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20장 네 번째 문단입니다.   

 

子曰 好學近乎知 力行近乎仁 知恥近乎勇. 知斯三者 則知所以修身 知所以修身 則知所以治人 知所以治人 則知所以治天下國家矣. 凡爲天下國家 有九經 曰 修身也 尊賢也 親親也 敬大臣也 體群臣也 子庶民也 來百工也 柔遠人也 懷諸候也. 修身則道立 尊賢則不惑 親親則諸父昆弟不怨 敬大臣則不眩 體群臣則士之報禮重 子庶民則百姓勸 來百工則財用足 柔遠人則四方歸之 懷諸侯則天下畏之. 齊明盛服 非禮不動 所以修身也 去讒遠色 賤貨而貴德 所以勸賢也 尊其位 重其祿 同其好惡 所以勸親親也 官盛任使 所以勸大臣也 忠信重祿 所以勸士也 時使薄斂 所以勸百姓也 日省月試 餼禀(廩)稱事 所以勸百工也 送往迎來 嘉善而矜不能 所以柔遠人也 繼絶世 擧廢國 治亂持危 朝聘以時 厚往而薄來 所以懷諸侯也. 凡爲天下國家有九經 所以行之者一也.  

 

  공자는 말씀하셨다. "배우기를 좋아함은 지(知)에 가깝고 실천을 힘씀은 인(仁)에 가까우며 부끄러움을 아는 것은 용(勇)에 가깝다." 이 세 가지를 알면 몸을 닦는 방법을 알며, 몸을 닦는 방법을 알면 남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며, 남을 다스리는 방법을 알면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방법을 안다.  

  무릇 천하국가를 다스림에 아홉 가지 원칙이 있으니 몸을 닦음과, 어진 사람을 존경하는 것과, 친족과 하나가 되는 것과, 대신을 공경하는 것과, 여러 신하를 내 몸처럼 여기는 것과, 서민들을 자식처럼 여기는 것과, 백공들을 오게 하는 것과, 먼데 있는 사람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것과, 제후를 따뜻하게 품어주는 것을 말한다.   

  몸을 닦으면 곧 방법이 생기고, 어진 사람을 존경하면 미혹되지 않으며, 친족과 하나가 되면 제부(諸父)와 형제가 원망하지 않고, 대신을 공경하면 현혹되지 않으며, 여러 신하들을 내 몸처럼 여기면 선비들의 보례(報禮)가 중후하게 되고, 서민들을 자식처럼 여기면 백성들이 분발하게 되며, 백공들을 오게 하면 재물을 쓰는 것이 풍족해지고, 먼데 있는 사람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면 사방 사람들이 돌아오며, 제후들을 따뜻하게 품어주면 천하가 두려워하게 된다.   

  재계하고 깨끗이 하며 정복을 갖추어 입고서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 것은 몸을 닦는 수단이고, 아첨하는 자를 제거하고 여색(女色)을 멀리하며 재물을 천하게 생각하고 덕(德)을 귀하게 여기는 것은 현자(賢者)를 권면하는 수단이며, 그 지위를 높이고 그 녹(祿)을 무겁게 해주며 그 호오(好惡)를 같이 하는 것은 친족과 하나 됨을 권면하는 수단이고, 관직의 수가 많아져 지휘권을 맡기는 것은 대신을 권면하는 수단이며, 충심(忠心)으로 대하고 믿으며 녹을 많이 주는 것은 사(士)를 권면하는 수단이고, 부역을 때맞게 하고 세금 걷는 것을 줄이는 것은 백성을 권면하는 수단이며, 날로 살피고 달로 시험하여 보수를 일의 능력에 맞게 하는 것은 백공을 권면하는 수단이며, 가는 이를 보내고 오는 이를 맞이하며 착한 것을 칭찬하고 잘못하는 것을 불쌍히 여기는 것은 먼데 있는 사람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수단이고, 끊어진 대를 이어주고 망하는 나라를 일으켜주며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고 위태로운 것을 붙잡아주며 조회[朝]와 초빙[聘]을 때에 맞게 하며, 보내는 것을 많이 하고 받는 것을 적게 하는 것은 제후를 따뜻하게 품어주는 수단이다. 무릇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데에는 아홉 가지 원칙이 있으나 그것을 행하는 수단은 하나이다.  

 

2. 다섯 가지의 보편적인 도와 세 가지 보편적인 덕을 거쳐 아홉 가지 다스림의 칙을 말하는 데까지 왔습니다. 길고 상세한 언급이 있으나 일일이 풀어 설명할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봉건시대 최상위 정치 지도자를 대상으로 강론한 듯한 느낌을 주는 내용이라 아, 그렇구나 하고 넘어가면 될 성질의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히려 강조할 것은 수신(修身)으로 풀어서 수신(修身)으로 매듭지은 사실입니다. 천하와 국가를 다스리는 일 또한 다함없이 실천의 결기를 닦는 평범한 일에서 비롯한다는 내용입니다.  부단히 깨어 있어 찰나 찰나를 챙기는 닦음, 그 미세한 통찰을 소홀히 하고서는 천하와 국가의 다스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천명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한 사회의 통치자 위치에 서는 꿈을 지닌 사람이라면 처음부터 사적 실천에서 떳떳함을 기본으로 삼아야 합니다. 사회의 어두움을 틈타 온갖 부조리에 발을 담그며 이득을 누려 왔다면 통치자 자리에 앉으려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통치자 자리조차 이득의  하나로 여기는 판국이라 이런 말도 우습습니다만 사적 이익 추구 능력을 공적 통치 능력과 혼동하는 일은 결코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이런 혼동의 후폭풍에 휘말리고 있습니다. 새삼 수신(修身)이란 말의 향기가 그립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주기율표
프리모 레비 지음, 이현경 옮김 / 돌베개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저는 이 책을 두 달에 걸쳐 읽었습니다. 까닭은 아주 복잡한 것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간단합니다. 제 사유의 결이 비-화학적(?)(!)이기 때문이지요. 아, 이건, 뭐, 주기율표 암기, 기억, 화학적 지식, 이런 이야기가 아닙니다. 프리모 레비가 한 평생 그렇게 살았고, 그렇게 글을 썼던, "이해하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 "(348쪽), 그리고 "자연주의자의 호기심"(348쪽)을 제가 따라잡을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 아니, 근본적으로 이게 그와 저 사이를 가르는 금이었습니다. 

"저는 특이할 정도로 정신이 살아 있는 상황에서 아우슈비츠를 경험한 것 같아요."(348쪽)  

그렇습니다. 사실, 정확히 14년 후에는 제가 레비 스트로스 최후의 나이를 맞습니다. 물론 제 삶 그 자체를 그와 비교할 수도,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허나 그의 삶에 대한 태도는 비교할 수도, 비교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이런 맥락에서 찰나적 시간에서나, 사소한 일상의 공간에서나, 프리모 레비는, 한 번도 본 일은 없지만, 그 투명한 눈으로 저를 들여다 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하여, 특히, 본디 인문사회학도였던 제가 낯설어 하면서 더듬거리고, 때로는 건성건성 지나가는 길목마다 그가 손목을 슬며시 잡아주었던 것이겠지요. 아르곤은, 아마, 다섯 번은 읽었을 것입니다. 세 문단을 못가 삼베 바지에 방귀 빠지듯 집중력이 사라졌기 때문이지요.^^ 나중에 보니 다른 사람들은 격찬을 했더군요. 민망해서 다시 읽어도 마찬가지. 다섯 번 째만에 겨우, 나름대로 실존적 독서의 줄긋기를 할 수 있었습니다. 아, 이 도저한 비-화학적 감수성(?)(!)! 

결국 이 책의 깊숙한 읽기는  바나듐, 탄소 부분이 견인해냈습니다. 그리고 한 번도 그래 본 적이 없던 일인데, 작가의 연표를 세밀하게 살펴 그 삶 속으로 들어가면서, 서로 끌어당기는 에피소드를 재구성하면서,  독서가 어느 정도 농익었습니다. 아, 물론 아직, 여러 번 더 읽을 생각입니다만! 

2. 일단, 저는 이 책을 프리모 레비의 아이덴티티, 그리고 죽음의 빛으로 관통해 보려고 합니다. 물론, 필립 로스와 나눈 이야기에서 그가 한 표현대로라면 이런 시도는 이 책에 대한 정서와 기억을 "흑백"(351쪽)으로 단순화하는 것임을 모르지 않습니다. 허나, 용서를 구하면서라도 이리 하는 까닭은, 제가 그런 context에서, 그런 punctum으로 읽었기 때문입니다.  

3. 이책의 해설을 쓴 서경식이 프리모 레비의 죽음에 관해 한 말은 <이것이 인간인가>를 말하면서 간단히 언급했습니다. 그 내용은 바나듐  이야기와 맞물려 있지요. 저는, 처음엔, 이 부분에서 저 아우슈비츠(정확히는 부나)의 뮐러 이야기가 등장할 줄 모른 채 읽다가, 그 사실을 눈치 챈 순간부터 책 전체가 순식간에 이 이야기 속으로 빨려 들어오는 전율을 느꼈습니다. 사실, 이 느낌은 단순화를 넘어 모독이자 오독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우슈비츠 이후 프리모 레비의 삶과 문학의 핵심 일단이 바로 이 이야기 속에 있음을 부인하지 못하는 한, 제 느낌이 마냥 엉뚱한 것만은 아닐 것입니다.  

".......적을  용서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아마 그들을 사랑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그것은 그들이 후회의 표시를 보이는 경우에만, 그러니까 그들이 적으로 남아 있기를 포기한 경우에만 가능했다. 반대의 경우, 여전히 적으로 남아 있고, 남에게 고통을 가하려는 고집스러운 의지를 고수하는 사람이라면그를 용서해서는 안 되었다. 그 사람을 구원할 수 있고 그와 대화를 나눌 수 있겠지만(나누어야만 한다!) 우리에게 의미 있는 일은 그를 심판하는 것이지 용서하는 것이 아니다......."(322-323쪽)   

그리고,   

".......나는 인간이 모두 영웅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아니며 모두가 그처럼 솔직하고 무방비 상태인 세상이라도 그럭저럭 살아갈 만은 하리라는 사실을 인정했다. 하지만 그런 세상은 비현실적이다. 현실 세상에는 무장한 사람들이 존재했고 그들이 아우슈비츠를 만들었으며 솔직하고 무방비 상태인 사람들은 무장한 이들의 길을 닦아야 했다. 그러니까 아우슈비츠에 대해서는 모든 독일인이, 아니모든 인간이 대답해야만 한다. 아우슈비츠 이후에는 무방비로 있는다는 게 더 이상 허용되지 않았다......."(323쪽) 

이 대목이 프리모 레비의 죽음의 의미와 깊은 연관성이 있다는 추정은 서경식의 통찰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비록 뮐러가 완벽한 적도 아니고 적의 대표자도 아니지만, 어차피 현실 세계에서, 구체적 상징으로, 프리모 레비가 마주해야 할 적은 뮐러일 수밖에 없는데, 그가, 만나기로 약속한 8일 후, 느닷없이, 어이없이 죽음으로써 프리모 레비의 냉엄하고도 옹골찬 이 생각이 한낱 물거품이 되고 말았기 때문입니다. 이 도저한 절연의 상황을, 프리모 레비는 그 문학적 문장의 교본인 실험보고서 문체로 간결하게 마무리합니다.  

"8일 후 나는 뮐러 부인으로부터 로타르 뮐러 박사가 60세를 일기로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들었다."(324쪽) 

과연 그 답습니다. 그러나 이 마지막 문장 뒤에 얼마나 많은 언어가 생략되어 있는지....... 내가 가슴이 막히고 목이 메이는데 그는 어땠을까, 더 이상 책을 읽을 수 없었습니다. 

물론, 그의 죽음은 이로부터 20년이나 지난 후의 일이므로 섣부른 인과관계로 얽어맬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살은 철학적 행위이며 사유를 통해 결정된다......."(363쪽, 연보에 인용된 글)  

그렇다면, 자살에 대한 그의 웅숭깊은 이해는 20년이란 세월, 아니 전 생애를 견디며 정련되어 실천적 직면으로 나아갔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가 그것을 "결정"이라 했다는 사실, 우리는 분명하게 기억해야 합니다.  

덮었던 책을 다시 열어, 마지막 이야기, 탄소를 천천히 읽기 시작합니다. 앞에 어디선가 탄소 이야기를 마지막에 하겠다고 약속한 것을 떠올리며....... 급기야, 맨 마지막. 제 눈에는 이 "마침표"란 말이 책의 마지막 문장의 마침표로 보였지만, 제 가슴에는 결코 그렇게 와 박히지 않았습니다! 

4. 첫 번째  아르곤 이야기에서 프리모 레비는 자신이 속한 디아스포라 유대교(인) 집단의 모순적이고 경계적인 아이덴티티를 말합니다. 

".......디아스포라의 유대교.......이것은 이교도들(곧 구윔) 사이에 흩어져서 살아가는 이들의 하루하루의 비참한 유배 생활과 그들의 성스러운 소명 사이의 모순이다.......유대 민족은 흩어진 후 오랜 세월 동안 슬픔 속에서 그러한 모순을 살아 왔다......."(16쪽)  

한편은 하느님의 선택과 부르심을 받은 중심으로 다른 한편은 ".......큰 강처럼 흐르는 삶의 대열 변두리로......."(8쪽) 자리매김 되는 집단적, 역사적 모순이 프리 모레비의 피에 흐르고 있다는 사실, 그 숙명을 그는 기꺼이 받아들입니다. 그 숙명이 아우슈비츠로 그를 이끌었고, 그 아우슈비츠가 그의 문학을 낳았습니다. 그리고 그 문학의 끝은....... 

5. 이 모순은 아연 이야기에서 좀 더 밀도 높은 이야기로 전개됩니다. <바람계곡의 나우시카>에서 말씀드린 바,   

".......부드럽고 예민하며 산(酸)에 고분고분해서 한 입에 먹히는 아연도 불순물 없이 아주 순수한 경우에는 행동이 완전히 달라진다. 그럴 경우 아연은 어떤 결합도 완강히 거부한다. 여기서 우리는 충돌하는 두 가지 철학적 결론을 일끌어낼 수 있다. 악에서 지켜주는 보호막 같은 순수함에 대한 찬미와, 변화를 일으켜서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는 불순함에 대한 찬미가 그 둘이다. 나는 메스꺼울 정도로 도덕주의적인 첫째 것을 버리고, 내 맘에 드는 둘째 것에 대해 생각하느라 꾸물거리고 있었다. 바퀴가 돌아가고 삶을 이루기 위해서는 불순물이, 불순물 중의 불순물이 필요하다. 잘 알고 있듯이, 땅도 무엇을 키워내려면 그래야 한다. 불일치, 다양성, 소금과 겨자가 있어야 한다. 파시즘은 이러한 것들을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하기까지 한다....... 얼룩 하나 없는 미덕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일 그런 게 존재한다면 정말 혐오스러울 것이다......."(51-52쪽)  

이 부분입니다. 단순히 모순 속에 있는 것만이 아닙니다. 변화, 즉 "화학반응을 일으키는"(54쪽) 불순물이며, 소금과 겨자입니다. 모순은 여기서부터 역설로 나아가는 역동적 뒤섞임이 됩니다. 이에 대해 프리모 레비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나는 내가 순수하지 못하다는 데 자부심을  갖기 시작했(다)......."(54쪽) 

홀연히 함민복의 절창 <꽃>이 떠오릅니다.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 

달빛과 그림자의 경계로 서서

담장을 보았다

집 안과 밖의 경계인 담장에

화분이 있고

꽃의 전생과 내생 사이에 국화가 피었다   

 

저  꽃은 왜 흙의 공중 섬에 피어 있을까  

 

해안가 철책에 초병의 귀로 매달린 돌처럼

도둑의 침입을 경보하기 위한 장치인가

내 것과 내 것 아님의 경계를 나눈 자가

행인들에게 시위하는 완곡한 깃발인가

집의 안과 밖이 꽃의 향기를 흠향하려

건배하는 순간인가  

 

눈물이 메말라

달빛과 그림자의 경계로 서지 못하는 날  

 철책이 시들고

나와 세계의 모든 경계가 무너지리라  
 

6. 탄소 이야기로 아이덴티티를 철저하게 완성합니다. 그리고 스스로 "결정한" 죽음으로 나아갑니다. 이렇게 말합니다.   

 

".......탄소는 독특한 원소다. 그다지 에너지 소모를 하지 않고 안정된 긴 사슬 속에 스스로 들어가 결속될 수 있는 유일한 원소다. 그리고 땅 위의 삶(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유일한 삶)에서는 바로 그 긴 사슬이 필요하다. 그래서 탄소는 생명체의 중요한 원소다......."(329쪽)  

여기서 스스로 들어가 결속된다는 말은 뒤에 나오는 "삽입"(331쪽)과 같은 의미의 말일 것입니다. 더 나아가면 "용해"(331쪽)로까지 이어집니다. 용해에 관해 이렇게 말합니다. 

".......용해된다는 것은 변화할 운명을 타고난(거의 '변화를 원하는'이라고 말할 수 있다) 모든 실체의 의무이자 특권이다......."(331쪽) 

여기까지 가면 탄소는 단순히 어떤 결속된, 삽입된 요소를 넘어서, 그 대상 자체가 되어버립니다. 바로 이렇게 되는 것이지요.  

".......탄소가 우리들 .......속에 들어 있다.......이리저리 이동하다가 신경세포의 문을 두드리고 그 안으로 들어가 그 세포의 일부분인 또 다른 탄소의 자리를 빼앗는다. 이 세포는 뇌에 속해 있다. 그리고 이것은 나의 뇌, 글을 쓰고 있는 의 뇌다. 문제가 된 세포, 그리고 그 속에 들어 있는문제의 원자는, 아무도 묘사하지 않았던 엄청나게 섬세한 놀이인 내 글쓰기에 속해 있다. 지금 이 순간 미궁처럼 복잡한 줄거리를 벗어나 내 손으로 하여금 종이 위의 어떤 여정을 따라 달려가며 기호들의 소용돌이를 그리게 해주는 것은 바로 이 세포다: 위로, 아래로, 두 차원의 에너지 사이로 이중 도약을 한 이 세포는 내 손을 이끌어 종이 위에 점 하나를 찍게 만든다, 바로 이 마침표를."(336-337쪽) 

스스로 삽입되고 용해된 탄소는 프리모 레비의 생명이자 삶이 되어 이 책의 마침표를 찍습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탄소는 어디든지 있으나 어디에도 없는 존재가 됩니다. 

"탄소는 모두에게 모든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것은 아담이 특수한 조상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특수한 게 아니다."(326쪽) 

이것은 ".......위대한 인류를 대표하......나 익명의 존재들로 남겨질 뿐"(367-368쪽, 연보에서 인용된 글)인 프리모 레비 자신과 같은 숙련공들의 숙명과 일치합니다. 프리모 레비는 탄소와 문학과 그의 생명을 이렇게 연결합니다. 

".......나는 바로 이 탄소에게 해묵은 빚이 있었다. 중요한 시기에 진 것이다. 최초로 내가 품은 문학적 꿈은 생명의 원소인 탄소에 있었다. 내 목숨이 별 가치 없었던 시간과 장소에서 끊임없이 꾸었던 꿈. 그러니까 나는 탄소의 역사를 이야기하고 싶었다."(326-327쪽) 

저는 이 대목이야말로 프리모 레비의 모든 것이 담긴 절창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습니다. 그는 탄소로 살았고, 그 탄소를 말했고, 그 탄소로 죽었습니다. 여기서 불현듯 떠오르는  <중용> 한 구절이 있습니다.  

"君子之道 費而隱.(군자지도 비이은)." 

보통 '군자의 도, 즉 중용은 널리 쓰이면서 은밀하다'로 이해하지만 저는 이를 동사적 독법으로 읽어, '군자의 도, 즉 중용은 널리 쓰이지만(어디에서나 활동하지만) 스스로 드러내지 않는다'로 읽습니다. 군자의 생각, 군자의 말, 군자의 삶은 보편적 이치와 생명력이 되어 편재하지만 스스로 그것을 드러내어 자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 군자의 중용이 바로 저 프리모 레비의 탄소입니다. 그러므로 프리모 레비의 탄소적 "마침표"(!)는 그의 이치와 생명력을 우리 모두에게 "삽입"되고 "용해"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그의 위대한 삶은 문학을 거쳐, 문학을 넘어, 마침내 보편성과 영원성을 획득하게 된 것입니다. 탄소가 그의 아이덴티티며 죽음의 의미입니다. 하여 그의 아이덴티티는 우리 모두의 아이덴티티를 든든하게 지켜줍니다. 그의 죽음은 우리 모두의 핏속에 스며들어 따스한 생명으로 되태어납니다.  

7. <표>를 관통한다는 것이 썩 어울리는 일이 아님을 알면서도 이리 읽어 보았습니다. 오늘 우리의 현실을 생각하면서 생각을 마무리하려 하자니, 다시 바나듐 이야기의 한 구절이 비수처럼 폐부를 찔러 옵니다. 

"침묵하는 다수자.......들 사이에서 가장 흔한 전략은 최대한 적게 알려고 하는 것, 그래서 어떤 것도 묻지 않는 것이(었)(괄호-필자)다."(320쪽) 

과연 그렇습니다. 입만 열면 거짓을 말하는 지배집단의 참 모습에 대해 최대한 적게 알려고 하고, 그래서 어떤 것도 묻지 않는 사람들이 우리사회를 파멸로 몰아가는 "길을 닦고" 있습니다. 저들은 자기 자신들이 결코 "무방비 상태"로 있을 수 없다는 진실을 모릅니다. 아니 알려고 하지 않습니다. 하여, 우리의 탄소 프리모 레비는 "날마다 죽습니다." 어허, 哀哉 哀哉, 또 哀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제20장 세 번째 문단입니다.  

 

天下之達道五 所以行之者三. 曰 君臣也 父子也 夫婦也 昆弟也 朋友之交也 五者天下之達道也. 知仁勇三者 天下之達德也 所以行之者一也. 或生而知之 或學而知之 或困而知之 及其知之一也. 或安而行之 或利而行之 或勉强而行之 及其成功一也.   

 

천하의 달도는 다섯 가지가 있고 이를 행하는 소이는 세 가지가 있다. 군신, 부자, 부부, 형제, 붕우의 사귐이라고 하는 것 다섯 가지가 천하의 달도이다. 지, 인, 용 세 가지는 천하의 달덕이니 이를 행하는 소이는 한 가지이다. 혹 나면서 알며 혹 배워서 알고 혹 고심해서 알지만 안다는 점에서 보면 같은 것이다. 혹 편안하게 행하며 혹 이롭게 여겨서 행하며 혹 애쓰고 억지로 힘써서 행하지만 그 공을 이루는 점에서 보면 같은 것이다.  

 

2. 세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 가치로서 도가 펼쳐지는 인간관계는 가족에서 출발하여 가까운 이웃을 거쳐 사회정치적인 큰 지평까지  아우릅니다. 각각 나타나는 양상은 다르지만 근본에서 일치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커 보이는 정치적 인간관계의 이치 또한 "평범함에서(庸) 벗어나지 않습니다(中)".   

 

이러한 도리를 바로 알아(知) 어질고(仁) 날래게(勇) 실천하는 것이 세상에 두루 통하는 보편적인 덕입니다. 세 가지를 따로 나누어 각각 덕이라 이름 하는 것, 그리고 다시 둘로 나누어 지와 행을 논하는 것이 오래된 명사적 독법 전통이지만 중용의 실천적 맥락을 놓치는 안일한 해석입니다.  

 

아는 것도 실천입니다. 실천도 아는 것입니다. 실천 없는 지식은 처음부터 지식이 아닙니다. 깨달음 없는 실천은 처음부터 실천이 아닙니다. 적어도 중용을 논하는 자리에서는 知는 行知이며 行은 知行입니다. 실천 없는 명상적, 관념적 중용에는 중도 없고 용도 없습니다. 중용의 외양을 취하더라도 알아차림 없는 동작이라면 가치로서 무의미한 것입니다.  

 

그러나 각각 처한 상황이 있는 까닭에  완벽하지 않은 수준에서 사회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인정해야 합니다. 사람이므로 지니는 현실적 한계입니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이 닦아야(修)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수신(修身)입니다. 실천 자체를 부단히 최고의 경지로 밀어 올려야 하는 것입니다. 허나 최고의 경지란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이상이므로 자신의 실천이, 아니 자신 자체가 "평범하다"는 사실을 순간순간 확인하는 것이 수신의 핵심입니다.   

 

결국 이 지점에서도 동사적 독법의 필요성이 나타납니다. 반복되는 "일야(一也)"는 "오직 그렇게 다함없이 닦아 나아가야 한다."는 역동적 격려요 요청입니다.   

 

3. 우울증으로 고통 받는 분들과 대화치유 과정을 함께 하다 보면  매 순간 그 분들이  제가 마법적 구원자이기를 바라고 있다는 사실 앞에 서게 됩니다. 그러나 인생에 마법은 없습니다. 치료자라 이름 하지만 저 또한  우울의 깊은 우물 속에 영혼 얼마를 담근 채 살아갑니다. 사실 누구도 그렇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렇게 믿으며 환우들과 동행합니다. "제가 꼭 한 걸음 앞에서 걷겠습니다. 제 손을 잡으십시오." 그만큼 낫다는 게 아닙니다. 다만 조금 먼저 경험했을 뿐입니다.  그 이상의 경지, 그 이상의 자격을 갖춘 자 과연 누구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제20장 두 번째 문단입니다.   

 

故君子不可以不修身. 思修身 不可以不事親. 思事親 不可以不知人. 思知人 不可以不知天.  

 

그러므로 군자는 그 때문에  몸을 닦지 아니할 수 없다. 몸을 닦으려고 생각한다면 부모를 섬기지 않을 수 없다. 부모를 섬기려고 생각한다면 사람을 알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을 알려고 생각한다면 하늘을 알지 않을 수 없다.  

 

2. 앞 문단에서 이미 신(身)을 실천이라 번역한 바 있습니다. 군자가 군자인 증거는 실천에 있습니다. 말과 명상에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실천은 생득적인 것도 아니고, 한 번 하면 영구히 자격증이 부여되는 것도 아닙니다. 간단없이 닦아야(修) 하는 것입니다. 삶의 조건은 그 때 그 때 다르기 때문이지요.  

 

이런 실천의 수련은 부모(친족)를 모시는 일에서 처음 사회적 위치를 획득합니다. 이는 단순히 효의 가치를 말하는 게 아닙니다. 부모를 모시는 행위는 부모를 닮는 행위입니다. 부모를 닮아야 하는 까닭은 부모가 바로 사회적 실천의 발원지이기 때문입니다. 부모한테서 중용이 비롯하기 때문입니다.  

 

부모를 모시듯 이웃(人)을 알아 갑니다. 그 이웃은 부모한테서 시작된 생명 연대의 한 지평에 있는 사람들입니다. 안다는 것은 물론 인식의 차원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소통의 앎입니다. 삶을 공유하는 앎입니다.  함께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앎입니다. 서로 大同의 원리를 깨우치는 앎입니다. 더불어 성찰함으로써 성취를 일궈내는 앎입니다. 결국 그 이웃은 남이 아닙니다(天下無人)!  

 

이웃을 아는 것은 하늘 이치를 아는 것에 닿아 있습니다. 하늘 이치는 생명의 연대성이니 이것이 곧 仁이요, 중용입니다. 이것이 바로 誠微(제16장)입니다. 뒤집어 말하자면 숭고한 하늘 이치란 것도 따지고 보면 이웃과 섞는 일상의 삶, 부모 섬기는 평범한 실천이 그 고갱이라는 이야기입니다.   

 

3. 이른바 "큰 일", 즉 정치나 언론이나 거대 기업 경영하는 사람들에게 걸핏하면 국민을 상대로 훈계하는 버르장머리가 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아는 바입니다. 자신들의 일이 특별하고 높은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참으로 가소로운 노릇이 아닐 수 없습니다.  

 

오늘 아침 신문에 병역 미필자인 여당 대표가 보온병을 들고 포탄이라고 떠드는 기사가 큼직하게 나왔습니다. 포탄과 보온병을 구분하는 일은 하찮은 것이고 여당 대표하는 일은 큰 것이어서 그토록 뻔뻔한 것이라면 그 하찮은 일하러 연평도 날아가 구태여 망신은 왜 당하나 싶습니다. 국민에게 점잖게 훈계나 하고 앉아 계셨으면 그 아니 좋았겠습니까.  

 

하늘의 이치는 커녕 이웃의 삶도 모르고, 이웃의 삶은 커녕 가족의 삶도 모르고, 가족의 삶은 커녕 제 한 몸 닦지도 못하는 주제에 군자연 하고 중용을 주워섬기는 무리들이 나라를 쥐락펴락하고 있으니 공자의 한탄은 그대로 오늘 우리의 한탄이 됩니다. 오호, 통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심리학이 어린 시절을 말하다 - 유년의 상처를 끌어안는 치유의 심리학
우르술라 누버 지음, 김하락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1.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절창이 이 책 전체를 압축해줍니다.  

지난 일은 지난 일.  

포도주에 따른 물 

다시 따라내진 못하리.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 없어라. 

마지막 숨으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리.(197쪽)  

이렇게 다시 읽어 봅니다.  

일어났다면 일어난 거다. 

이미 내 삶이 되어버린 상처 

다시 베어낼 수 없으리. 

허나, 

변하지 않는 것이 어디 있으랴. 

파멸의 격한 호흡은  

창조의 연한 숨결로 살아나리니.  

2.  어린 시절에 감당 못할 상처를 입으면 그 상처를 통해 세상을 읽습니다. 그것을 저자는 "신념체계"라고 부릅니다. 좀 딱딱하고 거창한 느낌을 주는 표현인데, 아마도 한 번 그 틀에 사로잡히면 헤어나기 어렵다는 뜻을 드러낸 어법일 것입니다.  

이 책에서 설명하는 바에 제 생각을 덧붙이면 이렇습니다.  

인간정신은, 도식적으로 말해, 감정, 이성, 의지의 측면으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어린 시절, 특히 만  7세 이전에는 이성과 의지가 아직 생성, 발달되어 있지 않습니다. 만 3세 이전에는 더 말할 나위도 없지요. 그러므로 이 무렵 입는 정신의 상처는 바로 감정의 상처가 되고 감정의 상처는 존재 전체의 상처가 됩니다. 말하자면 감정이 정신으로서의 존재 전체를 대변함으로써 과잉되는 것이지요. 이것을 저는 격정(激情)이라 부릅니다. 격정의 에너지는 이렇게 증폭되어 나중에 생성, 발달되는 이성과 의지를 일거에 제압하기 때문에 한 번 일으켜지면 성찰, 제어가 매우 어렵습니다. 이런 상황이 거듭되면 진실은 한 방향으로길을 내고 고착되기 마련이지요. 

뇌 생리학자들은 생애 최초의 경험, 기억, 그리고 감정이 뇌신경에 새로운 회로를 설정한다고 말합니다. 말하자면 궤도를 내는 셈이지요. 바로 그 궤도로, 차후 고통들은 자동 연결되어 내달리게 되어 있는 것입니다. 뇌 생리학으로 설명하든 정신 현상학으로 설명하든 결과는 하나입니다. "신념 체계"라고 표현하리 만큼 강박적으로 굳어지는 경향성이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견결한 이 경향성도 운명은 아니다, 그게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입니다. "신념 체계"의 강고함에 틈을 내는 길, 즉 받아들이고, 이의를 제기하고, 관점을 바꾸는 과정을 역동적으로 설명합니다. 이 설명 과정을 지켜보면서 직접적이든 간접적이든 붓다의 가르침이 서구 세계에 깊은 영향을 주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물론 저자의 설명 방식이 여전히 서구적 형식논리 구도 안에서 진행되지만 적어도 현실의 고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나서 진실을 찾아서는 사유는 붓다보다 더 포괄적이고 깊은 가르침을 주는 예가 없으므로 그런 감지가 가능한 것입니다.   

사실 이 경우 붓다는 관점을 바꾼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극단을 버리고 中道를 가라고 말합니다. 그  中道가 정도이기 때문이지요. 따라서 중도란 엄밀한 의미에서 어떤 관점을 다른 관점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진실의 전체, 즉 대칭성/양면성를 한꺼번에 보고 자신이 치우쳐 있는 현실을 깨달아 유연하고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입니다. 이는 서구의 동일률, 모순율, 배중률에 터 잡은 형식논리 수준에서는 불가해한 사유입니다. 이런 미흡함이 있지만 저자는 나름대로 길을 찾아갑니다. 

3. 인상적인 부분, 첫째 대목은 여깁니다.  

".......받아들이다는 말은 라틴어 '카페레(capere)'에서 나왔다. 이 단어는 '가지다'라는 말로 번역할 수있다. 즉, 주어진 것은 가진다는 뜻이다. 이런 의미에서 주어진 어린 시절을 받아들인다는 뜻이기도 하다......."(202쪽

크리스틴 콜드웰은  이것을 고백하기라 표현하고 영어로 owning이라 합니다. 말하자면 고통스럽고 비틀린 자신의 어린 시절을 자기 삶의 일부로, 주체적으로, 능동적으로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  이 생각은 매우 중요합니다. 흔히 고통을 겪는 본인이나 치료자나 고통스런 과거를 삶에서 도려내는 것을 치료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바닥에 떨어진 상태에서 그것을 치고 올라가는 삶을 살도록 하는 게 치료이며 그럴 때 올라선 상태만이 자신의 삶이고 그 이전 바닥은 자신의 삶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바로 이 때 저는 정호승의 시 <성배>를 떠올립니다. 

친구여 

아직도 성배를 찾아  

떠나고 있는가 

우리가 인사동에서  

막걸리를 마시던  

그 잔을 기억하는가 

그 막사발에 담아 마시던 

피와 눈물을 기억하는가 

지금까지  

우리가 마신 잔은 

다 성배였다

4. 인상적인 부분, 그 둘째 대목은 어린 자아를 1-2세, 3-11세, 그 이후 10대로 나누어 다룬 것입니다. 각 기간마다 특징적인 정서 상태를 제시하고 거기에 맞는  아이의 반응을 그대로 체험함으로써 감각적으로 받아들이고 보살피도록 이끌고 있습니다.  

.......내면아이를 위해 좋은 아버지나 좋은 어머니가 되려면 무엇이든 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러라도 한 번 해보라. 의식적으로 어린 시절로 돌아가보라."(281쪽) 

1-2세 때는 분리불안이 심하고, 위기에 처하면 숨고 싶은 마음이 든다는 것을 밝히고 거기에 맞추어 어르고 달래주어야 하다고 합니다. 향긋한 비누로 목욕을 하거나 마사지하는 것, 동화 테이프를 듣는 것, 이불을 머리 끝까지 덮어 포근함을 느끼는 것 등응 제시합니다.

3-11세 때는 독립심과 자기 존중감이 문제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자기 감정을 표현하고, 거절하고, 결정할 수 있게 해야한다고 합니다. 어릴 때 배우고 싶었던 악기를 배운다든지, 청소년 영화를 본다든지, 하는 방법을 권하고 있습니다. 

그 이후 10대 때는 감정의 혼란 상태가 격심해지는 시기라고 합니다. 일기 쓰기, 즐겨 듣던 팝 음악 듣기, 철학적 고민을 담은 책 읽기 등을 제시합니다. 

사실 내용 자체가 그닥 새로울 것은 없습니다. 내면아이 이론/임상서를 보면 훨씬 더 자세히 나온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유의 책을 처음 든 사람이 정작 어른의 시각에서 , 그럼 나의 내면아이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래주나, 생각했을 때 막막해지는 공백을 메워줌으로써 평범한 내용은 오히려 고마움의 대상이 됩니다.  

5. 마지막으로, 아쉬운 부분, 한 가지. 

전체 내용이 개인적인 한계에 갇혀있다는 점. 이 책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내면아이 돌보기 문제는 물론 용서 문제도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적, 사회정치적 지평이 있고, 어떤 의미에서 그것을 오늘날 더욱 중요한 화두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을 더 기다려야 하는지 , 세월을 더 기다려야 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