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30장 본문입니다.
仲尼 祖述堯舜 憲章文武 上律天時 下襲水土.
중니 조술요순 헌장문무 상률천시 하습수토.
辟如天地之無不持載 無不覆幬.
비여천지지무부지재 무불복주.
辟如四時之錯行如日月之代明.
비여사시지착행여일월지대명.
萬物竝育而不相害 道竝行而不相悖.
만물병육이불상해 도병행이불상패.
小德川流 大德敦化. 此天地之所以爲大也.
소덕천류 대덕돈화. 찬천지지소이위대야.
공자께서는 요 임금과 순 임금을 으뜸으로 계승하시고 문왕과 무왕을 본받아서 (그 법도를) 밝히셨으며 위로는 천시를 본받으시고 아래로는 물과 흙의 상황에 맞추시었다. 비유하면 하늘과 땅이 붙들어 실어주지 아니함이 없고 덮어서 감싸주지 아니함이 없음과 같다. 비유하면 사계절이 번갈아 운행됨과 같고 해와 달이 번갈아 밝아지는 것과 같다.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방해하지 않고 도는 함께 행하여져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작은 덕은 냇물처럼 흐르지만 큰 덕은 일시에 변화시킨다. 이것이 천지가 위대하게 되는 까닭이다.
2. 공자의 중용은 사람의 실천과 자연의 운행을 두루 이치로 삼습니다. 사람의 실천에서 나타나는 도덕성과 창조성, 자연의 운행에서 나타나는 법칙성과 풍요성을 통합하는 혜안이 있었던 것이지요. 세상이 돌아가는 이치를 꿰뚫는 혜안은 크게 두 갈래의 통찰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하나는 통시적通時的diachronic인 맥락을 따라 그 변화의 결을 감지하는 통찰입니다. 모든 것은 변합니다. 그 변화에는 반드시 특이점이 존재합니다. 이런 상황을 간파하고 전후의 맥을 짚을 수 있다면 과거의 반성, 오늘의 성찰, 내일의 전망이 모두 가능할 것입니다. 다른 하나는 공시적共時的synchronic인 지평을 한눈에 보고 분석, 종합하는 통찰입니다. 변화를 견디는 구조와 그 역학관계를 알아차림으로써 현안 문제를 이해하고 풀어내는 조정능력을 지니게 됩니다.
결국 시공간적 대칭 또는 모순을 역설로 통합하는 능력입니다. 변화와 지속, 역사와 사회, 개체와 전체, 문명과 자연, 정의와 사랑, 자유와 평등, 결속과 대립·······. 그 요동치는 경계에서 영예로움으로 남을 수 있는 선택을 하는 능력! 바로 이것이 중용이고, 공자의 실천입니다.
3. 그 역설적 통합 능력을 본문은 우선 이렇게 말합니다.
“만물은 함께 자라도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생명은 제각각 최대한 살기 위해 애씁니다. 때로는 경쟁관계에 서기도 합니다. 물론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합니다. 경쟁이든 공생이든 함께 자라간다는 큰 지평에서 보면 조화로운 질서 안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조화는 소통을 전제로 합니다. 결국 좋은 정치란, 즉 중용의 정치란 소통을 꾀하는 정치입니다. 사회 각 부문 간, 계층 간, 세대 간, 소통을 통해 서로 방해하지 않고 더불어 행복해지는 세상을 만들어가도록 조절하는 게 당위로서 우리 앞에 놓인 정치입니다.
그런데 지금 이 땅의 지배집단은 조절커녕, 아예 국민과 기초적인 소통조차 할 마음이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국민끼리 쪼개져 싸우도록 부추깁니다. 지역 정서를 조장하고 계층 갈등을 증폭시킵니다. 모든 사람한테 무조건 색깔을 뒤집어씌웁니다. 정권을 보위하기 위해 일으킨 세월호사건 유족들을 무능한 부모로, 시체장사꾼으로, 세금도둑으로, 경기의 침체의 원흉으로, 심지어 빨갱이로 몰아 고립시킵니다. 서로 방해하는 존재로 떼어 놓아야 수탈하기 좋기 때문입니다. 그래야 영구히 국민을 패배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반대로 억압 받는 국민은 깨어서 서로 방해하지 않고, 나아가 서로 북돋우며 대동의 꿈을 키워가고 있습니다. 억압이 극에 달하고 역사가 위기에 놓일 때, 이 국민은 스스로 일어나 지배집단이 망쳐 놓은 나라를 추스르고 다시 세워왔습니다. 지금 순간에도 이 국민은 낮은 연대로 함께 자라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그럴 것입니다. 결코 지배집단이 이 국민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난망하거니와 간절히 바라기는 지배 집단이 언젠가 그 뜻을 으뜸으로 계승하고, 곧 조술祖述하고, 본받아서 밝히는, 곧 헌장憲章하는 것입니다.
4. 그 다음엔 이렇게 말합니다.
“도는 함께 행하여져도 서로 어긋나지 않는다.”
현실 세계에서 방법道은 많이 다릅니다. 극단의 것은 서로 모순됩니다. 그러나 그 비대칭의 대칭이 세계를 이루는 이치입니다. 예컨대 우리 몸에는 스스로 움직여 항상성을 유지하는 자율신경 시스템이 있습니다. 교감신경이라 불리는 ‘전쟁’신경과 부교감신경이라 불리는 ‘평화’신경이 마주보고 있습니다.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몸 전체로 보면 그 둘은 밀고 당기면서 한 방향으로 나아갑니다. 바로 이런 게 생명 속에 깃든 길항관계의 본질입니다.
마주서 있다고 해서 둘 중 하나는 죽어야 하는 적인 것은 아닙니다. 이런 생각은 서구의 형식논리가 빚어낸 파리한 부분적 진실일 뿐입니다. 생명은, 세계는 훨씬 더 깊고 넓은 포함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생명의, 세계의 대칭성은논리를 다양한 스펙트럼을 창조합니다. 풍부할수록, 두터울수록 좋습니다. 중용 정치란 바로 이 풍요와 후덕을 빚어가는 일 아닐까요?
5. 이 땅의 지배집단은 자신과 다르면 다 적으로 몰아버립니다. 그 적의 대표적인 이름이 바로 ‘좌빨’입니다. ‘종북’입니다. 2008년 촛불소녀들한테도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세월호사건 유족에게도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중동독감 괴담의 있지도 않은 주체에게도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역사교과서 획일화를 반대하는 시민에게도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심지어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 옆을 지키는 시민단체에도 이 이름을 붙였습니다. 이런 강박적 편협성은 부메랑이 되어 자신들의 정체를 폭로합니다. 즉 그들이 숭미모일崇米慕日 매판독재 세력이란 사실 말입니다. 그들 자신이 이 백성과 어긋나 있기 때문에 백성에게 거꾸로 뒤집어씌우는 것이지요. 그러나 종당 이 파렴치 집단은 백일하에 그 마각을 드러내고 살아 있는 역사의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 살아 있는 역사, 그것은 바로 국민입니다.
지배집단이 조작한 또 하나의 적이 있습니다. 지난 2008년 ‘촛불’을 두고 소설가 이문열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디지털 포퓰리즘의 위대한 승리다. 그러나 끔찍하다.” 주권자가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었던 연유는 제쳐놓고 그 현상을 포퓰리즘이라 폄하하고 과장한 것입니다. 이문열 부류의 사람들은 세월호사건에 대해서도 똑같은 말을 했습니다. 그들은 이제 그들의 뜻에 반하여 시민의 지지를 받는 모든 일에 대하여 그런 말을 지껄입니다. 본디 포퓰리즘이 어떤 뜻을 가지고 있건 간에 저들은 자신을 엘리트로 전제하고 대중을 수준 낮은 적의 무리로 보는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실로 지나가던 개가 웃을 일입니다. 대한민국의 그런 알량하고 한심한 엘리트일 것이면 차라리 대중이고 말겠습니다. 실제로 저들의 그 폄하와 과장은 일시에 되게 하는, 곧 돈화敦化하는 큰 덕을 느끼기 때문에 생긴 방어반응입니다. 소수 엘리트가 조작하고 통제함으로써 명품 시혜 체계를 만들어 길이 즐기는, 곧 천류川流하는 일에 반하기 때문에 갖는 거부반응입니다. 그 반응은 다름 아닌 도둑의 제 발 저림입니다.
6. 봄기운이 만물을 일제히 소생시키듯 상호소통으로 공유하게 된 백성의 생명감각은 어! 하는 사이에 새 세상을 일으킵니다. 대덕大德입니다. 군자는 대덕을 따릅니다. 소인은 대덕을 이기려 합니다. 탐욕에 눈멀어 백성을 이기려 덤비는 저 사악하고 가소로운 무리들에게 화 있을지니.
