한다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정신건강과 질환에 대한 문화적 이해의 다양성 안에는 우리가 절대로 잃어버려서는 안 되는 지식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다양성을 지우면 우리 자신이 위험해진다."(13쪽)  

그렇습니다. 그러나 이 고발과 경고를 듣고자 하는 이가 얼마나 있겠습니까. 이미 뇌라는 장기(臟器)(!)를 다루는 내과의사가 되어버린 자신을 아는지 모르는지, 이 땅의 신경정신과 의사들은 '아니면 말고' 식으로 화학약품 던지기에 바쁘고, 정신적 고통 안은 사람들조차 대부분 서양, 아니 미국의학을 진리처럼, 종교처럼 믿고 의지하니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5. 여기서, 문득! 한 생각을 돌이켜 봅니다. 저자의 투명한 자기고발, 청교도적 반성이 마냥 장점이지만은 않다는 진실에 귀를 기울여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기고발의 특성상 한 쪽으로 치우칠 수밖에 없는 면을  냉정하게 짚어내야 한다는 말이지요. 

서양, 특히 미국이 지나치게 "높은 감정표현" 사회이어서 생겨난 폐단이 정신질환과 그 치료에도 투영되고 있다는 것은 누가 들어도 수긍이 가는 말입니다. 하지만 그 반대로 지나치게 "낮은 감정표현" 사회에서 생길 수밖에 없는 폐단 또한 있을 것입니다. 뭐, 멀리 갈 것도 없지요. 우리는 과거 수백 년 동안 유교 가부장적 사회에서 살았습니다. 이 문화는 감정 표현을 극도로 억제하는  전통을 만들었습니다. 특히 여성들에게는 가혹하리만큼 억압적이었지요.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빚어진 한국형 우울증이 앞서 말씀드린 화병(火病)입니다. 그러니까 지나치게 "높은 감정표현" 사회가 우울증을 개별화하고 사물화한 폐단이 있는 바로 그만큼, 지나치게 "낮은 감정표현" 사회가 우울증을 공동체 윤리 문제나 정신력 문제로 몰아붙여 치료와 돌봄의 대상에서 소외시킨 폐단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무시하고 야단치는 대상에서 화학약품으로라도(!) 치료를 받는, 그나마라도 관심의 대상이 되게 하는 게 낫지 않겠습니까. 윤리적으로 잘못되거나 나쁜 게 아니고, 아픈 것입니다, 그러니 치료를 받게 해주세요, 이런 논리거든요.  

이 정도라면 사실은 미국적 개념에 일종의 해방적 요소가 없지 않습니다. 공동체 윤리에 매몰되었던 개인 감정을 드러내어 말하고, 배려와 치료를 당당히 요구하는 것은, 분명히 이른바 근대적 각성이라는 측면을 지니고 있습니다. 서양의 근대가 종교적 억압으로 상징되는 중세에 대한 저항과 혁명이었듯, 그악한 송시열적, 마초적 성리학 체제에 대한 저항과 혁명으로서 우울증, 아니 화병을 개별적 화두로 드는 것은 필요성 백만 제곱 아니던가요. 말하자면 이것은 진실을 밝히기 위한 부정(否正)이며 뒤집기입니다. 폴 리쾨르 식으로 말하자면 la 1ère naïvetè(제1 소박/긍정성)의 단계를 극복하기 위한 la critique(부정/비판)인 것이지요. 물론 여기가 답은 아닙니다. 미국은 바로 여기를 절대화했다는 점에서 실수한 것이지요. 

답은 la 2nde naïvetè(제2 소박/긍정성)입니다. 부정을 거친, 그것을 품은, 그래서 한 차원 높아진 naïvetè입니다. 개인적 각성이 공동체성과 다만 충돌-분리만 하는 게 아니고, 대립하면서도 순간 순간 결속하고, 결속하면서도 순간 순간 대립하는 역설 관계에 놓이는 것입니다. 부정(不定)입니다. 이것을 제 책에서는 원효 사상으로 드러내어 화쟁(和諍)-무애(無碍)라고 하였지요.  

우울증을 앓지 않는 개인이 있습니다. 우울증을 앓는 개인이, 분명히, 있습니다. 그들 개인은 서로 다른, 경계가 분명히 지워지는 독립 존재입니다. 그러나 우울증을 앓는 개인의 내면 풍경에는 반드시 우울증을 앓지 않는 사람, 그리고 그들과의 관계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울증 치료는 궁극적으로 우울증을 앓는 사람만의 문제로 개별화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학약품으로 안 되는 것입니다. 참된 의미의 상담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 상담은 결국 관계의 문제, 공동체의 문제, 정치경제학의 문제, 문명의 문제를 소환합니다. 상담, 대화는 각성을 거친 개인이 빚어내는 새로운 공동체의 출발입니다. 미국과 미국 아닌 세계, 모두가 날카롭게 깨달아아야 할 문제입니다. 이 책의 저자가 아직 여기까지 오지는 못햇습니다.

6. 그러나, 이 책, 야무지고 맑은 자기고발만으로도 충분히 대견스럽습니다. 더 구체적이고 차원 높은 이야기와 대안은 우리 몫으로 남겨두어야 덜 부끄럽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제31장 본문입니다.  

 

唯天下至聖 爲能聰明睿知 足以有臨也 寬裕溫柔 足以有容也 發强剛毅 足以有執也 齊莊中正 足以有敬也 文理密察 足以有別也 薄博淵泉 而時出之. 薄博如天 淵泉如淵 見而民莫不敬 言而民莫不信 行而民莫不說. 是以 聲名 洋溢乎中國 施及蠻貊. 舟車所至 人力所通 天之所覆 地之所載 日月所照 霜露所隊 凡有血氣者莫不尊親 故 曰配天.  

 

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인만이 총명예지하여 임(臨)함이 있을 수 있고 관유온유하여 용납함이 있을 수 있고 발강강의하여 잡아줌이 있을 수 있으며 제장중정하여 공경함이 있을 수 있고 문리밀찰하여 분별함이 있을 수 있으니 두루 넓고 깊게 근원하여 때에 알맞게 나타난다. 두루 넓음은 하늘과 같고 깊이 근원함은 못과 같다. 나타나면 백성이 공경하지 아니함이 없고 말을 하면 백성이 믿지 아니함이 없고 행동하면 백성이 기뻐하지 아니함이 없다.  이 때문에 명성이 중국에 넘치고 다시 퍼져 만맥(蠻貊) 지방까지 미친다. 배와 수레가 이끄는 곳과 사람의 힘이 통하는 곳과 하늘에 덮이어 있는 곳과 땅에 실리어 있는 곳과 해와 달이 비추는 곳과 서리와 이슬이 내리는 곳에 무릇 피와 기운을 가지고 있는 것은 높이고 친애하지 아니함이 없으니 그러므로 하늘과 짝을 이룬다고 한다.     

 

 2. 완전한 성인의 속성을 말하는 어법을 구사하고 있으나 실은 그런 실천을 해야 완전한 성인으로 볼 수 있다는 요건을 말하고 있습니다.  

 

백성과 함께하며(臨), 백성의 뜻을 받아들이며(容), 백성을 든든히 잡아주며(執), 백성을 공경하며(敬),  백성 앞에서 사리 분명한 실천을 해야(別) 완전한 성인이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중용>의 성인은 철학적, 종교적 차원에서 말해지는 신비성과 거리가 멉니다. 일상적 삶의 현실에서 백성과 마주하는 정치권력을 단도직입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요순과 문무가 등장하는 것이지요. 결국 위 요건은 오늘날 정치권력에게 그대로 적용되는 실천 강령입니다. 그 요건을 따르면 백성이 공경함으로 되갚고(敬), 신뢰하며(信), 기뻐합니다(說).  

 

본문 내용을 아무리 정교하게 해설해도 더는 심오한 내용이 필요하지 않을 만큼 명쾌하고 소박합니다. 정치권력이 어찌 하면 백성은 또 어찌 반응하는지 이보다 더 장황하게, 현학적으로 설명해야 할 까닭이 없지 않습니까?  

 

다만 우리는 사소한, 그러나 매우 중요한 한 가지 사실을 짚고 넘어가려 합니다. 정치권력과 백성이 공경함(敬)을 서로 나눈다는 사실! 그러나 그 순서는 정치권력이 먼저라는 사실! 지금 이 땅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과 전혀 다르고, 전혀 거꾸로 라는 사실!  

 

비민주적이고 사유적인 권력행사로, 편벽한 종교로, 온갖 부패 행위로, 부조리한 인사로, 부끄러운 외교 행태로, 뒷골목 삼류 양아치 같은 언행으로, 이 정권은 백성의 마음과 함께하지 않네요(不臨), 그 뜻을 받아들이지 않네요(不容), 든든히 잡아주지 않네요(不執), 공경하지 않네요(不敬), 사리 분명한 실천을 전혀 하지 않네요(不別).  

 

어느 백성이 스스로 택한 통치세력을 공경하고(敬), 신뢰하고(信), 기뻐하고(說) 싶지 않겠습니까? 요순과 문무이기를 바라지 않겠습니까? 반만 년 동안 백성의 손으로  권력을 엎은 일이 단 한 번이라도 있습니까? 실로 엄청난 인내를 발휘해 온 이 선한 백성에게 지배집단은 입만 열면 사탄이라 빨갱이라 정신병자라 욕설을 퍼부으니 대체  이 노릇을 어찌하면 좋단 말입니까?   

 

3. 이럴 줄 알고 <중용>은 한 번 더 당부합니다.  

 

"무릇 피와 기운을 가지고 있는 것은 모두 높이고 친애하라(凡有血氣者莫不尊親)."   

 

다른 생명은 고사하고 제 백성만이라도 공경, 즉 존귀하게 여기고(尊), 피붙이처럼 사랑하기를(親) 곡진하게 권합니다. 하지만 현 통치세력은 백성의 눈높이가 낮다는 타령만을 되풀이하고 있습니다. 하늘과 짝한다(配天)는 말을 '신성모독' 쯤으로 오해하고 눈 감고 귀 막은 것인지, 백성에 등 돌린 채 자기들끼리 히히덕거리며 권력의 맛을 즐기고 있을 따름입니다.  백성을 공경하면 자기들이 업신여김 당할 거라 철석같이 믿는 모양이니 딱하지만 도리 없군요. 결국은, 쯧쯧쯧.......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명한 산책 문학과지성 시인선 281
황인숙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는 오직 이 한 수의 시를 읽기 위해 

시집을 집어들었습니다.  

 

강  

 

당신이 얼마나 외로운지, 얼마나 괴로운지, 

미쳐버리고 싶은지 미쳐지지 않는지 

나한테 토로하지 말라 

심장의 벌레에 대해 옷장의 나방에 대해 

찬장의 거미줄에 대해 터지는 복장에 대해 

나한테 침도 피도 튀기지 말라 

인생의 어깃장에 대해 저미는 애간장에 대해 

빠개질 것 같은 머리에 대해 치사함에 대해 

웃겼고, 웃기고, 웃길 몰골에 대해 

차라리 강에 가서 말하라 

당신이 직접 

강에 가서 말하란 말이다 

 

강가에서는 우리 

눈도 마주치지 말자. 

 

小蛇大足 - 당신만 강가에 갈 일 있는 게 아니거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살아남은 자의 아픔 - 투신자살한 아우슈비츠 생존작가의 시집
프리모 레비 지음, 이산하 엮음 / 노마드북스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1. <<Mandela's Way>>라는 책에 이런 내용의 말이 나옵니다.   

"어떤 사람도 자신이 행한 선만큼 선하지 않다."   

이 말을 저는 이렇게 바꿉니다.   

"어떤 시인도 자신이 쓴 시만큼 아름답지 않다."   

그렇습니다.
아닙니다.
적어도 프리모 레비만큼은 이 진실에 날카로운 틈을 냅니다.  

2. 시집을 펴기 전!
표지에 나온 그의 사진을 보고 그냥 지나치는 사람이 있다면.......
저 철저한 눈빛, 뭔가?
얼굴과 시선이 절묘하게 어긋나 있고,
그 눈은 응시와 응시를 벗어난 가녘에 칼 같은 중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저는 아마도,  
그가 이런 시선을 유지한 채 죽음으로 걸어들어 갔을 것이라고 느낍니다. 

편역자는 그의 허무주의를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아닙니다. 
그는 허무주의자로 죽지 않았습니다.
하물며, 그는초월하지도 않습니다.
뭇 시인의 운명인, 저 초월을,
그는끝내 거부합니다.
그의 시, 그의 삶은 단 한 순간도 인간의 지평을 떠나지 않습니다.
아니, 그는 내려갑니다! 

<수레바퀴>의 마지막 네 줄. 

이젠 내려가야 할 때다.
절벽 아래로 내려가 세월의 그늘 속에
몸을 숨긴 채
조용히 침묵해야 할 시간이다. 

그렇습니다.  
그 침묵의 절창, <석양>을 보십시오. 

그 어떤 것도 억지로 꿈꾸지 않았고 
그 어떤 것에도 애써 매달리지 않았네. 
거센 폭풍의 바다를 헤치고 나와 
항구의 선술집 난로 옆에 앉아 
홀로 조용히 술잔을 기울이고 있는
그런 사람은 참으로 행복하여라. 

축제 뒤의 사그라져가는 불씨처럼
저물어가는 강가의 모래알처럼
무거운 짐을 모두 내려놓은 채 
이마의 땀방울을 닦으며
조용히 길모퉁이에 앉아 쉬고 있는
그런 사람은 참으로 행복하여라.
욕망도 집착도 모두 내려놓고
말없이 저무는 석양만 응시하네. 


그 응시하는 눈은 웅숭깊은 질문으로 젖어 있습니다.

"이것이 인간인가?"

이 질문으로 그는 죽었습니다.
이 죽음으로 그가 택한 것은 허무 아닌 침묵의 응시입니다.  

글로 할 수 없는 증언을 위해 몸을 벗어난 것입니다. 

3. <게달레 대장>에 세 번 반복되는 후렴이자 마지막 연,
이를 그대 가슴에 안기면서
프리모 레비를 간곡히 권합니다. 

내가 나를 위해 살지 않는다면 
과연 누가 나를 위해 대신 살아줄 것인가? 
내가 또한 나 자신만을 위해 산다면 
과연 나의 존재의미는 무엇이란 말인가? 
이 길이 아니면 어쩌란 말인가? 
지금이 아니면 언제란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제30장 본문입니다.  

 

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襲水土. 辟如天地之無不持載 無不覆도(巾壽*). 辟如四時之錯行 如日月之代明. 萬物竝育而不相害 道竝行而不相悖. 小德川流 大德敦化. 此天地之所以爲大也. (*수건 건 에 목숨 수를 붙인 덮어 가린다는 뜻의 '도' 자인데 인터넷 사전에서 찾지 못해 이렇게 해 놓았습니다.^^)  

 

공자께서는 요 임금과 순 임금을 으뜸으로 계승하시고 문왕과 무왕을 본받아서 (그 법도를) 밝히셨으며 위로는 천시를 본받으시고 아래로는 물과 흙의 상황에 맞추시었다. 비유하면 하늘과 땅이 붙들어 실어주지 아니함이 없고 덮어서 감싸주지 아니함이 없음과 같다. 비유하면 사계절이 번갈아 운행됨과 같고 해와 달이 번갈아 밝아지는 것과 같다.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방해하지 않고 도는 함께 행하여져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작은 덕은 냇물처럼 흐르지만 큰 덕은 일시에 변화시킨다. 이것이 천지가 위대하게 되는 까닭이다.  

 

2. 공자의 중용은 사람의 실천과 자연의 운행을 두루 이치로 삼습니다. 사람의 실천에서 나타나는 도덕성과 창조성, 자연의 운행에서 나타나는 법칙성과 풍요성을 통합하는 혜안이 있었던 것이지요.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꿰뚫는 혜안은 크게 두 갈래의 통찰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통시적(通時的; diachronic)인 맥락을 따라  그 변화의 결을 감지하는  통찰입니다. 모든 것은 변합니다. 그 변화에는 반드시 특이점이 존재합니다. 이런 상황을 간파하고 전후의 맥을 짚을 수 있다면 과거의 반성, 오늘의 성찰, 내일의 전망이 모두 가능할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공시적(共時的: synchronic)인 지평을 한눈에 보고 분석, 종합하는 통찰입니다. 변화를 견디는 구조와 그 역학관계를 알아차림으로써 현안 문제를 이해하고 풀어내는  조정능력을 지니게 됩니다.  

 

결국 시공간적 대칭 또는 모순을 역설적으로 공존시키는  능력입니다. 변화와 지속, 역사와 사회, 개체와 전체, 문명과 자연, 정의와 사랑, 자유와 평등, 결속과 대립...그 요동치는 경계에서 영예로움으로 남을 수 있는 선택을 하는 능력! 바로 이것이 중용이고, 공자의 실천입니다.  

 

3. 그 역설적 공존 능력을 본문은 우선 이렇게 말합니다.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생명은 제각각 최대한 살기 위해 애씁니다. 그 과정에서 남을 해칠 수 있습니다. 아니 해칩니다. 우리 인간만 보더라도 목하 그렇게들 살고 있습니다. 금융자본이 세계를 제압한 현 신자유주의 체제는 가혹한 약육강식, 승자독식을 본령으로 합니다.  더군다나 그 세계체제의 주변부에 속한 이 나라는 이중, 삼중의 억압구조를 가지고 있지요. 그래서 올바르고 현명한 정치, 즉 중용 정치가 요청되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이 땅의 헤게모니 블럭은 오히려 그렇게 중첩된 억압과 차별의 구조를 자신들의 권력과 부를 축적하는 데 이용하고 있습니다. 양극화가 극으로 치달아가는 과정에서 백성들이 서로 사소한 이익을 놓고 막가는 싸움을 싸우도록 부추기고 있습니다. 그래야 편하게 통치할 수 있기에 그리 하는 것일 테지만 반드시 그 편함은 부메랑으로 돌아와 등을 찍을 것입니다. 

 

함께 자라도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자신을 제외한 모든 것을 죽이려 하지만 자신만 살아 남아서는 세상이 돌아가지 않는다는 사실을 더 모르고 있으니 이 아니 비극입니까. 남을 일으켜야 자신도 일어설 수 있다는 사실을 하루빨리 깨달아야 할 텐데 아득하기만 하군요. 생명의 공존, 더 나아가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는 일은 평등한 상호 소통을 전제로 합니다. 언제나 그러하듯 이 땅의 어진 백성은 먼저 시범을 보여주었습니다. 제발 바라건대 그 뜻을 으뜸으로 계승하고(祖述), 본받아서 밝혀(憲章)주기를.......   

 

4. 그 다음엔 이렇게 말합니다.   

 

"도는 함께 행하여져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현실 세계에서 방법(道)은 많이 다릅니다. 아니 대립합니다, 그것도 격렬하게. 국가 중대 현안 문제에 대하여 막무가내 들이미는 검증 안 된 정부 자료를 보고 날카롭게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어느 나라 백성이냐며 빨갱이로 모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것이 이념의 차이든, 종교의 차이든, 단순한 정보의 차이든 이 정도의 난센스적 균열은 헤게모니 블럭이 충분히 없앨 수 있는 것입니다. 아니 반드시 그래야 합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이간질 하고 부추기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견해를 상호 인정하고,  견디고, 기다리는 너그러움을 이끌어야 할 자들이 먼저 나서서 독선과 배타를 구가하다가 도리어 백성들이 편협하다며 뒷 삽질을 하고 있습니다. 백성이 드러내는 탈중심적이고 자유로운 의사 교환, 지식 공유의 전체 모습은 외면한 채  구석에 박힌 사소한 에피소드를 들춰내서 크게 떠드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너절함으로 똘똘 뭉친 인간집단의 진면목이 이렇구나, 고개가 절로 끄덕여집니다.    

 

밀고 당기면서도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본디 생명 속에 깃든 길항관계들입니다. 마주서 있다고 해서 다 적인 것은 아닙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계를 맺느냐 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을 형성합니다. 풍부할수록, 두터울수록 좋습니다. 중용 정치란 바로 이 풍요와 후덕을 빚어가는 일 아닐까요?    

 

5. 지난 촛불 정국 이후 우리사회에 자주 등장하는 용어로 "포퓰리즘"이란 게 있습니다. 이문열이든 오세훈이든 헤게모니 블럭에 속한 자들의 어감은 한마디로 저급한 악마들의 음모적 소란 정도입니다. 그러나 어떻게 근거를 둘러대보아도, 일시에 되게 하는(敦化) 백성의 큰 덕을 불에 덴듯 알아차렸기 때문에 생긴 불쾌감을 드러내는 작태일 뿐입니다. 소수 엘리트가 조작하고 통제함으로써 명품 시혜 체계를 만들어 길이 즐기는(川流) 일에 반하기 때문에 갖는 거부감일 따름입니다.  

 

허나 봄기운이 만물을 일제히 소생시키듯 상호소통으로 공유하게 된 백성의 생명감각은  어! 하는 사이에 새 세상을 일으킵니다. 그게 대덕(大德)이 아니라면 21세기에 우리가 앉아서 요순(堯舜)과 문무(文武)를 기다려야 한다는 말입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